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산업분석] 건설생산체계 변화에 따른 전문건설업체의 종합공사 수주 확대 방안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이지훈 조회수 51
용량 924.48KB 필요한 K-데이터 9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산업분석] 건설생산체계 변화에 따른 전문건설업체의 종합공사 수주 확대 방안.pdf 924.48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10-01 
출처 : 대한건설정책연구원 
페이지 수 : 56 

<목 차>

 

Ⅰ. 서 론 1
Ⅱ. 논의와 관련된 건설생산체계 개편의 핵심내용 4
Ⅲ. 종합 및 전문건설업 간 상호개방 및 교차수주 현황 분석 10
Ⅳ. 전문건설업체의 종합공사 수주확대 방안 14
1. 종합공사 입찰 시 요구하는 전문업종의 수를 적정화 14
2. 전문건설업체의 종합공사 등록기준 완화 27
3 전문건설업체 간 공동도급 활용 35
4 전문건설업체가 수주한 종합공사의 하도급을 허용 39
Ⅴ. 결 론 44

 


 정부가 건설산업 혁신방안(2018.6.28.)1)에서 건설산업의 체질을 근본적으로 개선할 필 요성이 있다는 점을 밝힌 이후, 건설산업혁신 노사정 협의(2018.7.25.)2)를 바탕으로 마 련된 건설산업 생산구조 혁신 로드맵(2018.11.17.)에 따라 건설산업 생산체계 개편이 시작되었음. 2018년부터 시작된 건설생산체계 개편 작업은 계속 진행되고 있어 2024년 이 되어야 건설산업 생산체계 개편의 주요사항이 모두 시행될 계획이며, 이후에도 여러 가지 문제점과 부작용 해소를 위한 노력이 진행되고 수정이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됨. - 올해 2022년만 해도 공사예정금액 2억 원 이상 3억 5천만 원 미만인 전문건설공사에 대하여는 전문건설업을 등록하지 않은 건설업자의 원도급을 제한할 수 있도록 한 바 있음3). 이러한 시행착오를 고려하면 생산체계 개편이 완성되는데 당초 계획보다 수년 이 더 소요될 수도 있을 것임.  건설산업생산체계 개편의 핵심 내용은 경직된 생산구조 규제를 합리화하기 위하여 종합 건설업과 전문건설업의 독점적 업역을 폐지하고 전문건설업종을 개편한 것임. - 종합건설업 및 전문건설업 간 업역폐지는 2021년부터 시행 - 전문건설업종 개편은 2022년 공공부문부터 시행되어 2023년 민간부문에 시행될 예 정임. 40여 년 동안 고착되어 있던 건설산업 생산체계를 변화시키는 과정에서 새로운 문제가 발생하지 않을 수 없으며 그러한 문제에 대한 시정이 이루어지는 것은 당연함. 당초에 계획했던 정책의 정당성과 틀을 유지하기 위해 조금의 변화도 불가능하다는 경직된 태도 야말로 오히려 문제가 됨. 따라서 건설생산체계 개편과 관련해서도 예상하지 못한 문제 가 나타난다면 그것을 해결하는데 지혜를 모아야 할 것임.  건설생산체계 개편 이후 특히 문제로 지적할 수 있는 현상은 업역폐지에 따라 종합건설 업체와 전문건설업체가 상대영역에 진출하고 있는 가운데 나타나고 있는 종합건설업과 전문건설업 간의 수주 불균형임. - 2021년을 기준으로 했을 때 상호 개방된 건설공사에 대하여 전문건설업체가 종합공 사를 수주한 건수 비율은 7.5%에 불과한데 비해, 종합건설업체가 전문공사를 수주한 건수 비율은 30.8%나 됨(〈표 3-1〉 참고). - 종합건설업체가 전문공사를 수주한 건수 비율이 전문건설업체가 종합공사를 수주한 건수 비율보다 4.1배 더 높음.  건설생산체계 개편 과정에서 종합건설업체와 전문건설업체는 상대방의 건설공사를 수주 하여 시공하는데 있어 대등한 역량을 가지고 있을 것이라는 전제를 가지고 종합건설업과 전문건설업의 독점적 업역을 폐지한 것인데, 시행 1년 만에 나타난 수주현황을 보면 그 러한 전제가 맞지 않았다는 것을 알 수 있음. 종합건설업체보다 상대적으로 규모가 더 영세한 전문건설업체가 종합건설업체와 대등하게 경쟁하여 종합공사를 수주할 것이라고 본 것은 지나치게 낙관적으로 예측한 것이었음. 건설생산체계 개편 전에 전문건설업체의 역량을 강화하는 시간적 여유를 갖거나 전문건설업체가 불리함을 극복할 수 있는 장치를 두었어야 하는데도 불구하고 생산체계 개편의 충격을 완화하는 노력이 충분하지 못했던 것은 아쉬움 점임. 

화면 캡처 2022-12-02 143707.png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4732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포스트 퀀텀 시대의 안전한 통신 5도토리 조정희
473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마이데이터를 활용한 지자체 현안 해결 사례 5도토리 조정희
4730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항공분야_당신이 궁금한 것, 일본 그리고 중국 5도토리 조정희
472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통신분야_안정성도 경쟁력 5도토리 조정희
472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국제 지식재산 보호 지표 현황 및 시사점 5도토리 조현상
4727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022 하반기 국제 원유 시황과 유가 전망 9도토리 조현상
472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소형모듈형원전(SMR) 글로벌 산업 동향 5도토리 조현상
4725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팬데믹 상황에서의 ITU의 역할 3도토리 조현상
472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022년 보험동향 9도토리 조현상
4723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전력반도체 모델링 기술 동향 3도토리 조현상
4722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최근 경상수지 흑자국들의 수지 변화 및 시사점 3도토리 조현상
472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지주회사_코리아디스카운트 해소를 위한 한땀 한땀 9도토리 조현상
4720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인터넷분야_클라우드 사업자들이 MSP에 힘을 쏟는 이유 5도토리 조현상
471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전기전자분야_글로벌 모바일 기기 시장 9도토리 조현상
471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위치정보산업 동향 보고서 5도토리 이지훈
»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건설생산체계 변화에 따른 전문건설업체의 종합공사 수주 확대 방안 9도토리 이지훈
471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메타버스 윤리의 중요성과 그 대응방안 연구 9도토리 이지훈
4715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청년은 어느 지역에 살고, 어디로 이동하는가? 5도토리 이지훈
471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관광권리 연구 9도토리 국준아
4713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관광 콘텐츠 문화 분야의 코로나 19의 영향과 변화 9도토리 국준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