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산업분석] 해외 주요국 사례를 중심으로 민관협력을 통한 공공서비스 고도화 사례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국준아 조회수 137
용량 1.8MB 필요한 K-데이터 5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산업분석] 해외 주요국 사례를 중심으로 민관협력을 통한 공공서비스 고도화 사례.pdf 1.8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11-24 
출처 :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페이지 수 : 23 

I. 개요 01

II. 공통 기반 서비스 02

III. 분야별 공공서비스 12

Ⅳ. 주요 시사점 18


n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 출범(’22.9)과 함께 디지털플랫폼정부 구현 본격화 § 디지털플랫폼정부란 모든 데이터가 연결되는 디지털플랫폼 위에서 국민·기업·정부가 함께 사회문제를 해결하고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정부를 의미1) ­ 공공서비스를 디지털로 구현하던 전자정부를 넘어 각 부처의 데이터를 하나의 플랫폼에 모아 국민과 기업이 개선 효과를 단기에 체감할 수 있는 공공서비스 구현 § 특히, 디지털플랫폼정부 구현을 위해 정부는 기존 사업 방식에서 탈피하여 민·관 협력에 주안점을 두고 핵심 인프라 구축 추진 n 민관협력은 국민에게 편리한 맞춤형 공공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제공하고, 기업은 새로운 사업 기회와 가치를 창출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중요성이 확대 § 우리나라 디지털 경쟁력은 세계를 선도하는 ICT 강국의 면모를 보여주고 있는 반면, 관련 민관협력 파트너십은 싱가포르·덴마크·캐나다 등 해외 주요국들과 비교하여 미비 ­ ’22년 IMD 세계 디지털 경쟁력 지수 지표에 따르면 전자정부 순위는 한국이 2위로 높은 수준을 보이고 있지만 민관협력 부문은 46위로 싱가포르, 캐나다, 핀란드 등에 크게 뒤쳐짐 < IMD 디지털경쟁력지수 주요 지표별 국가 순위(’22) > * ‘IT통합’의 세부 지표로는 전자정부, 민관협력, 사이버 보안, 소프트웨어 무단 복제, 개인정보보호 관련 법 제정이 있음 ** 우리나라의 민관협력 파트너십 순위는 29위(’20)→38위(’21)→46위(’22)로 매년 하락세를 보이고 있음 ※ 출처 : IMD Word Digital Competitiveness Ranking 2022 재구성 § 따라서, 디지털플랫폼정부를 표방하는 해외 주요국들의 공공서비스 제공을 위한 민관협력 사례를 살펴보고, 우리나라 실정에 맞는 민관협업 활성화 방안 모색이 필요 n 본 고에서는 ‘공통 기반 서비스’와 ‘분야별 공공서비스’에 국한하여 사례 소개 § ‘공통 기반 서비스’는 디지털 신분증·디지털 지갑과 같이 全국민이 활용하는 공통 서비스 기반을 민관이 협력하여 구축하고 민간서비스에도 확대하는 방식 § ‘분야별 공공서비스’는 의료·교통·스마트시티 등 분야별 세부 공공서비스의 혁신 및 발전을 위해 민간기업이 참여하여 수요자인 국민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식 n 해외 민관협력의 선진사례 특징을 기반으로 디지털플랫폼정부에 적용할 시사점 도출

[산업분석] 해외 주요국 사례를 중심으로 민관협력을 통한 공공서비스 고도화 사례.png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447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글로벌 집행기관 동향 및 좀비기업 분석 3도토리 국준아
4475 생명공학/바이오 [동향분석] 2022년 일본 바이오안전성 동향 5도토리 장민환
4474 생명공학/바이오 [동향분석] 바이오 폐기물 시장 현황 1도토리 장민환
4473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GRC의 정의와 주요 기업 현황 5도토리 장민환
4472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022년 7대 통상뉴스와 2023년 통상환경 전망 5도토리 장민환
447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연구와 교육 분야를 중심으로 한 신뢰 및 신원 관리 기술의 동향 5도토리 장민환
4470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인공지능 학습 데이터 공유 및 활용 동향과 서비스 구축 방향 5도토리 장민환
446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항공분야 2023년 분석 5도토리 장민환
446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현대중공업그룹 2023년 계획 1도토리 장민환
4467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기후변화 취약계층 보호대책 개선 방향 3도토리 노민우
4466 성장동력산업 [동향분석] 러시아 과학기술 월간 현황 3도토리 노민우
4465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IP 기반의 방송 미디어 제작 기술 현황 3도토리 노민우
446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서비스 상상과 스마트 TR 글래스 3도토리 노민우
4463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MPI 집합 통신 성능 향상을 위한 연구 현황 3도토리 노민우
4462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AI 봇을 위한 멀티에이전트 협업 기술 현황 3도토리 노민우
4461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동적 환경 로봇 이동지능 기술의 동향 3도토리 노민우
4460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AI와 국제규범 전략을 중심으로 분석한 영국의 디지털 정책 3도토리 노민우
445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인공진능 산업의 VC 투자 현황과 시사점 3도토리 노민우
445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벤처기업 2022년 실태조사 9도토리 노민우
4457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AI 학습용 데이터의 파급효과 연구 9도토리 노민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