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리부트 메타버스, 2.0시대로의 진화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조현상 조회수 103
용량 9.67MB 필요한 K-데이터 3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리부트 메타버스, 2.0시대로의 진화.pdf 9.67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1-09-29 
출처 :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페이지 수 : 36 

[ 목 차 ]

 

Ⅰ. 메타버스의 재부상

Ⅱ. 진화하는 메타버스, 「Metaverse 2.0」

Ⅲ. 메타버스 과거와 현재

Ⅳ. 활성화를 위한 5대 이슈 및 제언

Ⅴ. 결론

 


 

□ 메타버스(Metaverse)의 등장과 쇠퇴-과도기-재유행, 다음은?□ 가상세계 중심의 「Metaverse 2.0」으로 진화요약 summaryICT ISSUE BLENDER(1단계) 영역별 핵심속성을 중심으로 발전증강(Augmentation)XRMETAVERSE 2.0“超세계”DigitalTwinSNS증강(Augmentation)가상(Simulation) 가상(Simulation)외적인(External)외적인(External)내적인(Intimate)내적인(Intimate)(2단계) 다양한 속성이 융합되어 “超세계”로 융합중강현실(AugmentedReality)거울세계(MirrorWorlds)가상세계(VirtualWorlds)라이프로깅(Lifelogging)XRDigitalTwinSNSMETAVERSE 2.0“超세계”초연결초지능초실감ICT ISSUE BLENDER요 약 년대 후반 가상현실 플랫폼인 세컨드라이프 가 대유행하며 메타버스에 대한 관심이 폭발했으나 반짝 유행하며 쇠퇴년대 메타버스 용어는 이슈화되지 못했지만 가상융합 관련 산업인 디지털트윈 시장은 지속 성숙년대 들어 로블록스 포트나이트 등 가상세계 플랫폼 인기와코로나 상황 등이 맞물려 메타버스의 관심도가 다시 증가현재 년대 후반과 주요 서비스의 큰 차이는 없으나 시장변화기술 발전 콘텐츠 다양화 등 기반 마련을 통해 지속성장 기대‘超세계’의 「Metaverse 2.0」으로 진화년대 세컨드라이프 가 유행하고 가상을 접목한 기술을모두 메타버스 유형으로 정의 하며 세계가 주목년대는 등 실감형 기술 제품이 본격적으로개발 상용화되는 메타버스 과도기적 시기로 분류년대 이후 다양한 속성 디지털트윈 이 초연결 초지능초실감으로 융합 되는 세계 로 정의□ 「Metaverse 2.0」을 위한 5대 이슈(RE-Boot MVS) 해결발전 디지털트윈 가상세계 중심의 메타버스 제페토등 등 균형적 생태계 조성을 위해 정부 주도의 노력 요구□ 새롭게 정의되는 「Metaverse 2.0」에 선제적으로대응함으로써 지속 성장이 가능한 메타버스 생태계 조성규제 제도 균형적 생태계 발전 정보 접근 격차 지속가능성 등측면에서 이슈가 예상되며 선제적 방안 마련을 통한 대응 중요규제 제도 현실의 규제 제도 적용에 한계가 있는 메타버스의안착을 위해 일시적 규제 완화 해외 개선사례 벤치마킹 검토균형적 발전 디지털트윈 가상세계 영역의 메타버스 제페토 등등 균형적 생태계 조성을 위해 정부 주도의 노력 요구상호운용성 다양한 영역의 서비스 플랫폼이 공통된 메타버스세계관을 이룰 수 있도록 기업 국가 간 협의 및 표준화 필요정보 접근 격차 세대에 밀집된 이용자층이 확장될 수 있도록다양한 계층을 위한 서비스 기획 이용 가이드 마련 추진지속가능성 기술력이 높은 민간 플랫폼을 중심 민간주도 정부지원 으로 메타버스 지속에 견인할 수 있는 정부의 지원 검토리부트 메타버스는 를 통한 초지능 수많은 사용자 기술이 연결되는 초연결 로 구현되는 초실감의 가 융합된 세계 로 진화과도기적 단계를 거쳐 진화하는 세계 메타버스의 방향에 따라균형 있는 발전이 가능하도록 지원 및 연구법 제도적 이슈 등 과거부터 누적된 현안을 조속히 해결함과동시에 새롭게 발생하는 이슈 에 대한 선제적 대응 추진실효성을 갖춘 메타버스 서비스의 검증 안착으로 사회적 합의공감대를 형성하여 메타버스 생태계의 지속 가능한 환경 마련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640 성장동력산업 외환: 美테이퍼링 경계에 따른 강달러 압력 지속 1도토리 조정희
639 성장동력산업 금리: 경기둔화 우려 속 FOMC 테이퍼링 논의 주시 1도토리 조정희
638 성장동력산업 유사투자자문업 현황과 개선방향 3도토리 조정희
637 성장동력산업 유럽 및 독일의 3D 프린팅 산업 동향 3도토리 조정희
636 성장동력산업 실감콘텐츠 국내외 동향분석(제5호) 3도토리 조정희
635 성장동력산업 탄소배출 제로에 기여할 수 있는 수소내연기관의 잠재력 1도토리 조정희
634 성장동력산업 28 GHz 대역 LTCC기반 대역통과필터 설계 기술 1도토리 조정희
633 성장동력산업 인공지능 NPU Board 기술 1도토리 조정희
632 성장동력산업 40기가급 DetNet/TSN 패킷 전달 모듈(FPGA) 기술 1도토리 조정희
631 성장동력산업 머신러닝 기반 가상함수 스케일링 기술 1도토리 조정희
630 성장동력산업 엑소브레인 공정거래 법률 분야 심층질의응답 기술 V1.0 1도토리 조정희
629 성장동력산업 기후변화 대응이 거시경제에 미치는 영향 3도토리 조정희
628 성장동력산업 해외 ICT 표준화 동향 (2021년 9월 셋째주) 1도토리 조정희
627 성장동력산업 아세안의 전기차 산업 현황 3도토리 조정희
626 성장동력산업 급변하는 자동차 제조업과 SW 중심 전략 3도토리 조정희
625 성장동력산업 베트남 중소기업의 디지털 전환과 시사점 1도토리 조현상
624 성장동력산업 일본, 글로벌 자동차업체의 전기차 진출 가속화에 대응책 마련 서둘러 1도토리 조현상
623 성장동력산업 중국, 재정·금융 수단의 활용을 통한 녹색 발전에 박차 1도토리 조현상
622 성장동력산업 중소기업 인력난 해소를 위한 정책과제 1도토리 조현상
621 성장동력산업 대기업과 스타트업의 협력을 통한 혁신, 대스타 해결사 플랫폼 1도토리 조현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