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산업분석] 은행분야_연말 배당 점검 [12월 monthly]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조정희 조회수 47
용량 970.01KB 필요한 K-데이터 3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산업분석] 은행분야_연말 배당 점검 [12월 monthly].pdf 970.01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12-12 
출처 : 증권사 
페이지 수 : 13 

4분기 예상 배당수익률은 5.0% 최근 은행업의 호조는 연말 배당에 대한 기대가 반영되는 현상으로 판단한다. 다만 연간 배당수익률과 4분기 배당수익률은 구분해야 하는데, 중간배당과 분기배당을 시작한 은행들이 늘어나면서 이 차이가 확대되고 있기 때문이다. 9일 종가 기준 4분기 배당수익률이 가장 높은 은행은 BNK금융지주로 8.7%에 달하며, DGB금융지주, 기업은행, 우리금융지주, JB금융지주, 하나금융지주, KB금융, 신한지주 순으로 높다. 대형 3사는 미리 지급한 배당이 많기 때문에 4분기 커버리지 은행 합산 배당수익률은 5.0%를 기록할 전망이다. 배당락은 대형 3사가 상대적으로 적을 것으로 예상한다. 배당을 감소시킬 수 있는 변수 다만 연말 결산을 거치면서 주주환원 금액을 감소시킬 수 있는 변수들이 존재한다. 이익의 면에서는 선제 충당금 적립과 대규모 희망퇴직을 들 수 있다. 과거에도 4분기에 어닝쇼크가 발생한 경우가 많았기 때문에 위 변수들로 인한 이익 부진과 배당 감소 가능성을 배제할 수는 없다. 자본에서도 대손준비금 추가 적립이라는 변수가 있으나 영향은 크지 않을 전망이다. 여기에 최근 은행들이 유동성 지원 조치에 적극 참여하고 있기 때문에 당국이 대손준비금 추가 적립을 필요로 하지 않을 가능성도 있다. 이에 더불어 최근 당국에서 배당에 대한 개입을 최소화하겠다는 의사를 밝힌 바 있기 때문에 전년도 배당성향을 하회하는 수준에서 상한선을 설정하는 조치가 다시 이루어지지는 않을 것으로 판단한다. Monthly review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은행업은 4분기에 배당 기대에 힘입어 증시 대비 양호한 주가수익률을 보이고 있다. 다만 배당 이후에는 다시 부진한 흐름이 나타날 수 있다고 판단한다. 지속적인 기준금리 인상이 이자비용률 상승 부담으로 이어져 순이자마진에 하락 압력으로 작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최근 부동산 가격 하락과 무역적자 누적 등 지속적으로 경기 침체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는 점도 부담요인이다. 이는 곧 비은행 자회사 수익성과 비이자이익의 감소로 이어지기 때문이다. 이에 더불어 과거 기준금리 절대 수준이 높고 경기가 부진할 때는 대손비용도 점진적으로 상승했기 때문에 내년 은행업 주가 흐름은 녹록하지 않을 전망이다. 은행별 배당수익률 비교 최근 은행업의 호조는 연말 배당에 대한 기대가 반영되는 현상으로 판단한다. 다만 연간 배당수익률과 4분기 배당수익률은 구분해야 하는데, 중간배당과 분기배당을 시작한 은행들이 늘어나면서 이 차이가 확대되고 있기 때문이다. 9일 종가 기준 4분기 배당수익률이 가장 높은 은행은 BNK금융지주로 8.7%에 달하며, DGB금융지주, 기업은행, 우리금융지주, JB금융지주, 하나금융지주, KB금융, 신한지주 순으로 높다. 대형 3사는 미리 지급한 배당이 많기 때문에 4분기 커버리지 은행 합산 배당수익률은 5.0%를 기록할 전망이다. 배당락은 대형 3사가 상대적으로 적을 것으로 예상한다. 현금배당 외에도 자사주 소각을 통한 주주환원 강화를 추진하고 있으며, 여기에 분기배당 및 중간배당을 통한 배당 분산 효과도 있기 때문이다. 이익 측면에서의 변수 다만 연말 결산을 거치면서 주주환원 금액을 감소시킬 수 있는 변수들이 존재한다. 이익의 면에서는 선제 충당금 적립과 대규모 희망퇴직을 들 수 있다. 선제 충당금은 2020년에는 코로나19 정책금융 여신에 대한 충당금 명목으로 적립이 되었다면 최근에는 경기 악화에 대비하는 경기대응 충당금 명목으로 적립하는 중인데, 부동산 침체와 그에 따른 금융시장 불안 우려가 가중되고 있기 때문에 4분기에 추가 적립이 발생할 가능성도 있다. 여기에 올해도 이익이 크게 성장했기 때문에 은행들이 대규모 희망퇴직을 단행하면서 경비율 효율화를 추진할 가능성도 있다. 당사는 4분기 이익 추정치에 이에 대한 가능성을 반영했으나 실제 규모는 그보다 클 수 있고 과거에도 4분기에 어닝쇼크가 발생한 경우가 많았기 때문에 위 변수들로 인한 이익 부진과 배당 감소 가능성을 배제할 수는 없다. 

 

화면 캡처 2022-12-14 133449.png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519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은행분야_11월 여수신: 자금 이동 가속화 1도토리 조정희
»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은행분야_연말 배당 점검 [12월 monthly] 3도토리 조정희
518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지주회사분야_이용우 의원의 ‘삼성생 명법2’ 발의 영향에 대한 판단 3도토리 조정희
518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기계조선분야_YTD수익률로 본 2023년 주목해볼만한 다크호스 1도토리 조정희
5187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경험의 시대와 생성적 AI 1도토리 노민우
518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산업디지털전환촉진법 발효와 디지털 전환 사례, 그리고 제언 1도토리 노민우
5185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중국, 정보기술기기 강제제품인증 시행규칙 개정안 요약서 5도토리 노민우
518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STEPI Insight_인구절벽시대, 이공계 대학원생 현황과 지원방향 7도토리 노민우
5183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AI 반도체 표준화 이슈보고서 9도토리 노민우
5182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해외 ICT 표준화 동향정보 (2022년 11월) 3도토리 조정희
518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Web 3.0 표준화 현황과 전략 방향 3도토리 조정희
5180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클라우드 마이그레이션 산업 및 기술 동향 3도토리 조정희
517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020년도 국가융합기술 R&D 성과분석 9도토리 조정희
517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글로벌 나노기술 주간동향리포트 (22.11.24. – 22.11.30.) 7도토리 조정희
5177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건설업 외국인 근로자 적정 규모 산정 연구 보고서 9도토리 조정희
517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포스트 퀀텀 시대의 안전한 통신 5도토리 조정희
5175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마이데이터를 활용한 지자체 현안 해결 사례 5도토리 조정희
517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항공분야_당신이 궁금한 것, 일본 그리고 중국 5도토리 조정희
5173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통신분야_안정성도 경쟁력 5도토리 조정희
5172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국제 지식재산 보호 지표 현황 및 시사점 5도토리 조현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