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정책분석] 아프리카 주요국의 수소산업 동향 및 시사점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노민우 조회수 219
용량 939.66KB 필요한 K-데이터 5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정책분석] 아프리카 주요국의 수소산업 동향 및 시사점.pdf 939.66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12-07 
출처 : 한국수출입은행 
페이지 수 : 23 

<목 차>

 

Ⅰ. 아프리카 지역에서 수소 개발의 중요성 대두

Ⅱ. 아프리카 주요국의 수소산업 동향 및 개발 잠재력

1. 남아프리카공화국 2. 모로코 3. 나미비아

Ⅲ. 시사점

 


Ⅰ. 아프리카 지역에서 수소 개발의 중요성 대두 Ÿ 아프리카는 1인당 전력 보급률 및 소비량이 현저히 낮아 에너지 사용에 대한 잠재수요가 높으며, 빠른 인구 증가와 더불어 경제활동 및 가계소득 증가, 급격한 도시화 현상 등으로 인해 향후 에너지 수요가 크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 아프리카 지역이 보유한 막대한 에너지 자원에도 불구하고 아프리카 국가의 주민들은 여전히 에너지 빈곤을 겪고 있으며, 향후 에너지 수요의 증가를 전망할 때 현대화된 에너지의 개발 및 투자 확대는 시급한 과제임. Ÿ 아프리카는 풍부한 재생에너지원과 발전단가의 하락으로 재생에너지 개발의 높은 잠재력을 보유함에 따라 재생에너지를 활용하여 생산이 가능한 수소가 차세대 에너지원으로 떠오름. Ÿ 그 결과 아프리카 지역에서는 재생에너지를 활용한 일련의 수소 개발 프로젝트가 계획 혹은 진행 중임. 이집트, 모로코, 남아공은 아프리카 지역 수소 개발 프로젝트를 주도하고 있으며, 최근 모리타니와 나미비아도 그린 수소 및 암모니아 관련 프로젝트를 발표함. - 프로젝트가 완료될 경우 수소 생산은 현재 약 3백만 톤(대부분 화석연료 기반)에서 2050년 2천만 톤(저탄소 수소 비중 80%)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며, 생산된 수소 중 2030년에는 10%, 2050년에는 1/3이 주로 유럽 지역으로 수출될 예정임. Ⅱ. 아프리카 주요국의 수소산업 동향 및 개발 잠재력 1. 남아공 Ÿ 남아공은 세계적 수준의 태양에너지 자원과 재생에너지 개발에 대한 정부의 높은 의지, 풍부한 백금족 광물 매장량(전 세계 추정매장량의 약 90%)을 바탕으로 아프리카 지역의 그린 수소 개발을 주도하고 있음. - 아프리카에서 가장 산업화된 경제를 보유한 남아공은 물류 인프라 및 항구가 잘 발달되어 있어 향후 비용 효율적 수소 생산과 더불어 수소 수출에 있어 잠재력이 높음. Ÿ 2022년 2월 과학혁신부(DSI)는 그린 수소와 그린 암모니아 수출시장 조성, 수소제품 제조를 위한 센터 설립, 국내 수소 공급망 개발, 2030년까지 그린 수소 50만 톤 생산, 2040년까지 수소 기반 15GW 용량의 전력 생산을 목표로 한 수소 생산 로드맵인 ‘South African Hydrogen Society Roadmap(HSRM)’을 발표함. - 현재 그린 수소 및 암모니아 개발을 위한 4개의 대규모 촉매 프로젝트가 개발 중임. 대표적으로는 전 세계 백금족 자원 중 70%가 매장된 Bushveld Igneous Compex(BIC)와 산업 및 상업 지역인 Johannesburg, Mogalakwena, Durban을 연결하는 835km의 ‘수소 밸리’(hydrogen valley) 건설 계획인 The Platinum Valley Initiative(PVI), 그린 수소 및 암모니아 생산 및 수출을 위한 Boegoebaai Green Hydrogen Development Project가 있음. 2. 모로코 Ÿ 모로코는 풍부한 재생에너지원을 바탕으로 일찍이 아프리카 지역의 재생에너지 분야의 선두 주자로 자리매김했으며, 2010년에는 국가 에너지 전략 수립, 2019년에는 국가 수소위원회 창설, 2021년에는 국가 그린 수소 로드맵 개발을 통해 수소 개발을 꾀함. Ÿ 모로코는 그린 수소 생산을 위하여 유럽과의 기술협력 협정을 체결했는데, 대표적으로는 2020년 6월 독일과 체결한 독일-모로코 수소 협정이 있음.

 

화면 캡처 2022-12-16 142408.png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4480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아시아-태평양 국가의 디지털 변환 시장분석 및 주요과제 7도토리 강정훈
447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비건 섬유소재 산업 동향 및 시사점 3도토리 국준아
447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극자외선 공정용 펠리클 개발 동향 및 전망 3도토리 국준아
4477 성장동력산업 [동향분석] 인터넷, 게임분야 동향분석 7도토리 국준아
447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글로벌 집행기관 동향 및 좀비기업 분석 3도토리 국준아
4475 생명공학/바이오 [동향분석] 2022년 일본 바이오안전성 동향 5도토리 장민환
4474 생명공학/바이오 [동향분석] 바이오 폐기물 시장 현황 1도토리 장민환
4473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GRC의 정의와 주요 기업 현황 5도토리 장민환
4472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022년 7대 통상뉴스와 2023년 통상환경 전망 5도토리 장민환
447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연구와 교육 분야를 중심으로 한 신뢰 및 신원 관리 기술의 동향 5도토리 장민환
4470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인공지능 학습 데이터 공유 및 활용 동향과 서비스 구축 방향 5도토리 장민환
446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항공분야 2023년 분석 5도토리 장민환
446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현대중공업그룹 2023년 계획 1도토리 장민환
4467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기후변화 취약계층 보호대책 개선 방향 3도토리 노민우
4466 성장동력산업 [동향분석] 러시아 과학기술 월간 현황 3도토리 노민우
4465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IP 기반의 방송 미디어 제작 기술 현황 3도토리 노민우
446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서비스 상상과 스마트 TR 글래스 3도토리 노민우
4463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MPI 집합 통신 성능 향상을 위한 연구 현황 3도토리 노민우
4462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AI 봇을 위한 멀티에이전트 협업 기술 현황 3도토리 노민우
4461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동적 환경 로봇 이동지능 기술의 동향 3도토리 노민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