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산업분석] ESG 활동의 가치관련성 제고를 위한 개선과제 |
---|
분류 | 성장동력산업 | 판매자 | 노민우 | 조회수 | 56 | |
---|---|---|---|---|---|---|
용량 | 887.72KB | 필요한 K-데이터 | 9도토리 |
파일 이름 | 용량 | 잔여일 | 잔여횟수 | 상태 | 다운로드 |
---|---|---|---|---|---|
[산업분석] ESG 활동의 가치관련성 제고를 위한 개선과제.pdf | 887.72KB | - | - | - | 다운로드 |
데이터날짜 : | 2022-12-16 |
---|---|
출처 : | 자본시장연구원 |
페이지 수 : | 71 |
<목 차>
Ⅰ. 서론
Ⅱ. 선행연구의 검토 및 연구주제
1. ESG 활동과 기업가치
2. 연구주제
Ⅲ. ESG 활동과 가치창출요소 간의 관계
1. 분석표본
2. 기업가치창출 경로별 활용변수
가. 현금흐름경로
나. 기업고유위험경로
다. 상대가치평가경로
3. ESG 활동과 기업가치창출 경로별 상관관계
가. 현금흐름경로
나. 기업고유위험경로
다. 상대가치평가경로
4. ESG 활동과 기업가치창출 경로별 인과관계
가. 현금흐름경로
나. 기업고유위험경로
다. 상대가치평가경로
5. ESG 점수 기반 포트폴리오 수익률
6. 소결
Ⅳ. 중요성공시와 ESG 활동의 효과
1. 중요성공시(MD) 자료
2. 표본의 구성 및 기초통계량
가. 중요성공시에 따른 ESG 성과 개선 포트폴리오의 구성 및 기초통계량
나. 횡단면 회귀분석 표본 구성 및 기초통계량
다. 주가표류현상 분석 표본 구성 및 기초통계량
3. 중요성공시에 따른 기업 ESG 활동에 대한 주식시장 반응
4. 중요성공시에 따른 기업 ESG 활동의 지속성
5. 중요성공시에 따른 기업 ESG 활동과 현금흐름창출역량 간의 인과관계
6. 소결
Ⅴ. 결론 및 정책적 시사점
기업이 사회공동체의 일원으로 지속가능한 활동에 노력을 기울이고 환경‧사회적으 로 의미 있는 성과를 창출한다면, 그 자체로 계속기업의 가정을 공고히 하는 것이다. 따 라서 ESG 성과와 기업가치 간의 관련성은 당위적으로 받아들여진다. 그런데도 오랜 기 간 다수의 실증문헌은 ESG 성과와 기업의 재무성과 혹은 기업가치 간의 관계에 대해 엇 갈린 결론을 제시해왔다(Waddock & Graves, 1997; Zhao & Murrell, 2016). 특히, 우리 나라의 경우 상품‧서비스 시장에서의 구매의사결정은 물론 자본시장 참여자들의 투자 의사결정에도 기업의 ESG 성과가 체계적으로 반영되는지를 강건하게 입증하지 못했다 (김세희 외, 2022). 본 연구보고서의 목적은 기존의 ESG 활동과 기업가치의 관련성에 대해 일관되지 않 은 논의를 통합하고, 재무적 중요성 관점에서 둘 간의 관계를 재조명하는 데 있다. 국내 상장기업의 ESG 활동과 기업가치 간 관계를 살펴본 결과, 기존 연구에서 일관된 실증증거를 확인하지 못한 주된 이유는 총체적인 ESG 성과의 개선 활동이 평균적으로는 기업의 가치를 창출하는 핵심 경로에서 벗어나 있다는 점에 기인한다. 재무적으로 중요한 활동에 집중하여 ESG 성과를 개선한 기업은 주식시장에서 장기간 초과수익률을 달성하 였을 뿐만 아니라 높은 ESG 성과를 지속해서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재무적으로 중요한 ESG 활동일수록 기업의 장기적인 가치창출과 깊게 연계되 어 더 지속가능함을 의미하며, 궁극적으로는 자본시장에서도 재무적으로 중요한 ESG 활 동의 높은 가치관련성을 증권가격에 체계적으로 반영함을 시사한다. 다만, 단기적으로는 시장참여자들이 이를 적시에 이해하기보다 과소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는 ESG 성과를 개선하여 기업가치를 높이고자 하는 경영자는 물론, 최근 우리나라 자본시장의 만성적인 할인 현상을 완화하고자 하는 정책당국에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우선, 기업들은 재무적으로 중요한 ESG 활동을 영위할 필요가 있다. 장기적으 로 재무성과를 견인하지 못하는 ESG 활동은 주주의 이익을 보호하는 것을 지향해온 현 행의 법체계 하에서 제도적으로 억제됨은 물론 핵심 이해관계자의 지속적인 지지를 끌어 내기도 어렵다. 다음으로, 자본시장의 참여자들이 ESG 활동의 가치관련성을 적시에 이해할 수 있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공시를 통해 ESG 활동의 재무적 중요성을 명확히 표현할 수 있어야 한다. 재무적 중요성이 높은 ESG 활동의 성과는 비재무적인 성과보다 상대적으로 더 비 교가능할 것임에도 단기적으로는 투자자들의 과소반응이 확인되며, 이는 시장의 평가 메 커니즘을 개선할 필요성을 제기한다. 2025년부터 단계적 의무화가 예정되어있는 ESG 정 보의 공시제도는 기업가치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위험 및 기회 요인을 중심으로 식별‧ 보고체계를 갖출 필요가 있으며, 이를 통해 ESG 성과의 개선과 공시가 지속가능한 자금 조달의 원천이 되는 선순환 효과를 도모할 필요가 있다. 지난 십수년간 많은 기업들이 Environmental, Social and Governance(이하 ESG) 활동에 상당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와 동시에 기업의 ESG 성과를 표준화하여 측정 하고, 평가하려는 시도가 계속되었으며, 자본시장의 투자자들 또한 이를 투자의사결정에 체계적으로 반영하려는 노력을 경주해왔다. 학술문헌들도 기업의 ESG 성과가 기업의 가 치를 제고하는지의 관점에서 ESG 활동에 대한 경제적 시사점을 도출해왔다. 그러나 ESG 성과와 기업의 재무성과 혹은 기업가치 간의 관계를 살펴본 실증문헌들의 결론은 엇갈리 고 있다(Waddock & Graves, 1997; Zhao & Murrell, 2016). 우리나라 기업을 분석한 연 구들도 일관된 결과를 찾지 못하고 있다(김세희 외, 2022). 즉, 상품서비스시장이나 자본 시장의 참여자들이 ESG 성과를 구매의사결정이나 투자의사결정에 체계적으로 반영한다 는 증거가 부재한 것이다.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