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산업분석] 메타버스; ICT 융합 표준 프레임워크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국준아 조회수 114
용량 11.66MB 필요한 K-데이터 9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산업분석] 메타버스, ICT 융합 표준 프레임워크.pdf 11.66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12-28 
출처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페이지 수 : 122 

머리말


I. 비전 및 전략

1. 표준 프레임워크의 개요

2. 표준 프레임워크의 문서 구조 

3. 용어 정의
II. 개념 모델

1. 메타버스 개요

2. 비전

3. 목적 및 범위

4. 추진 전략

5. OV(Overall View) 다이어그램

6. 국내·외 현황
III. 비즈니스 지원 시스템 모델
IV. 서비스 정의

1. 서비스 패키지 1: 실시간 메타버스 공간 생성 및 실세계 연동 서비스

2. 서비스 패키지 2: 메타버스 콘텐츠 생성 및 플랫폼 간 콘텐츠 활용 서비스
V. 표준 갭 분석

1. 스마트 홈 제어 서비스

2. 실시간 메타버스 공간 생성 및 내비게이션 서비스

3. 온라인/오프라인 하이브리드 스포츠 경기 서비스

4. 메타버스 콘텐츠 창작 서비스

5. 메타버스 콘텐츠 검색 서비스

6. 메타버스 콘텐츠 거래 서비스

7. 메타버스 간 사용자 정보 연동 서비스
부록 A. ICT 융합 표준 프레임워크 식별번호 현황


최근 글로벌 패러다임은 창의와 혁신이 강조되는 소비자 중심의 융합시대로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새로운 환경에서는 융합을 통해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능력이 미래의 글로벌 시장을 주도하는 핵심 역량으로 작용하며, 이를 이해서는 다양한 기술, 제품, 서비스, 산업으로 구성된 복잡한 융합시장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ICT 융합 표준 프레임워크는 이러한 환경 변화에 적극 대응하여 융합 산업을 대상으로 정보통신 기술을 활용함으로써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다양한 IT 융·복합 서비스를 발굴하고, 이를 지원하는 표준화 항목을 도출하기 위한 목적으로 개발된 문서이다. 그 결과, 궁극적으로는 표준화 활동이 시장 생태계를 조성하고 새로운시장창출과산업활성화, 나아가국가경쟁력강화에기여할것으로기대된다.

ICT 융합 표준 프레임워크는 시장 내 모든 이해당사자의 요구사항을 효과적으로 반영하기 위해서 이해당사자 간의 공통된 관심사(concern)를 토대로 정의된 다섯 가지의 대표적인 관점인 SOS3 뷰(view)를 기준으로 개발된다. ICT 융합 표준 프레임워크는 개발 대상 분야에서 추구하는 전체 목적이 효과적으로 달성되도록 각 뷰(view)에서는 다른 뷰(view)와의 유기적인 연계성을 유지하면서 각각의 핵심 산출물이 도출되며, 각뷰로부터도출된비전및전략, 개념모델, 비즈니스지원시스템모델, 서비스정의및표준갭분석 등 다섯 가지의 산출물이 전체 ICT 융합 표준 프레임워크 문서를 구성하게 된다. 아래의 [표 1]은 ICT 융합 표준 프레임워크의각뷰(view) 별핵심산출물을보여주고있다.

화면 캡처 2022-12-28 161008.png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447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글로벌 집행기관 동향 및 좀비기업 분석 3도토리 국준아
4475 생명공학/바이오 [동향분석] 2022년 일본 바이오안전성 동향 5도토리 장민환
4474 생명공학/바이오 [동향분석] 바이오 폐기물 시장 현황 1도토리 장민환
4473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GRC의 정의와 주요 기업 현황 5도토리 장민환
4472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022년 7대 통상뉴스와 2023년 통상환경 전망 5도토리 장민환
447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연구와 교육 분야를 중심으로 한 신뢰 및 신원 관리 기술의 동향 5도토리 장민환
4470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인공지능 학습 데이터 공유 및 활용 동향과 서비스 구축 방향 5도토리 장민환
446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항공분야 2023년 분석 5도토리 장민환
446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현대중공업그룹 2023년 계획 1도토리 장민환
4467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기후변화 취약계층 보호대책 개선 방향 3도토리 노민우
4466 성장동력산업 [동향분석] 러시아 과학기술 월간 현황 3도토리 노민우
4465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IP 기반의 방송 미디어 제작 기술 현황 3도토리 노민우
446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서비스 상상과 스마트 TR 글래스 3도토리 노민우
4463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MPI 집합 통신 성능 향상을 위한 연구 현황 3도토리 노민우
4462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AI 봇을 위한 멀티에이전트 협업 기술 현황 3도토리 노민우
4461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동적 환경 로봇 이동지능 기술의 동향 3도토리 노민우
4460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AI와 국제규범 전략을 중심으로 분석한 영국의 디지털 정책 3도토리 노민우
445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인공진능 산업의 VC 투자 현황과 시사점 3도토리 노민우
445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벤처기업 2022년 실태조사 9도토리 노민우
4457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AI 학습용 데이터의 파급효과 연구 9도토리 노민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