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산업분석] 인재의 혁신역량 향상을 위한 대학교육 개선 방향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정한솔 조회수 103
용량 1.25MB 필요한 K-데이터 5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산업분석] 인재의 혁신역량 향상을 위한 대학교육 개선 방향.pdf 1.25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12-12 
출처 : 국회미래연구원 
페이지 수 : 24 

<목 차>

 

Ⅰ.연구의 필요성
Ⅱ.4차산업혁명 시대 인재의 혁신역량 향상을 위한 학습의 특징
Ⅲ. 인재의 혁신역량 향상을 위한 대학교육에서 학습지원 전략
Ⅳ. 대학생의 혁신역량 향상을 위한 학습지원 진단지표(안) 개발
Ⅴ. 연구의 시사점 및 활용 방안

 


• 4차산업혁명 시대 혁신을 통한 국가 경제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서는 체계적인 인재양성이 필요하며 이를 위한 대학교육의 변화가 요구됨 - 대학교육 변화와 관련하여 노동시장 입직 준비 단계에 있는 대학생들의 혁신역량 향상을 위해 효과적인 학습지원에 관한 정책적 논의 및 지원 필요 • 본 연구는 인재의 혁신역량 향상을 위한 대학교육의 변화 방향과 관련하여 학습지원의 효과성 증진을 위한 방향 및 방안의 탐색을 목적으로 하며, 구체적인 방안 제시를 위해 대학생 대상 혁신역량 향상을 위한 대학교육의 학습지원 수준 진단지표(안)를 개발하였음 - 지표 초안은 내·외부 연구진의 공동작업을 통해 개발되었으며, 지표 타당화를 위해 교육, 경제 및 경영, 과학기술정책 분야 전문가 20인 대상 델파이 조사를 2회에 걸쳐 실시하였고, 그 결과를 반영하여 최종안을 제시함 • 4차산업혁명 시대 인재의 혁신역량 향상을 위한 학습의 특징 - 새로운 가치창출을 위해 기존 지식의 파괴와 재조합, 분야 간 지식의 연결 및 통합, 다른 분야에서 기존 지식의 활용이 강조되며, 지식의 파괴와 재조합에서 개개인의 학습은 가장 근본적이고 필수적인 활동임 - ‘실행역량’ 향상에서 ‘개념설계 역량’ 개발을 위한 학습으로의 패러다임 전환 및 표준화된 대량의 지식 획득 중심에서 상황별 적합한 지식을 창출하는 구성주의적 관점 채택 필요 - 대학교육에서 구성주의 학습 패러다임에 기반한 성인학습의 유형으로 경험학습, 자기주도학습, 무형식학습, 실수로부터의 학습, 협력학습을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함 • 인재의 혁신역량 향상을 위해 대학에 요구되는 학습지원 전략 - 다양한 경험과 관점에 노출, 사전에 계획되지 않은 실제 상황에서 흥미와 관심에 따른 자유로운 탐색, 새로운 지식과 발견에 대한 개방적 태도 형성, 도전을 멈추지 않는 끈기 형성, 기존 지식의 재해석 및 재구조화 촉진, 문제해결의 전과정을 주도한 경험 제공, 타인과 의사소통 및 협력 기회 확대 • 인재의 혁신역량 향상을 위해 대학교육에서 적극적으로 활용이 필요한 학습유형 및 학습지원 전략의 실천방안을 구체화하고 실천 수준을 진단할 수 있는 ‘대학생 혁신역량 향상을 위한 대학교육의 학습지원 지표(안)’을 개발함 - 지표체계는 환경영역 및 사람영역으로 구성하였으며, 하위영역으로 환경영역은 문화 및 제도 영역, 사람영역은 인지역량 및 비인지역량 영역으로 구성함 - 정부 및 산하기관에서 대규모 표본조사를 통해 정기적으로 수집 및 관리하는 가용한 통계자료를 주로 활용하여 지표를 도출함 • 본 연구에서 제시한 4차산업혁명 시대 인재의 혁신역량 향상을 위한 학습 유형, 학습지원 전략, 학습지원 진단 지표(안)은 향후 아래와 같이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함 - 대학에서 구체적인 학습지원 방법으로 활용 및 혁신역량 향상을 위한 대학교육의 수준 변화 추세의 진단 - 4차산업 관련 혁신인재 및 디지털 융합인재 양성을 위한 세부 정책 수립·추진의 기초자료로 활용 및 대학 혁신 관련 지원 사업의 기초자료로 활용

 

화면 캡처 2022-12-14 141923.png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4460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AI와 국제규범 전략을 중심으로 분석한 영국의 디지털 정책 3도토리 노민우
445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인공진능 산업의 VC 투자 현황과 시사점 3도토리 노민우
445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벤처기업 2022년 실태조사 9도토리 노민우
4457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AI 학습용 데이터의 파급효과 연구 9도토리 노민우
4456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국내 증권사의 외국환업무 현황과 그에 따른 시사점 5도토리 노민우
4455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유통: 면세점업의 투자 전략 1도토리 노민우
445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주식시장 투자전략 1도토리 국준아
4453 성장동력산업 [동향분석] 세림 B&G의 친환경 분야 성장세 지속 1도토리 국준아
4452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손해보험: DB손보, 현대해상, 한화손보 3도토리 국준아
445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멀티-에셋 전략 3도토리 국준아
4450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글로벌 산업 정책 동향_ 12월 워싱턴 주간 브리핑 3도토리 국준아
444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스테이블 코인의 위험과 정책 과제 3도토리 국준아
4448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헬스케어 데이터의 유통 현황과 활성화 방법 7도토리 국준아
4447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블록체인 데이터 유통 모델 활성화 방법 9도토리 국준아
4446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장기 거시경제 추세의 영향 5도토리 국준아
4445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부동산 가격 상승에 따른 가계의 자산, 부채에 미치는 영향 분석 5도토리 국준아
4444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2020-21년 상하이 저작권산업보고서 분석 3도토리 국준아
4443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메타버스; ICT 융합 표준 프레임워크 9도토리 국준아
4442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해외 주요국 사례를 중심으로 민관협력을 통한 공공서비스 고도화 사례 5도토리 국준아
444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디지털플랫폼 정부를 위한 싱가폴 사례 5도토리 국준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