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중국 철강산업 이슈와 전망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조현상 조회수 101
용량 648.07K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중국 철강산업 이슈와 전망.pdf 648.07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1-09-30 
출처 : 정부산하기관 
페이지 수 :  

○ 중국은 1996년에 이미 글로벌 조강 생산 1위 국가에 올랐으며 2000년 1억 2,900만 톤에서 2020년 10억 6,500만 톤까지 생산량이 빠르게 증가하면서 세계 철강산업을 주도

- 2000년 세계 철강 생산에서 비중은 15%였으나 2020년에는 57%까지 상승 

 

○ 최근 20년간 중국 철강산업은 고성장기를 거쳐 정체기, 구조조정기 등을 집약적으로 경험하고 있는데, 개도국에서 기간산업 성격이 강한 철강산업의 특성상 정부 산업정책이 큰 영향
- WTO 가입과 함께 경제의 폭발적 성장으로 철강 소비가 급증하던 2000년대 전반부는 대대적으로 설비 확장을 추진하는 한편, 자국 산업 보호를 위한 외자 진입 제한 정책을 실시
- 2000년대 중반 이후 철강 설비 투자 과열을 억제하는 한편, 해외 철광석 광산 투자 등 자원확보를 추진하며 철강산업의 고성장을 지원
- 대규모 재정 투자로 글로벌 금융위기에 대처하며 발생한 과잉설비 문제가 2014년경부터 현실화하면서 철강산업은 대량의 초과 생산분을 전 세계에 저가로 수출하며 무역마찰을 빚고 저수익 구조에 노출

- 중국 정부는 2017년부터 대대적인 산업 구조조정에 착수해 설비 신증설을 제한하고, 노후설비와 불법 생산설비를 폐쇄했으며 업계 통합 및 대형화, 환경 기준의 대폭 강화, 글로벌화 장려 등 산업구조 업그레이드를 추진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608 성장동력산업 부동산: 규제 완화 기대감은 여전 1도토리 조현상
607 성장동력산업 외환: 헝다 그룹 사태로 강달러 압력 부각 1도토리 조현상
606 성장동력산업 금리: 주요국의 긴축 행보로 상승 압력 확대 1도토리 조현상
605 성장동력산업 상장기업의 임원보수와 미등기 지배주주 이슈 3도토리 조현상
604 성장동력산업 ESG 평가 격차와 지배구조 평가 이슈 1도토리 조현상
603 성장동력산업 SPAC 시장의 건전한 발전 방향에 대한 소고 1도토리 조현상
602 성장동력산업 일본의 증권토큰발행(STO) 현황과 시사점 1도토리 조현상
601 성장동력산업 메타버스 관련 국내외 금융업의 현황과 이슈 1도토리 조현상
600 성장동력산업 코로나19와 실업률 하향편의 1도토리 조현상
599 성장동력산업 개별입지 중소기업 밀집지역에 대한 지원 필요성 검토 3도토리 조현상
598 성장동력산업 학습용 VR 3D 콘텐츠 저작 SW 1도토리 조현상
597 성장동력산업 가상중재 기반 바리스타 가상훈련 콘텐츠 기술 1도토리 조현상
596 성장동력산업 REACH 규제의 현주소와 발전 방향 1도토리 조현상
595 성장동력산업 전략적인 인프라 시스템의 해외 전개를 위해(일본) 3도토리 조현상
594 성장동력산업 환경 인프라의 해외 전개를 위한 전략적 추진에 대해(일본) 1도토리 조현상
593 성장동력산업 아시아 대기환경 개선을 위한 통합 프로그램(IBAQ) 및 청정공기 아시아(CAA) 1도토리 조현상
592 성장동력산업 환경 분야와 관련 분야에서 향후 JICA사업의 방향성 3도토리 조현상
591 성장동력산업 이동통신 표준화와 기술 발전 현황 1도토리 조현상
590 성장동력산업 지속 가능한 디지털화 1도토리 조현상
589 성장동력산업 2021년 독일 총선 분석과 전망 1도토리 조현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