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산업분석] STEPI Insight_인구절벽시대, 이공계 대학원생 현황과 지원방향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노민우 조회수 44
용량 2.24MB 필요한 K-데이터 7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산업분석] STEPI Insight_인구절벽시대, 이공계 대학원생 현황과 지원방향.pdf 2.24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10-19 
출처 : 과학기술정책연구원 
페이지 수 : 39 

<목 차>

 

Ⅰ. 서론 06
Ⅱ. 저출산에 따른 고등교육환경 변화 및 정책현황 09
Ⅲ. 이공계 대학원생 현황 및 이슈 14
Ⅳ. 지원방향 제언 24

 


n 논의의 배경 및 목적 l (배경) 최근 이공계 대학원생 부족문제에 관한 위기감이 고조되고 있는 가운데, ‘이공계 대학원 위기’에 관한 구체적인 근거나 진단 연구는 미흡 - 기술경쟁력이 경제사회 전반에 미치는 영향이 커지는 반면 국내의 저출산 현상이 지속·심화되면서, 이공계 석·박사 인력의 양성·확보에 관한 국가적 관심 증대 - 대학원 입학생의 질적 수준 저하와 미충원 문제 등 ‘이공계 대학원 위기’에 대한 우려도 지속 제기되고 있으나, 객관적인 진단 없이 단편적 주장이 대부분 l (목적) 인구절벽시대의 본격 도래에 앞서, 이공계 대학원생 현황 및 확보·양성 이슈의 객관적 진단을 토대로 한 이공계 대학원 지원정책의 방향성 제언에 목적 - 이공계 대학원생의 총 규모 및 인적구성 현황과 추이, 확보·양성 이슈를 진단하고, 이공계 인력의 수급생태계 측면에서 이공계 대학원 지원방향을 큰 틀에서 제언 n 저출산에 따른 고등교육환경 변화 및 정책현황 l 2001년부터 초저출산 지속에 불구하고, 출생시기와 대학 진학시기 간의 시차로 인해 지금까지 고등교육기관에서는 저출산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체감하기 어려웠던 상황 - 그러나 2020년 전후로 초저출산 시기에 출생한 학령인구의 대학입학이 시작되면서, 대학에서도 입학자원 감소의 영향이 가시화되기 시작 * 대학 학령인구 수(만 18-21세) : ’10년 2,601천명, ’20년 2,410천명, ’30년 1,874천명, ’40년 1,176천명 - 이공계 대학원 역시 초저출산 시대의 출생아들이 대학 졸업을 시작하는 2025년 전후로 입학자원 절대규모의 감소를 목전에 둔 상황 l 2000년대 초반부터 저출산 현상 및 학령인구 감소에 대응한 과학기술인력정책 및 고등교육정책을 지속 추진 - 반면, 이공계 대학원 지원정책은 주로 교육·연구환경의 개선 및 내실화에 역점을 두어 추진되면서 인구구조 변화에 대한 관심과 대응은 그 동안 상대적으로 미흡 n 이공계 대학원생 현황 및 이슈 진단 l (이공계 대학원생 증가추세) 저출산 현상에 따른 학령인구 감소, 교육부 대학정원 동결·감축 기조에도 불구하고, 지난 20년간 이공계 대학원생은 증가추세 - 학위과정은 박사과정, 계열은 자연·공학계열의 대학원생 증가추세가 뚜렷하고, 지원자, 입학자, 졸업자 수 등 이공계 대학원생의 규모 관련 지표들도 대체로 양호 - 인적구성 측면에서 여학생과 외국인학생의 규모·비중 역시 증가추세이며, 특히 박사 과정과 자연·공학계열의 증가추세가 뚜렷하고, 만 40세 이상 비중 역시 다소 증가 - 이 과정에서 우수연구중심대와 수도권대형사립대의 이공계 대학원생 수는 큰 폭으로 증가한 반면, 거점국립대는 감소하는 등 대학유형별 대학원생 확보현황에 차이 l (이공계 대학원생 감소전망) 초저출산 시대 출생아들의 대학원 진학이 본격화되는 2025년 전후로 이공계 대학원의 입학자원 감소추세가 본격화될 것으로 전망 - 이공계 석·박사과정생은 2025년 이후 지속 감소하여 2050년 전후로 현재의 절반 수준이 될 것(박기범, 2022. 7. 29.) n 인구절벽시대, 이공계 대학원 지원방향 제언 l 본 문건에서는 이공계 대학원생의 전반적인 현황 및 변화추이에 대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구체적인 전략·방안 제시 보다는 큰 틀에서의 지원방향 제안에 초점

 

화면 캡처 2022-12-08 140943.png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4737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신뢰 및 신원 관리 기술의 동향_연구·교육 분야를 중심으로 5도토리 조정희
473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주요국 메타버스 정책 현황과 시사점 7도토리 조정희
4735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클라우드 상호운용성 시험·컨설팅 지원 성과및 기업 사례 3도토리 조정희
473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글로벌 나노기술 주간동향리포트 (22.12.01. – 22.12.07.) 7도토리 조정희
4733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건설분야_건설 주요 지표 점검 (2022.12) 3도토리 조정희
4732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은행분야_11월 여수신: 자금 이동 가속화 1도토리 조정희
473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은행분야_연말 배당 점검 [12월 monthly] 3도토리 조정희
4730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지주회사분야_이용우 의원의 ‘삼성생 명법2’ 발의 영향에 대한 판단 3도토리 조정희
472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기계조선분야_YTD수익률로 본 2023년 주목해볼만한 다크호스 1도토리 조정희
472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경험의 시대와 생성적 AI 1도토리 노민우
4727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산업디지털전환촉진법 발효와 디지털 전환 사례, 그리고 제언 1도토리 노민우
4726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중국, 정보기술기기 강제제품인증 시행규칙 개정안 요약서 5도토리 노민우
»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STEPI Insight_인구절벽시대, 이공계 대학원생 현황과 지원방향 7도토리 노민우
472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AI 반도체 표준화 이슈보고서 9도토리 노민우
4723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해외 ICT 표준화 동향정보 (2022년 11월) 3도토리 조정희
4722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Web 3.0 표준화 현황과 전략 방향 3도토리 조정희
472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클라우드 마이그레이션 산업 및 기술 동향 3도토리 조정희
4720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020년도 국가융합기술 R&D 성과분석 9도토리 조정희
471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글로벌 나노기술 주간동향리포트 (22.11.24. – 22.11.30.) 7도토리 조정희
471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건설업 외국인 근로자 적정 규모 산정 연구 보고서 9도토리 조정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