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소득세 세부담 누진에 대한 검토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조현상 조회수 75
용량 282.94K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소득세 세부담 누진에 대한 검토.pdf 282.94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1-09-28 
출처 : 정부산하기관 
페이지 수 :  

현정부는 핀셋증세라고 불리는 ‘부자증세’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으며, 조세저항이 덜한 고소득층 대상으로 소득세 최고세율을 2차례 인상했다(40%→42%→45%). 그러나 최고세율을 올려 고소득층에게 세부담을 지우면서 면세자를 줄이려는 노력은 소극적이며, 근로소득세 면세자 비율은 2019년 기준 36.8%로 30%를 넘는 면세자 비율은 조세원칙인 국민개세주의과 조세형평성에 위배될 것이다. 이러한 현 정부의 계속된 부자증세 정책으로 고소득자의 세부담은 상당한 수준이 되었다. 2019년 기준 고소득자(과세표준 5억원 초과자)의 실효세율은 이외 소득자에 비해 3~7배에 달하는 매우 높은 수준이며, 고소득자의 소득 비중보다 소득세액 비중이 2~6배 높아 세부담이 고소득자에게 집중되어 있다. 종합소득 고소득자의 실효세율은 33.5%로 이외 소득자 실효세율(11.2%)의 3배이고, 근로소득 고소득자의 실효세율은 34.9%로 이외 소득자 실효세율(5.3%)의 약 7배에 달하기 때문이다. 종합소득 고소득자가 전체 소득의 16.1%를 차지하고 있지만 전체 소득세액의 36.5%를 차지하고 있으며, 근로소득의 경우에는 면세자가 많아 고소득자가 1.5%의 소득 비율로 8.8%의 높은 세액 비율을 가지고 있다. 2021년부터 적용되는 최고세율(45%, 10억원 초과) 고소득자는 지방소득세(4.5%)와 건강보험료(3.43%) 및 국민연금보험료(4.5%) 등의 사회보장기여금까지 납부하면 명목적인 부담이 소득의 약 57%를 넘게 되어 고소득자의 세부담 집중을 심화시킬 것이 분명하다. 2018년 최고세율 인상(40%→42%, 5억원 초과) 적용으로 2017년 귀속분 대비 2018년 귀속분의 과세표준 5억원 초과자 실효세율이 1.8~3.1%p나 크게 상승한 점을 비춰볼 때, 2021년 귀속분에서 고소득자의 세부담이 크게 증가할 것이다. 프랑스의 부자증세 폐지에서 보듯이 고소득자에게 집중된 증세는 세수증대보다 인력 유출 등 상당한 경제적 손실을 가져올 수 있으며, 현재 경제상황에 비추어볼 때 기업은 물론 국가경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이제는 부자증세에 집착하지 말고, ‘넓은 세원과 낮은 세율’ 원칙과 세부담 더 나아가 재정수요에 대한 보편적 부담을 지자는 ‘국민개세주의’ 원칙의 조세체계를 구축해야 한다. 소득세의 경우 세율구간 축소 및 세율 인하 등 부자증세를 완화해서 고소득자에게 집중된 소득세 부담을 완화하고, 불필요한 비과세ㆍ감면 제도 정비를 통해 면세자 비율을 낮춰 세원을 확대해야 한다.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640 성장동력산업 외환: 美테이퍼링 경계에 따른 강달러 압력 지속 1도토리 조정희
639 성장동력산업 금리: 경기둔화 우려 속 FOMC 테이퍼링 논의 주시 1도토리 조정희
638 성장동력산업 유사투자자문업 현황과 개선방향 3도토리 조정희
637 성장동력산업 유럽 및 독일의 3D 프린팅 산업 동향 3도토리 조정희
636 성장동력산업 실감콘텐츠 국내외 동향분석(제5호) 3도토리 조정희
635 성장동력산업 탄소배출 제로에 기여할 수 있는 수소내연기관의 잠재력 1도토리 조정희
634 성장동력산업 28 GHz 대역 LTCC기반 대역통과필터 설계 기술 1도토리 조정희
633 성장동력산업 인공지능 NPU Board 기술 1도토리 조정희
632 성장동력산업 40기가급 DetNet/TSN 패킷 전달 모듈(FPGA) 기술 1도토리 조정희
631 성장동력산업 머신러닝 기반 가상함수 스케일링 기술 1도토리 조정희
630 성장동력산업 엑소브레인 공정거래 법률 분야 심층질의응답 기술 V1.0 1도토리 조정희
629 성장동력산업 기후변화 대응이 거시경제에 미치는 영향 3도토리 조정희
628 성장동력산업 해외 ICT 표준화 동향 (2021년 9월 셋째주) 1도토리 조정희
627 성장동력산업 아세안의 전기차 산업 현황 3도토리 조정희
626 성장동력산업 급변하는 자동차 제조업과 SW 중심 전략 3도토리 조정희
625 성장동력산업 베트남 중소기업의 디지털 전환과 시사점 1도토리 조현상
624 성장동력산업 일본, 글로벌 자동차업체의 전기차 진출 가속화에 대응책 마련 서둘러 1도토리 조현상
623 성장동력산업 중국, 재정·금융 수단의 활용을 통한 녹색 발전에 박차 1도토리 조현상
622 성장동력산업 중소기업 인력난 해소를 위한 정책과제 1도토리 조현상
621 성장동력산업 대기업과 스타트업의 협력을 통한 혁신, 대스타 해결사 플랫폼 1도토리 조현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