제목 [시장동향] IP 기반의 방송 미디어 제작 기술 현황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노민우 조회수 264
용량 1.14MB 필요한 K-데이터 3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시장동향] IP 기반의 방송 미디어 제작 기술 현황.pdf 1.14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12-01 
출처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페이지 수 : 10 

- 목차 - 

1. 서론

2. IP 미디어 제작 기술 동향

3. 클라우드 - IP 기반 미디어 제작 기술

4. 결론

 


 

미디어 제작 워크플로우는 야외 및 스튜디오의 카메라 촬영에서부터 편집, 가공 후 사용자에게 배포하기까지 다양한 표준 기술과 제작 장비들로 구성된다. 전통적으로 방송 미디어 제작은 지상파 방송사 및 특정 업체를 중심으로 이루어졌고, 소비를 위한 유통 경로도 매우 제한적이었다. 하지만 네트워크 인프라 기술이 발전하면서 인터넷 동영상 서비스 산업이 활성화되고 미디어 소비 형태가 변함에 따라 미디어 제작 방식에도 기술적 변화와 진화가 있었다. 기존 제작 분야에서는 SDI(Serial Digital Interface) 방식이 광범위하게 사용되었으나, 4K, 8K의 고해상도 대용량 데이터의 전송 요구가 높아지고 이머시브 미디어로 획득되는 고품질 영상 콘텐츠들이 늘어나면서 전송 방식의 물리적인 한계점이 나타났고, 원거리에 따른 신호 품질도 보장할 수 없게 되었다. 그래서 원격 촬영지, 스튜디오, 데이터 센터, 통합 부조정실의 방송 제작 시설을 갖추어야 하는 제작 시스템은 점점 IP 기반 시스템으로 점점 전환하게 되었다. 제작 환경에 IP 기술을 도입하는 것은 콘텐츠의 전송 거리와 전송 속도의 한계를 해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네트워크를 통해 자원을 공유해서 쓸 수 있고, 시스템을 하나로 묶어 중앙에서 제어하기가 쉽다는 큰 장점이 있다. 또한, 하드웨어 기반의 장비 중심에서 소프트웨어 기반의 가상화 기술로 클라우드 서비스도 자연스럽게 적용할 수 있다[1]. 5G 네트워크 기술 또한 이전의 모바일 기술과 비교하여 많은 부문에서 산업 참여, 새로운 서비스와 비즈니스 기회를 열어 주면서 미디어 산업에서도 혁신의 기회를 만들었다. 네트워크 이동성과 유연성, 보안 및 안전성이 향상되면서 콘텐츠 제작자와 서비스 제공 업체가 언제 어디서나 모든 장치를 통해 콘텐츠를 전달하고 소비할 수 있게 된 것은 미디어 제작 패러다임의 전환이라고 볼 수 있다[2].

인터넷 동영상 서비스 산업이 활성화되면서 콘텐츠 유통도 방송 중심에서 시간과 장소에 상관없이 원하는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는 온라인 서비스로 확대되고, 미디어 제작도 방송 및 미디어 기업들의 전유물이 아니라 소규모, 개인 방송 제작 참여가 급격히 늘어났다. 제작 기술의 진화와 함께 전문가용 오디오/비디오(ProAV: Professional Audiovisual)와 방송 및 미디어 장비 산업의 기술적 차별성이 점차 줄어들어 엔트리 시장과 고가의 장비 통합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기존에는 전문가가 큰 비용과 시간을 투입하여 고가의 촬영 장비를 이용해야 했지만, 지금은 간단하게는 스마트폰만 있으면 언제 어디서나 콘텐츠 제작과 편집을 할 수 있다. 1인 미디어 플랫폼의 영향력이 확대되면서 무료에서 유료까지 다양한 기능을 가진 라이브 스트리밍 제작 소프트웨어들이 있으며, 유튜브를 포함하여 트위치, 아프리카 TV, 네이버TV 등 다양한 플랫폼에서 서비스를 지원해주고 있다.

본고에서는 IP 기반의 미디어 제작에 사용되는 개방형 표준 기술에 대해 알아보고 ProAV 산업에서의 제작 기술 동향과 미디어 제작 전송 과정에서 사용되는 표준 기술, 클라우드 환경에서의 제작 기술 및 클라우드 기반 AI 제작 기술 동향에 대해 살펴본다.

화면 캡처 2023-01-03 142202.png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4520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대학의 반도체 인재양성 과련 정책 및 과제 3도토리 강정훈
4519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분석] 에너지 안보 및 탄소 중립을 위한 원자력산업의 역할 변화 동향 3도토리 강정훈
451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반도체 산업 경쟁력 재고 방법 3도토리 강정훈
4517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18-22년도 방위산업발전 기본계획에 대한 쟁점 및 과제 3도토리 강정훈
4516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고유가에 따른 물가 대응 정책 동향 및 향후 과제 3도토리 강정훈
4515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2023년 국회입법조사처 이슈 9도토리 강정훈
4514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최근 부동산시장 동향 및 위험 원인과 정책 과제 5도토리 강정훈
4513 성장동력산업 [계획공고] 2023년도 산업기술혁신사업 통합 시행계획 공고 5도토리 강정훈
4512 성장동력산업 [과제공고] 2023년도 소재부품기술개발사업(이종기술융합형) 신규지원 대상과제 공고 3도토리 강정훈
4511 성장동력산업 [지원공고] 2023년도 우수기업연구소육성사업 신규지원 공고 3도토리 강정훈
4510 성장동력산업 [과제공고] 2023년도 디자인산업기술개발사업 신규지원대상과제 공고 3도토리 강정훈
4509 성장동력산업 [사업분석] 기업별 22년 4분기 분석 및 23년 전망 5도토리 강정훈
4508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아시아 국가별 추천종목 및 시장지표 3도토리 강정훈
4507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선업용 고온 히트 펌프 기술동향 및 산업 전망 3도토리 노민우
450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이머징 미디어로서의 메타버스 및 디자인 3도토리 노민우
4505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탄성소재 산업 현황 밒 개발 현황 3도토리 노민우
4504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스마트팜에서 인공지능 이용 분석 및 전망 3도토리 이지훈
4503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프리폼 텍스트 데이터의 개인정보 비식별화 기술 분석 3도토리 이지훈
4502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디지털 트윈 기술의 활용 및 발전방향 1도토리 노민우
450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빅데이터 분석 운영 환경 조사 3도토리 노민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