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산업분석] 전기전자분야_ 배터리 인사이트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황세영 조회수 54
용량 3.49MB 필요한 K-데이터 9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산업분석] 전기전자분야_ 배터리 윤의 Battery insight.pdf 3.49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11-22 
출처 : 증권사 
페이지 수 : 63 

[목 차]

 

기업분석 

1. LG에너지솔루션

2. 삼성SDI

3. LG화학

4. SK이노베이션

5. 에코프로비엠

6. 일진머티리얼즈

7. 엔켐

 


 투자포인트 ① IRA에 따른 북미 생산 세액공제 2023년부터 수령 기대. 경쟁사보다 빠른 수령은 추가적인 공장 투자에 긍정적 ② 가장 성장성이 높은 북미 시장에서 가장 많은 수주 잔고 보유한 기업 ③ 자동차 OEM들이 북미 자동차 시장 점유율을 위해 가장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하는 배터리 기업 ④ 높아진 수주잔고와 우수한 IRA 대응 전략으로 높은 수익성 유지 기대  부문별 전망 및 투자의견 ① IRA에 따라 북미 자동차OEM들은 $7,500의 보조금을 받기 위해 배터리 부품, 광물의 북미 생산을 원함. LGES 미시건 공장(5GWh), Ultium Cells 1공장(40GWh)은 바로 절반 수준의 보조금 수령 가능한 배터리 공장 ② AMPC(Advanced Manufacturing Production Credit, 생산세액 공제)에 따라 LGES의 북미 공장 미시건 5GWh(가동 중), 얼티엄셀즈 1공장 40GWh(9월부터 순차적으로 가동)은 2023년부터 생산세액 공제 가능 ③ 발생한 Tax Credit을 테슬라 CO2 Credit처럼 판매한다면, 북미 배터리 공장의 급격한 수익성 개선 가능. Tax Credit 제외시 Ultium Cells 공장은 2025년부터 흑자 전환 기대(GM기준) ④ 북미 수주잔고 260조원는 2025년 완성될 북미공장 250GWh의 2030년까지 풀가동을 의미 ⑤ 투자의견 매수 유지, 목표주가 75만원으로 상향(기존 61만원. 2025년 PER 30배 유지). IRA 시행에 따른 투자세액공제를 영업외 수익으로 소폭(25%만 반영) 반영했으며, 추후 구체적인 시행령 발표 시 추가적인 상향 조정 가능할 전망

배터리 생산 세액공제 $35/kWh  100기가 생산시 35억불(4조 7,000억원) ? - 다 돈으로 주는 것이 아니라 세액 공제 or Transfer Tesla가 그 동안 판매한 CO2 Credit = 7.9조원  Fiat-crysler (Stellantis): 2016년, 2018년, 2019~2021년 동안 24억 달러의 유럽과 미국 탄소 Credit을 Tesla로부터 구매  GM: 2019년 탄소 Credit을 구매했음 (미국으로 추정)  Volkswagen: 2021년 중국규제 당국의 탄소Credit을 구매

삼성SDI

 투자포인트 ① 북미 자동차 시장 고성장에 따른 변화: 자동차 OEM들의 배터리 2원화 Needs 확대 + 북미 배터리 시장 Seller’s Market으로 변화 ② 북미 전기차 시장은 IRA에 따라 2023년부터 급격한 배터리 Seller’s Market으로 전환 전망. OEM들도 전기차 생산량이 증가하면서 배터리 2원화 필요성 증대 ③ 삼성SDI의 중대형 배터리 생산능력은 2022년 54GWh에서 2025년 124GWh로 연평균 32% 증가 전망하지만, 경쟁사대비 다소 낮은 수준. IRA에 따른 변화로 북미향 추가 수주 기대

화면 캡처 2022-11-24 143623.png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5428 생명공학/바이오 [시장분석] 바이오 분야 _ 바이오의약품 정제용 크로마토그래피 레진 시장분석 5도토리 강정훈
5427 생명공학/바이오 [시장분석] 바이오 분야_ 의료용 레이저 장치 시장 분석 5도토리 강정훈
5426 생명공학/바이오 [시장분석] 바이오 분야_ 방사선 진단 장치 시장 분석 5도토리 강정훈
5425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그린에너지 분야 TMS 부품 시장 분석 7도토리 강정훈
5424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그린에너지 분야_ TOC 측정기 및 부품 시장 분석 7도토리 강정훈
5423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그린에너지 분야_ 공업용 순수 생산 핵심소재/장치 시장분석 9도토리 강정훈
5422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그린에너지 분야_ 질소산화물 센서 시장분석 7도토리 강정훈
5421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그린에너지 분야_ VOCs 저감 장치 시장분석 9도토리 강정훈
5420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그린에너지 분야_ 고출력•고효율 태양전지 셀 시장분석 9도토리 강정훈
5419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그린에너지분야_ 태양전지용 소재 시장분석 11도토리 강정훈
5418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그린에너지 분야_ 태양전지용 CVD 장치 시장분석 9도토리 강정훈
5417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그린에너지 분야_ 수전해용 차세대 핵심소재 시장분석 7도토리 강정훈
5416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그린에너지 분야_ 수소충전소 핵심 부품 시장분석 9도토리 강정훈
5415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그린에너지 분야_ 건물용 연료전지 MEA 시장분석 7도토리 강정훈
5414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그린에너지 분야_ 연료전지용 열교환기 시장분석 9도토리 강정훈
5413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그린에너지 분야_ 2차전지 음극용 인조흑연 시장분석 7도토리 강정훈
5412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그린에너지 분야_ 산화알류미늄 시장분석 5도토리 강정훈
5411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그린에너지 분야_ 고효율 헤파필터 시장 분석 7도토리 강정훈
5410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비대면디지털 분야_ RF Beamforming 용 저전력 PIM 반도체 시장 분석 7도토리 강정훈
5409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비대면디지털 분야_ 대용량•초고속 광송신 및 수신부품(LD,PD) 시장 분석 7도토리 강정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