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산업분석] 2022년 보험동향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조현상 조회수 90
용량 2.22MB 필요한 K-데이터 9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산업분석] 2022년 보험동향.pdf 2.22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11-11 
출처 : 보험연구원 
페이지 수 : 70 

<목 차>

 

Ⅰ. 경영환경
1. 경제 ...............................................................2
2. 금융 ...............................................................9
3. 자금흐름 ........................................................13
4. 규제・제도 ......................................................15


Ⅱ. 보험동향
1. 성장성 ...........................................................18
2. 수익성 ...........................................................41
3. 리스크 ...........................................................50
4. 시장경쟁 ........................................................57

 


 2022년 2/4분기 세계경제는 미국과 중국 등 주요국이 마이너스 성장함에 따라 전반적인 성장 둔 화세가 지속됨 ∘ 세계 무역규모와 산업생산은 전년 동기 대비 각각 4.2%, 2.9% 증가하였으나 증가폭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고, OECD 전체를 비롯하여 주요국 경기선행지수가 기준점 100을 하회하여 향후 경기 전망이 부정적임을 시사함  2022년 2/4분기 국내경제는 전년 동기 대비 2.9% 성장하였으나, 미국과 중국 등 주요국 경기둔 화에 따른 부정적 영향으로 2022년 하반기 경기둔화가 심화될 것으로 예상됨 ∘ 2022년 2/4분기 민간소비와 수출 모두 2021년 4/4분기 이후 증가 속도가 둔화되고 있으며, 설비 투자와 건설투자는 1/4분기에 이어 부진이 지속됨 ∘ 한국은행과 해외 주요 투자은행들은 2022년 우리나라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각각 2.6%, 2.4%로 하 향 조정함  한국은행은 외환부문 리스크가 증대되고 상당 기간 목표 수준을 상회하는 인플레이션이 지속될 것 으로 예상됨에 따라 8월과 10월 두 차례에 걸쳐 기준금리를 2.25%에서 3.00%로 인상함 ∘ 금융통화위원회는 환율 상승으로 인한 인플레 압력 증가와 주요 선진국의 기준금리 대폭 인상 등으로 물가상승세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어 금리 인상 기조를 유지하기로 결정함  장단기 국고채 금리는 주요국 중앙은행의 통화 긴축 기조가 가속화되고 외국인의 국채선물 순매 도, 글로벌 금리 상승세 등의 영향으로 단기물 중심으로 큰 폭의 상승세를 보임 ∘ 9월 국고채 3년물 금리와 10년물 금리는 8월 말 대비 86.6bp, 62.0bp 상승하였으며, 단기물 중심 의 상승세로 장단기 스프레드는 축소됨  2022년 2/4분기 가계부문 금융상품거래에서 현금 및 예금, 국외 주식 및 투자펀드 거래금액은 전 분기 대비 감소한 반면, 보험 및 연금, 국내 주식 거래금액은 1/4분기 대비 증가함 ∘ 2022년 2/4분기 보험 및 연금 거래 비율은 15.9%로 전분기 대비 소폭 증가하였으나, 직전 4개년 도와 비교했을 때 여전히 낮은 수준임  2022년 2/4분기 세계경제는 일본과 유로지역이 성장했음에도 불구하고 미국과 중국 경제가 전분기 대비 마이너스 성장함에 따라 전반적인 성장 둔화세가 지속됨1) ∙ 2022년 2/4분기 미국 경제는 민간 재고투자, 고정투자, 정부지출 감소 등의 영향으로 0.6% 축소되며, 전분기(-1.6%)에 이어 연속 2분기 역성장함2) ∙ 2022년 2/4분기 중국의 전분기 대비 경제성장률은 제로코로나 방침 등의 영향으로 2020년 1분기 이 후 최저 수준인 -10.4%를 기록함3) ∙ 일본 경제는 2022년 2/4분기 민간소비와 기업투자의 견조한 성장으로 1/4분기 대비 3.5% 확대됨4) ∙ 유로지역은 2/4분기 가계소비, 정부지출, 고정자본형성 등이 모두 증가함에 따라5) 전분기 대비 3.1% 성장함 2022년 2/4분기 세계 경기선행지수는6) 99.6으로 전분기 대비 0.9p 하락하였고, 주요국 대부분의 경기선행지수도 기준점인 100을 하회하여 향후 경기 전망이 부정적임을 시사함 ∙ G7의 경기선행지수는 전분기 대비 0.9p 하락하였고, 미국, 유로지역, 중국 또한 전분기 대비 각각 0.9p, 1.0p, 0.3p 하락한 99.4, 99.6, 98.9를 기록하며 3개국 모두 기준점 100을 하회하였으며, 일본은 전 분기와 동일한 수준을 유지함

화면 캡처 2022-12-06 133929.png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441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기술수용주기 모형 기반 2045년 미래혁신기술 분석 9도토리 정한솔
4415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실험실창업 추진실태 분석과 정책제언 7도토리 정한솔
441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KIET 경제·산업동향 5도토리 정한솔
4413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이머징 시티즌의 등장과 사회적 전환 5도토리 정한솔
4412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인재의 혁신역량 향상을 위한 대학교육 개선 방향 5도토리 정한솔
441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신뢰 및 신원 관리 기술의 동향_연구·교육 분야를 중심으로 5도토리 조정희
4410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주요국 메타버스 정책 현황과 시사점 7도토리 조정희
440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클라우드 상호운용성 시험·컨설팅 지원 성과및 기업 사례 3도토리 조정희
440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글로벌 나노기술 주간동향리포트 (22.12.01. – 22.12.07.) 7도토리 조정희
4407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건설분야_건설 주요 지표 점검 (2022.12) 3도토리 조정희
440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은행분야_11월 여수신: 자금 이동 가속화 1도토리 조정희
4405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은행분야_연말 배당 점검 [12월 monthly] 3도토리 조정희
440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지주회사분야_이용우 의원의 ‘삼성생 명법2’ 발의 영향에 대한 판단 3도토리 조정희
4403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기계조선분야_YTD수익률로 본 2023년 주목해볼만한 다크호스 1도토리 조정희
4402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경험의 시대와 생성적 AI 1도토리 노민우
440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산업디지털전환촉진법 발효와 디지털 전환 사례, 그리고 제언 1도토리 노민우
4400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중국, 정보기술기기 강제제품인증 시행규칙 개정안 요약서 5도토리 노민우
439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STEPI Insight_인구절벽시대, 이공계 대학원생 현황과 지원방향 7도토리 노민우
439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AI 반도체 표준화 이슈보고서 9도토리 노민우
4397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해외 ICT 표준화 동향정보 (2022년 11월) 3도토리 조정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