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산업분석] 지주회사분야_이용우 의원의 ‘삼성생 명법2’ 발의 영향에 대한 판단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조정희 조회수 93
용량 879.36KB 필요한 K-데이터 3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산업분석] 지주회사분야_이용우 의원의 ‘삼성생 명법2’ 발의 영향에 대한 판단.pdf 879.36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12-12 
출처 : 증권사 
페이지 수 :

투자자 동향 ▶ 지난 한 주간 지주회사 평균 주가수익률은(-1.0%). 한 주간 Best는 CJ(+6.9%), Worst는 코오롱(-6.0%) ▶ 한 주간 기관투자자는 LG를 가장 많이 순매수(+102억 원). 두산을 가장 많이 순매도 (-71억 원). 한 주간 외국인투자자는 삼양홀딩스를 가장 많이 순매수(+54억 원). SK를 가장 많이 순매도(-167억 원). 주요 지주회사 기준, 국내 기관투자자의 순매수 규모는 (+126억 원). 외국인투자자의 순매도 규모는 (-406억 원) 한 주간 Review 및 전망 ▶ 이용우 의원, ‘삼성생명법2’ 발의 ☞ 이용우 의원 자본시장법 개정안 발의: 특정주주의 지분 매각이 강제되는 경우, 불가피한 사유에 한해 자사주를 매입해서 소각하도록 하자는 게 핵심 ※ 현행 자본시장법 제 165조의3에 따르면 상장사의 자사주 매입은 공개매수를 통해서만 가능 ☞ 삼성생명법 통과 시, ①삼성금융그룹의 삼성전자 지분 10.22% → 3.15%으로 낮춰야 함, ②삼성전자는 자사주 7.07% 취득 후, 전량 소각 ☞ 이 경우 지배주주 및 특수관계인 지분율은 20.79% → 14.65% 하락(전량 소각 후 지분율 상승 반영) ☞ 삼성그룹 입장에서는 ①금융 보험사 의결권 제한 제도에 따라 의결권 15% 제한되나, 삼성생명법 개정 이뤄질 경우 이를 넘어서는 의결권 축소에 직면, ②상속세 납부를 위해 지배주주 일가에서는 삼성전자 지분 매각도 옵션으로 활용. 단 옵션으로 활용할 수 있는 것은 금융 보험사 의결권 제한 제도에 따른 의결권 15% 제한 때문. 해당 법 개정에 따라 특수관계인 지분율(의결권)이 14.65%로 하락하게 되면 지배주주 일가 측에서는 더 이상 삼성전자 지분 매각 불가능. 이는 상속세 대응에도 영향을 미치게 됨 ▶ 롯데그룹 신용전망 하향 조정 ☞ 한국기업평가, 한국신용평가는 롯데 계열사 8곳(롯데지주, 롯데쇼핑, 롯데케미칼, 롯데물산, 롯데렌탈, 롯데오토리스, 롯데캐피탈, 롯데하이마트)에 대한 등급 전망을 ‘부정적’으로 조정 ☞ 롯데그룹이 보유한 회사채 잔액은 22.6조 원. ‘23년 만기 도래하는 채권 규모는 5.7조 원. ‘24년에는 6.4조 원. 차환에는 문제가 없겠지만, 시중 금리 상승과 더불어 신용등급 하향 조정 이슈에 직면하면서 이자 부담 확대될 가능성에 노출. 대형 M&A, 계열사 지원, 배당 확대 등의 현금 소요가 많아지면서 자금 부담 이슈는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전망

▶ 주담대 받은 오너家, 금융비용 급증... 지배주주 위해 기업들 배당 늘릴까 (조선비즈) 미국의 강도높은 통화 긴축에 발맞춰 한국 기준금리도 가파르게 상승하면서 보유 주식을 담보로 대출받은 이들의 비용 부담이 커짐. 특히 국내 대기업 총수일가의 경우 상속세 납부, 경영 자금 마련 등을 위해 계열사 지분을 담보로 대출한 금액이 5조 원을 넘기며 금융비용이 늘어날 전망. 실제 삼성가의 경우 고 이건희 회장의 부인인 홍라희 전 리움미술관장을 비롯한 삼성가의 주식담보대출은 약 2조 원 에 육박하고 있음. 이러한 오너일가의 비용부담이 커지며 계열사의 배당을 확대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음.

 

화면 캡처 2022-12-14 133041.png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4460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AI와 국제규범 전략을 중심으로 분석한 영국의 디지털 정책 3도토리 노민우
445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인공진능 산업의 VC 투자 현황과 시사점 3도토리 노민우
445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벤처기업 2022년 실태조사 9도토리 노민우
4457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AI 학습용 데이터의 파급효과 연구 9도토리 노민우
4456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국내 증권사의 외국환업무 현황과 그에 따른 시사점 5도토리 노민우
4455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유통: 면세점업의 투자 전략 1도토리 노민우
445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주식시장 투자전략 1도토리 국준아
4453 성장동력산업 [동향분석] 세림 B&G의 친환경 분야 성장세 지속 1도토리 국준아
4452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손해보험: DB손보, 현대해상, 한화손보 3도토리 국준아
445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멀티-에셋 전략 3도토리 국준아
4450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글로벌 산업 정책 동향_ 12월 워싱턴 주간 브리핑 3도토리 국준아
444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스테이블 코인의 위험과 정책 과제 3도토리 국준아
4448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헬스케어 데이터의 유통 현황과 활성화 방법 7도토리 국준아
4447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블록체인 데이터 유통 모델 활성화 방법 9도토리 국준아
4446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장기 거시경제 추세의 영향 5도토리 국준아
4445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부동산 가격 상승에 따른 가계의 자산, 부채에 미치는 영향 분석 5도토리 국준아
4444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2020-21년 상하이 저작권산업보고서 분석 3도토리 국준아
4443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메타버스; ICT 융합 표준 프레임워크 9도토리 국준아
4442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해외 주요국 사례를 중심으로 민관협력을 통한 공공서비스 고도화 사례 5도토리 국준아
444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디지털플랫폼 정부를 위한 싱가폴 사례 5도토리 국준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