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산업분석] 클라우드 상호운용성 시험·컨설팅 지원 성과및 기업 사례 |
---|
분류 | 성장동력산업 | 판매자 | 조정희 | 조회수 | 52 | |
---|---|---|---|---|---|---|
용량 | 262.45KB | 필요한 K-데이터 | 3도토리 |
파일 이름 | 용량 | 잔여일 | 잔여횟수 | 상태 | 다운로드 |
---|---|---|---|---|---|
[산업분석] 클라우드 상호운용성 시험·컨설팅 지원 성과및 기업 사례.pdf | 262.45KB | - | - | - | 다운로드 |
데이터날짜 : | 2022-12-12 |
---|---|
출처 : |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
페이지 수 : | 7 |
<목 차>
1. 머리말
2. 클라우드 상호운용성 시험 및 컨설팅 지원 성과
3. 클라우드 상호운용성 시험 및 컨설팅 지원 성과 기업 사례
4. 맺음말
4차산업혁명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초연결사회를 향해 달려가고 있는 현대 사회에서 클라우드는 IT 서비스 제공을 위해서 더 이상 선택이 아닌 필수 인프라가 되었다. 초기에 IT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도입된 클라우드는 인공지능, 빅데이터와 같은 기술과 융합되어 최근에는 더 많은 클라우드 기반의 서비스들이 생겨나는 추세다. 이러한 클라우드 서비스의 풍족함은 클라우드 제공자에게는 확장의 기회를, 클라우드 사용자에게는 선택의 다양성을 가져다주었고, 이러한 기회와 선택의 혜택을 더욱 쉽게 누릴 수 있도록 TTA에서는 시험과 컨설팅을 국내 클라우드 기업에 제공하고 있다. TTA에서 지원하는 시험은 이기종 클라우드 환경에서 상호운용성과 이식성을 확인할 수 있도록 국제 표준1) 기반의 시험 항목을 통해 서비스의 상호 연동, 이식 능력에 대한 검증을 수행한다. 컨설팅의 경우에는 서비스의 상호운용성과 이식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클라우드 분야의 표준이나 기술 활용 가이드를 체계적으로 제공한다. 이렇게 TTA는 국내 클라우드 유관 기업의 서비스 및 제품 간 상호운용성 확보를 통한 글로벌 경쟁력 제고와 클라우드 이용자의 서비스 선택 자율성 확보를 통한 이용자 보호 및 편의 제고를 목적으로 매년 일정 규모의 대상 클라우드 서비스를 선정하여 무상으로 시험과 컨설팅을 제공하고 있으며, 지원 유형에 따라 시험 결과서, 인증서 및 컨설팅 결과서를 제공하고 있다. 본 고에서는 클라우드 상호운용성 확보에 대한 국내 클라우드 기업들의 인식 확산 및 참여 확대를 위해 그동안 클라우드 상호운용성 시험·컨설팅 지원 성과와 일부 기업들의 사례에 대하여 소개하고자 한다. TTA에서는 클라우드 상호운용성 시험 및 컨설팅의 지원 성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2016년부터 2021년까지 클라우드 상호운용성 시험 및 컨설팅을 받은 80여 개의 기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 심층 인터뷰 등 종합적인 성과조사를 실시하였다. 온라인 설문조사의 경우 비용절감, 품질향상, 지식재산권, 기술이전, 업무협약, 매출, 투자유치, 신규사업 수주, 신규 납품, 신규 고용의 10가지 항목으로 진행되었으며, 조사 결과 시험 및 컨설팅 결과를 업무에 적용한 응답 기업들 가운데 83.9%가 관련 효과를 얻은 것으로 조사 되었다. 온라인 설문조사의 경우 비용절감, 품질향상, 지식재산권, 기술이전, 업무협약, 매출, 투자유치, 신규사업 수주, 신규 납품, 신규 고용의 10가지 항목으로 진행되었으며, 조사 결과 시험 및 컨설팅 결과를 업무에 적용한 응답 기업들 가운데 83.9%가 관련 효과를 얻은 것으로 조사 되었다. 각 항목별로 효과를 살펴보면, 먼저 비용 절감 효과 측면에서는 70.8%가 비용 절감 효과가 발생하였다고 응답하였는데 기존 대비 비용이 절감된 정도는 기업당 평균 25%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어떠한 비용이 절감되었는지에 대해서는 서비스 검증 비용의 절감 효과를 본 경우가 58.8%로 절반 이상이었다. 서비스 투입 인건비 35.3%, 서비스 고도화 비용 29.4%, 클라우드 서비스 인프라 사용료 29.4% 등의 절감 효과도 확인되었다. 서비스 품질향상 측면에서는 시험 및 컨설팅 결과를 업무에 적용한 기업 중 75%가 향상 효과가 있다고 응답하였다. 기업당 기존 대비 평균 20%의 품질향상 효과가 나타난 것으로 조사되었는데, 구체적으로는 서비스 기능 제공 수준이 향상된 경우가 72.2%로 가장 많았으며, 서비스 상호운용성 향상 38.9%, 서비스 이식성 향상 33.3% 등으로 응답하였다.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