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산업분석] 이머징 시티즌의 등장과 사회적 전환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정한솔 조회수 109
용량 1.05MB 필요한 K-데이터 5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산업분석] 이머징 시티즌의 등장과 사회적 전환.pdf 1.05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12-05 
출처 : 국회미래연구원 
페이지 수 : 24 

<목 차>

 

Ⅰ. 이머징 시티즌의 등장
Ⅱ. 이머징 시티즌과의 만남
Ⅲ. 미래 전망 워크숍 프로그램
Ⅳ. 이머징 시티즌과 나눈 미래 대화
Ⅴ. 성장 앞에 붙여야 할 단어들

 


지난 4년 동안 국회미래연구원이 전국에 거주하는 시민들과 새로운 선호미래상을 논의한 결과, 어느 지역이든, 성별이든, 세대이든 대다수가 공감하는 것은 ‘경제성장 중심의 미래상’을 극복해야 한다는 것이었다(박성원 외, 2019; 박성원, 2020; 박성원, 2021a). 더 이상 매년 경제성장률만으로 한국 사회의 미래를 판단하지 말자는 것이었다. 경제가 중요하지 않다는 것이 아니라 경제만 중요하다는 생각에서 벗어나자는 것이었다. 2021년 국회미래연구원은 ‘성장사회를 넘어 성숙사회로 전환’이라는 선호미래상을 제시한 바 있다(국회미래연구원, 2021). 15년 앞의 선호미래상을 국민과 함께 숙의토론한 결과 성숙사회라는 미래상이 도출되었다. 성숙사회는 ‘국가 주도적 성장을 지양하고 개인이 자율적으로 성장을 기획하고 추구하는 사회’, ‘중앙집권적 거버넌스를 넘어 지역사회의 자율적 거버넌스를 강화하는 사회’, ‘무엇보다 사회적 약자와 소수를 돌보는 사회’로 정의할 수 있다. 이런 국민의 요구는 사실 새로운 것이 아니다. 그러나 성장사회를 추구하는 사회적, 정치적 관성 탓에 대안적 미래비전으로 발전하지 못했다. 이제는 이런 요구의 실체를 인정해야 한다. 기존의 경제성장 중심의 비전을 대체하는 미래상으로 당장에 정하기는 어렵더라도 대안적 미래의 후보군으로 고려할 수 있다. 선호미래상은 많을수록, 그래서 서로 치열하게 경쟁할수록 사회 발전에 유익하다. 그만큼 우리사회가 당면한 문제의 근원을 다른 시각에서 분석하고 대안을 창조하는 기회를 만들 수 있기 때문이다. 성숙사회가 일반시민에게 대안적 미래비전과 장기간 추구해야 할 선호미래로 받아들여지려면 많은 시간이 필요할 것이다. 성숙사회라는 미래사회상을 실현하면 어떤 미래가 펼쳐질 것인지 이해하려고 해도 수많은 시행착오와 노력이 요구될 것이다. 그러나 우리사회 곳곳에서 성숙사회의 씨앗을 심거나 성장사회의 한계를 논의하고 대안을 찾으려는 지역이나 공동체, 개인들이 있을 것이다. 이들이 성숙사회의 씨앗을 심어놓고 키우지 않았더라면 우리는 이런 비전을 발견할 수 없었을 것이기 때문이다. 우리는 한국의 문화적 전통에서, 다양한 사회적 실험에서, 개인 단위의 실천에서 성숙사회를 구성하는 조각들이 만들어져 있을 것으로 생각했고, 이를 발견하는 작업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우리는 이들을 만나보기로 했다. 물론, 이들이 명시적으로 ‘성숙사회’를 언급하지는 않았어도 성장사회의 한계를 앞서 경험하고 이를 극복할 대안적 생각들을 공유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우리는 이들 시민을 ‘이머징 시티즌(emerging citizen)’이라고 명명했다. 우리말로는 창발적 시민인데, 두 가지 의미가 중첩되어 있다.

 

화면 캡처 2022-12-14 142353.png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4460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AI와 국제규범 전략을 중심으로 분석한 영국의 디지털 정책 3도토리 노민우
445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인공진능 산업의 VC 투자 현황과 시사점 3도토리 노민우
445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벤처기업 2022년 실태조사 9도토리 노민우
4457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AI 학습용 데이터의 파급효과 연구 9도토리 노민우
4456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국내 증권사의 외국환업무 현황과 그에 따른 시사점 5도토리 노민우
4455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유통: 면세점업의 투자 전략 1도토리 노민우
445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주식시장 투자전략 1도토리 국준아
4453 성장동력산업 [동향분석] 세림 B&G의 친환경 분야 성장세 지속 1도토리 국준아
4452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손해보험: DB손보, 현대해상, 한화손보 3도토리 국준아
445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멀티-에셋 전략 3도토리 국준아
4450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글로벌 산업 정책 동향_ 12월 워싱턴 주간 브리핑 3도토리 국준아
444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스테이블 코인의 위험과 정책 과제 3도토리 국준아
4448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헬스케어 데이터의 유통 현황과 활성화 방법 7도토리 국준아
4447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블록체인 데이터 유통 모델 활성화 방법 9도토리 국준아
4446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장기 거시경제 추세의 영향 5도토리 국준아
4445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부동산 가격 상승에 따른 가계의 자산, 부채에 미치는 영향 분석 5도토리 국준아
4444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2020-21년 상하이 저작권산업보고서 분석 3도토리 국준아
4443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메타버스; ICT 융합 표준 프레임워크 9도토리 국준아
4442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해외 주요국 사례를 중심으로 민관협력을 통한 공공서비스 고도화 사례 5도토리 국준아
444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디지털플랫폼 정부를 위한 싱가폴 사례 5도토리 국준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