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정책분석] DDA 서비스협상의 주요 쟁점 평가와 시사점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황세영 조회수 102
용량 1.58MB 필요한 K-데이터 9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정책분석] DDA 서비스협상의 주요 쟁점 평가와 시사점.pdf 1.58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10-25 
출처 : 대외경제정책연구원 
페이지 수 : 148 

[목 차]

 

제1장 서론

제2장 다자협상 회의

제3장 분야별 복수국간 협상

제4장 산하기구 회의

제5장 양자협상

제6장 결론

 


본 연구는 2008년 7월 이후 중단된 도하개발어젠다(DDA: Doha Development Agenda) 서비스협상의 주요 쟁점을 정리·평가하고, 저자가 수석대표로서 활동하면서 취득한 공식·비공식 정보를 분석·기록한 일종의 사료이다. 이를 기초로 향후 협상 재개 시 우리나라의 제2차 수정양허안의 작성 방향과 기타 협상 관련 기술적 전략을 제시하고자 한다.

DDA 서비스협상의 주요 쟁점과 관련해서는 우선 다자회의인 서비스교역이사회의 특별 세션에서 주로 논의된 서비스교역 평가, 협상 진전 검토, 최빈개도국 특별대우 방식(LDC Modalities)에 대해 평가하였다. 그다음으로 그동안 선행연구에서 분석하지 못하였던 복수국간 협상 대상인 총 22개 분야 가운데 19개 분야의 쟁점을 분석하였다. 그 뒤로 산하기구 회의 등에서의 논의 내용을 정리한 다음 향후 협상 재개 시 우리 측의 제2차 수정양허안의 작성 방향과 기타 협상 관련 기술적 전략을 제시하는 것으로 결론을 맺는다.

서비스교역 평가와 관련해서는 개도국들은 GATS 제4조(개도국의 참여 증대)의 이행을 강조하면서 교역 평가에서 의미 있는 결론을 낸 이후에야 본격적인 양허협상에 임할 수 있다고 지적하고 그 결론을 조속히 도출할 것을 지속적으로 주장하였다. 그러나 그 이면을 보면 한편으로는 개도국이 점진적으로 자유화를 시도하려는 뜻이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개도국들이 이를 개도국들의 수출 이해가 큰 분야인 Mode 4에 대해 선진국들의 양허 확대를 촉구하는 데 활용하려는 목적이 있다.

협상 진전 검토와 관련해서는 주요 회원국들이 협상의 전반적인 진전과 함께 주요 관심 분야의 진전을 논의하였는데, 분야별 제안서의 발표 및 논의도 이루어졌다. 이 자리에서 주로 개도국들이 Mode 4의 협상에서의 진전이 부진하다는 점을 주장하여 왔다. 아울러 2005년에는 기존의 양자협상에 의존하던 협상 방식을 보완하는 방안을 집중적으로 논의하였다. 다수의 개도국들은 이 의제하에 농업 분야와 NAMA에서 진전이 없는 상태인데, 서비스협상 분야에서만 야심적인 양허 계획을 논의하는 것은 무의미하다고 주장하였다. 

2003년 9월 3일에 열린 특별 세션에서 채택된 LDC 모댈리티는 우선 회원국들이 LDC의 특수한 경제적 상황을 고려하여 그들이 양허를 추구하는 것을 자제하여야 한다고 규정한다. 반면에 LDC 모댈리티에 따르면 회원국들은 LDC에 수출 이해가 있는 분야와 공급 형태, 즉 Mode 4에서 유효한 시장접근을 제공하는 데 우선순위를 두어야 한다.

 

화면 캡처 2022-11-24 150640.png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4400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중국, 정보기술기기 강제제품인증 시행규칙 개정안 요약서 5도토리 노민우
439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STEPI Insight_인구절벽시대, 이공계 대학원생 현황과 지원방향 7도토리 노민우
439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AI 반도체 표준화 이슈보고서 9도토리 노민우
4397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해외 ICT 표준화 동향정보 (2022년 11월) 3도토리 조정희
439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Web 3.0 표준화 현황과 전략 방향 3도토리 조정희
4395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클라우드 마이그레이션 산업 및 기술 동향 3도토리 조정희
439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020년도 국가융합기술 R&D 성과분석 9도토리 조정희
4393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글로벌 나노기술 주간동향리포트 (22.11.24. – 22.11.30.) 7도토리 조정희
4392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건설업 외국인 근로자 적정 규모 산정 연구 보고서 9도토리 조정희
439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포스트 퀀텀 시대의 안전한 통신 5도토리 조정희
4390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마이데이터를 활용한 지자체 현안 해결 사례 5도토리 조정희
438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항공분야_당신이 궁금한 것, 일본 그리고 중국 5도토리 조정희
438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통신분야_안정성도 경쟁력 5도토리 조정희
4387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국제 지식재산 보호 지표 현황 및 시사점 5도토리 조현상
438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022 하반기 국제 원유 시황과 유가 전망 9도토리 조현상
4385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소형모듈형원전(SMR) 글로벌 산업 동향 5도토리 조현상
438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팬데믹 상황에서의 ITU의 역할 3도토리 조현상
4383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022년 보험동향 9도토리 조현상
4382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전력반도체 모델링 기술 동향 3도토리 조현상
438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최근 경상수지 흑자국들의 수지 변화 및 시사점 3도토리 조현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