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산업분석] 주간 KDB리포트(2022.11.21)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황세영 조회수 88
용량 1.3MB 필요한 K-데이터 3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산업분석] 주간 KDB리포트(2022.11.21).pdf 1.3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11-21 
출처 : KDB 미래전략연구소 
페이지 수 : 10 

[목 차]

 

이슈브리프
미국 고용시장 둔화가 물가에 미치는 영향 ················································ 1
북한포커스
최근 북한 주민의 여가활동 동향 ······························································· 4
금융시장
금리 ․ 환율 ․ 주가 ······················································································ 7

 


□ ‘22년 들어 미국 기업 경영자의 향후 사업환경과 고용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 증가○ 미국 CEO 대상 조사 결과* 향후 6개월 간 매출과 고용이 증가할 것이라는전망은 줄어든 반면, 감소할 것이라는 전망은 증가 * Business Roundtable(미국 CEO 연합회)이 매분기 소속 CEO를 대상으로 향후 경영 환경(향후 6개월 매출, 투자, 고용 전망)에 대한 설문조사를 시행해 발표하며, ’22.3분기는 8.12일~9.7일에 진행 후 9.14일에 발표하였으며 170명의 CEO가 참여 - ’21.2분기 91%에 달하던 향후 6개월 매출 증가 전망 비중은 ‘22.3분기 65%로하락, 반대로 매출 감소 전망 비중은 1%에서 16%로 상승 - 같은 기간 향후 6개월 고용 증가 전망 비중은 60%에서 47%로 하락한 반면, 감소 전망 비중은 7%에서 19%로 상승 ○ 매출 증가 전망*이 ’21.2분기를 정점으로 하락하기 시작한 반면, 고용 증가전망**은 ‘21.4분기를 정점으로 하락해 6개월의 시차 발생 - 고용시장은 수요(생산)에 후행하며, 기준금리 인상(’22.3월 시작)의 직접적인영향을 받고 있음을 시사 * 매출 증가 전망(%): 91(‘21.2Q) → 81(3Q) → 88(4Q) → 82(’22.1Q) → 72(’2Q) → 65(3Q) ** 고용 증가 전망(%): 60(‘21.2Q) → 68(3Q) → 77(4Q) → 68(’22.1Q) → 50(’2Q) → 47(3Q) □ 팬데믹 이후 빠른 고용시장 회복을 견인한 대표 IT 기업들을 필두로 미국 고용시장 약화 조짐 확인 ○ 미국의 대표 IT 기업(Twitter+FAANG*) 6개社는 ‘10년~’21년 중 총 201만명을신규 고용, 해당 기간 중 미국 전체 신규 고용자 수(1,796만명)의 11.2%를 차지** * Meta(Facebook)社, Apple社, Amazon社, Netflix社, Alphabet(Google)社를 지칭하는 용어로 2010년대 미국 경제와 주식시장을 주도

- 팬데믹 기간인 ‘20년 미국 전체 고용자 수가 89만명 감소하는 상황에서도위 기업들은 비대면산업 부상으로 오히려 56만명 신규 채용 ○ 금리인상으로 미국 기업들의 전반적인 고용 환경이 악화된 가운데 리오프닝으로 비대면사업 부상 효과가 소멸함에 따라 대표 IT 기업들의 이익 감소폭이여타 기업에 비해 클 것으로 우려 - ‘19년~’21년 위 기업들의 당기순이익은 82% 증가해 S&P500 전체 증가율(27%)을 크게 상회, 그에 따라 시가총액 비중도 상승* * 위 6개 기업 시가총액이 S&P500 내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9년 15%에서 ’21년 22%로 증가 - ‘22년 11월 현재 시가총액 비중은 17%까지 하락, 위 기업의 ’22년 당기순이익이 여타 기업에 비해 크게 감소했을 것으로 추정* ⇨ 비용 감축 압박 심화 * ‘22년 연간 이익 확정치는 ’23.1분기에 확인 가능 - 트위터(Twitter)社는 전체 직원의 절반인 3,700명을 해고한데 이어 메타(이전Facebook)社와 아마존社도 각각 1만여명 감원 결정

 

화면 캡처 2022-11-24 145904.png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4400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중국, 정보기술기기 강제제품인증 시행규칙 개정안 요약서 5도토리 노민우
439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STEPI Insight_인구절벽시대, 이공계 대학원생 현황과 지원방향 7도토리 노민우
439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AI 반도체 표준화 이슈보고서 9도토리 노민우
4397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해외 ICT 표준화 동향정보 (2022년 11월) 3도토리 조정희
439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Web 3.0 표준화 현황과 전략 방향 3도토리 조정희
4395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클라우드 마이그레이션 산업 및 기술 동향 3도토리 조정희
439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020년도 국가융합기술 R&D 성과분석 9도토리 조정희
4393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글로벌 나노기술 주간동향리포트 (22.11.24. – 22.11.30.) 7도토리 조정희
4392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건설업 외국인 근로자 적정 규모 산정 연구 보고서 9도토리 조정희
439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포스트 퀀텀 시대의 안전한 통신 5도토리 조정희
4390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마이데이터를 활용한 지자체 현안 해결 사례 5도토리 조정희
438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항공분야_당신이 궁금한 것, 일본 그리고 중국 5도토리 조정희
438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통신분야_안정성도 경쟁력 5도토리 조정희
4387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국제 지식재산 보호 지표 현황 및 시사점 5도토리 조현상
438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022 하반기 국제 원유 시황과 유가 전망 9도토리 조현상
4385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소형모듈형원전(SMR) 글로벌 산업 동향 5도토리 조현상
438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팬데믹 상황에서의 ITU의 역할 3도토리 조현상
4383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022년 보험동향 9도토리 조현상
4382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전력반도체 모델링 기술 동향 3도토리 조현상
438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최근 경상수지 흑자국들의 수지 변화 및 시사점 3도토리 조현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