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산업분석] 반도체분야_이 또한 지나가리니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강정훈 조회수 99
용량 2.37MB 필요한 K-데이터 9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산업분석] 반도체분야_이 또한 지나가리니.pdf 2.37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11-22 
출처 : 증권사 
페이지 수 : 90 

[목 차]

 

1. 2022년 반도체 산업 및 주가 REVIEW .......6
 - 글로벌 반도체 2022년 리뷰
 - 한국 반도체의 냉정한 현실
 - 한국 반도체 상장기업 2022년 REVIEW 

 

2. 기업 실적 및 가이던스 리뷰 ......................13
 - 럭셔리와 생필품 소비는 증가하나 일반 내구재 소비는 감소
 - 하지만, 10월 후반 테크 기업들의 전망은 부정적
 - 11월에도 소비재는 비교적 선방, 테크는 부진으로 요약
 - 소비는 아직 괜찮지만, 반도체 관련 수요는 불안

 

3. IT 수요 전망 ...................................................17
 - 반도체 수출과 환율
 - PC: 팬데믹 버블과 후유증
 - 스마트폰: 퀼컴과 미디어텍의 부정적 전망
 - 데이터센터: 성장세 둔화할 듯
 - 달라진 DRAM의 특성: 약해진 가격 탄력성

 

4. 메모리 수급 모델 ............................................28
 - 수요 변수 가정
 - DRAM 수급 모델
 - NAND 수급 모델
 - 2023년 반도체 시장 전망
 - 반도체 CAPEX 전망

 

5. 투자의견 요약 ....................................................45
 - 실적 레벨보다는 사이클의 피봇 가능성이 중요
 - 재고 감축이 키포인트
 - 실적 전망은 밝지 않아도 주가는 이미 많이 하락
 - So What?

 

기업분석 ..................................................................53
 - 삼성전자 (005930)
 - SK하이닉스 (000660)
 - DB 하이텍 (036490)
 - 원익 IPS (036490)
 - 한미반도체 (042700)
 - 주성엔지니어링 (036930)
 - 유진테크 (084370)

 


 

팬데믹이 만든 버블이 사라지자 세상에는 역대급의 반도체 재고가 쌓였 고 메모리 생산 캐파는 수요를 훨씬 상회하는 수준까지 늘어 났다. 결국 감산이 불가피한 시대를 맞이하게 되었다. 유진 메모리 모델에 따르면 2022 년 전세계 DRAM 총수요는 전년비 2% 감소한 233 억GB 인 반면 생산량은 20% 증가한 276 억GB 에 달할 전망이다. 출하는 이보다 35 억GB 가 적은 241 억 GB 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2021 년 말 6 억 GB (재고 주수 기준 1 주 중반) 였던 DRAM 재고 는 2022 년 말 41 억GB(8~9 주)까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인플레이션과 가파른 금리 상승을 감안할 때, 2023 년 수요 전망도 그다 지 긍정적이지는 못하다. 유진 리서치가 예상하는 2023 년 DRAM 수요 는 12% 증가한 261 억GB 로 여전히 생산 캐파를 밑돌 것으로 예측된다. 결국, 감산은 선택이 아니라 필수인 것이다. 마이크론과 SK 하이닉스 등이 감산을 공식화한 가운데 업계 1 위 삼성은 감산 계획을 부인하고 있다. 하지만, 생산라인 효율화 등의 방법으로 일 정 부분 자연스러운 감산은 진행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업체들의 감산으로 DRAM 웨이퍼 아웃풋은 2022 년 하반기 월 163 만 장에서 2023 년 상반기 월 148 만장으로 약 9% 감소하고, 연간 비트 생 산량은 266 억 GB 로 약 4% 줄어들 것으로 추산한다. 결국 2023 년말 DRAM 재고는 30 억GB (약 5 주 수준)로 줄어들 것으로 예측된다. 하지 만, 여전히 재고 레벨은 정상 수준을 상회한다는 점에서 급격한 업황 개 선은 쉽지 않아 보인다. 결과적으로 2023 년 DRAM 시장규모는 올해 대비 26% 감소한 600 억 달러에 그칠 전망이다. 이러한 시장 축소로 DRAM 업체들의 마진 악화 가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화면 캡처 2022-11-22 132734.png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4380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지주회사_코리아디스카운트 해소를 위한 한땀 한땀 9도토리 조현상
437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인터넷분야_클라우드 사업자들이 MSP에 힘을 쏟는 이유 5도토리 조현상
437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전기전자분야_글로벌 모바일 기기 시장 9도토리 조현상
4377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위치정보산업 동향 보고서 5도토리 이지훈
437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건설생산체계 변화에 따른 전문건설업체의 종합공사 수주 확대 방안 9도토리 이지훈
4375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메타버스 윤리의 중요성과 그 대응방안 연구 9도토리 이지훈
4374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청년은 어느 지역에 살고, 어디로 이동하는가? 5도토리 이지훈
4373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관광권리 연구 9도토리 국준아
4372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관광 콘텐츠 문화 분야의 코로나 19의 영향과 변화 9도토리 국준아
437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복합리조트 산업 전문 인력 양성 전략 9도토리 국준아
4370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데이터 이코노미 - ASEAN 5도토리 국준아
436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데이터산업 동향 이슈브리프 7도토리 국준아
436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데이터 이코노미 – EU 5도토리 국준아
4367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ESG 경영 강화 대응을 위한 디스플레이 업계의 전략 9도토리 국준아
436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반도체 산업의 기후변화 대응 현황과 시사점 9도토리 국준아
4365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ICT분야_과학 및 ICT 주간 동향 9도토리 국준아
436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미디어&엔터분야_2023년 엔터 : 세대교체, 새로운 성장의 시작 7도토리 국준아
4363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분석] 제약분야_유진 Biopharma Insight 3도토리 국준아
4362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분석] 바이오분야_글로벌 시장에서 성장 모멘텀 찾아야 9도토리 황세영
436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게임분야_콘솔 시장 진출로 밸류 UP 7도토리 황세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