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실감콘텐츠 국내외 동향분석(제6호)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조현상 조회수 42
용량 2.72MB 필요한 K-데이터 3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실감콘텐츠 국내외 동향분석(제6호).pdf 2.72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1-09-30 
출처 : 한국콘텐츠진흥원 
페이지 수 : 33 

[ 목 차 ]

 

1. 이슈 포커스 : MR 헤드셋을 넘어 AR 글래스 시장 겨냥한 Apple의 AR 생태계 조성 전략과 AR의 미래

2. 트렌드 브리프 Trends Brief
- 방송사의 메타버스 접목 사례...MZ 세대 공략 위한 새로운 시도
- 전 세계 24개국 55개 게임장 구축 계획 발표한 LBE VR 엔터테인먼트 대표주자 Zero Latency의 시장 확장 전략
- 일본 문화청, ‘버추얼 일본 박람회’ 오픈...자국 문화-예술 진흥에 체험형 가상공간과 디지털 콘텐츠 활용

 


 

1. VR을 넘어 AR에 주목한 AppleVR보다 주목받는 AR▶▶ Oculus Quest2의 흥행으로 VR에 대한 주목도가 커졌으나, 니치마켓을 벗어나진못한 상황MR 헤드셋을 넘어AR 글래스 시장 겨냥한 Apple의AR 생태계 조성 전략과 AR의 미래다수의 전문가들은 Apple의 특허 등록 증가 등을 근거로 Apple의 MR 헤드셋 출시가 임박했다고 지적한다. MR 헤드셋은 기존에 출시된 VR 헤드셋보다 가볍고 작은 크기로 별도의 컨트롤러도 제거한 형태로 2022년 가을출시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를 위해 Apple은 AR/VR 전용 칩셋을 설계한것으로 알려졌다.더욱 주목되는 지점은 MR 헤드셋이 일반소비자용 AR 글래스를 위한 가교 역할을 할 것이란 전망이다. Apple의 장기적인 비전은 차세대 컴퓨팅 플랫폼이 될 AR 글래스에 주목하고 있으며, 이를 위한 생태계 조성에 지속적인 관심을 보였다. Facebook 또한 VR 헤드셋을 넘어 일반소비자용 AR 글래스를 목표로 하고 있어 두 기업의 경쟁구도가 AR 글래스 시장 성장을 견인할 것으로 전망된다.Issue Focus 2021.09.3005실감콘텐츠 글로벌 동향분석• VR은 게임 및 엔터테인먼트 용도로 주목받았으나, 전체 게임시장 대비 VR 게임 시장은 매우 작은 부문에 그침• 컨설팅기업 Gartner의 애널리스트 Tuong Nguyen은 2020년 기준 VR 게임 총매출을 10억 달러로 추정하며 글로벌 게임시장 전체 매출액인 1,680억 달러의 1%도 안되는 규모라고 지적• 최고 흥행 기기로서 1,000만 대 판매량을 목표로 내건 Oculus Quest2의 활성사용자수는 200만 명 수준▶▶ 반 면 AR은 대형 IT 기업의 투자가 이어지며 차세대 컴퓨팅 플랫폼으로 지목되는 중• AR 시장분석업체 Artillery Intelligence에 따르면 AR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기업용 및 개인소비자용 제품 등을 포함하는 AR 관련 매출은 2020년 16억 달러 규모에서 2025년 180억 달러 규모로 빠르게 성장할 것으로 전망• 빠른 성장세 전망의 가장 큰 이유는 미 육군이 전투용 AR 글래스 제품을 위해Microsoft와 10년간 220억 달러 규모의 계약을 체결한 것• 또한 현재 AR 시장은 Microsoft의 HoloLens를 필두로 한 기업용 시장 중심으로 구성되었으나, 개인소비자용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며 AR 시장 확대를 견인할 것으로 기대• 개인용 AR 글래스 시장은 현재 거의 존재하지 않는 상황이나, 2025년이면 누적400만 대 규모의 시장을 형성할 것으로 전망• 특히 Apple의 AR 하드웨어가 시장을 주도하며 매우 빠른 성장세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 Apple의 MR 헤드셋이 2022년 가을에는 공개될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AR에대한 Apple의 지속적인 관심이 주목받는 중• Apple은 첫 iPhone이 출시하기도 전인 2006년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특허를 처음으로 출원한 이후 AR을 장기 계획의 􀀀심으로 여기는 중• Apple의 CEO Tim CooK은 오래 전부터 AR 기술의 팬을 자처해 왔으며, AR/VR 기기에 Apple의 장기적인 미래가 걸려있다고 판단• 최근 Apple의 AR/VR 관련 특허 등록과 루머가 증가하며 AR시장을 이끌 주요 기업으로 주목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631 성장동력산업 지속 가능한 디지털화 1도토리 조현상
630 성장동력산업 2021년 독일 총선 분석과 전망 1도토리 조현상
629 성장동력산업 자가주거비와 소비자물가 1도토리 조현상
628 성장동력산업 소득세 세부담 누진에 대한 검토 1도토리 조현상
627 성장동력산업 고전도성 저비용 금속 페이스트 소재 및 공정 기술 1도토리 조현상
626 성장동력산업 포토레지스트 소재 및 OLED응용 기술 1도토리 조현상
625 성장동력산업 리부트 메타버스, 2.0시대로의 진화 3도토리 조현상
624 성장동력산업 고객이 원하는 모든 것, 고객 경험: 금융산업을 중심으로 3도토리 조현상
623 생명공학/바이오 수소 제조부터 수송, 현지 판매까지... 한눈에 보는 일본 종합상사의 수소사업 1도토리 조현상
622 성장동력산업 멀티클라우드 서비스 공통 플랫폼 기술 1도토리 조현상
621 성장동력산업 범죄 유형 추론 기술 1도토리 조현상
620 성장동력산업 Digital 트윈 활성화 방안 7도토리 조현상
619 성장동력산업 [2021] 09월 HPC Trend Report : ISC 2021 소식 1도토리 조현상
» 성장동력산업 실감콘텐츠 국내외 동향분석(제6호) 3도토리 조현상
617 성장동력산업 중국 철강산업 이슈와 전망 1도토리 조현상
616 성장동력산업 베이징증권거래소 설립과 의미 1도토리 조현상
615 성장동력산업 기후변화 대응이 산업에 미치는 영향 1도토리 조현상
614 생명공학/바이오 중국 의료서비스산업의 동향과 시사점 1도토리 조현상
613 성장동력산업 텍스트 분석을 통해 바라본 국내 자동차 산업구조 변화 7도토리 조현상
612 성장동력산업 해외 ICT 표준화 동향 (2021년 9월 5째주) 1도토리 조현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