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국가별 동향] 2022년 물류의 디지털 전환 트렌드와 전망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노민우 조회수 39
용량 34.51M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국가별 동향] 2022년 물류의 디지털 전환 트렌드와 전망.pdf 34.51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11-01 
출처 :  
페이지 수 :

지난 2년간 팬데믹으로 인해 세계는 공급망 위기와 물류 대란을 겪고 있다. 2021년 가을, 미국 서부 물류의 시작점인 롱비치 항구에 들어가지 못해 수십 척의 컨테이너선이 몇 주 동안 바다에서 기다리는 충격적인 일이 벌어졌다. 2022년은 인플레이션의 해였다. 러시아-우크라이나 분쟁으로 가속화된 물가 상승과 임금 상승은 결국 물류비용 증가로 이어졌다. 미국으로 수출하는 한국 기업은 환율의 영향으로 더 혹독한 한 해를 보내고 있다.

 

<미국 오클랜드(Oakland) 항 선박에 실린 컨테이너>

[자료: KOTRA 실리콘밸리 무역관 직접 촬영]

 

물류 창고는 물류의 핵심 시설이며 물류 창고 운영 및 이용료는 물류비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미국은 운송 거리가 멀기 때문에 물류 창고의 효율적 운영이 물류비를 좌우하고 물류 창고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서는 많은 노동력이 필요하다. 미국 노동 통계청에 발표에 따르면 미국 물류 창고 관련업 종사자 수는 2017년 이후 꾸준히 증가하였으며, 2022년 9월 기준 미국 내 물류 창고 관련 종사자는 178만 명에 달한다고 한다. 이는 작년 한 해 미국 물류 창고에서 10만 명 이상의 고용을 창출한 결과이다.

 

물류 창고 종사자의 임금 역시 꾸준히 상승하고 있다. 같은 조사에서 2019년 5월 시간당 평균 17.39달러였던 임금이 2021년 5월 18.38달러로 상승했다. 대규모 물류 창고를 운영하는 이커머스 업체 아마존은 2022년 10월부터 물류 창고 종사자 최저 임금을 18달러에서 19달러로 올렸다.

 

<물류 창고 산업에 종사하는 노동자 수 개월간 변화 추이>

[자료: Bureau of Labor Statistics]

 

하지만 2022년 하반기 이후 인플레이션으로 인한 경기 침체가 가시화되며 물류 산업의 성장세는 둔화될 전망이다. 미국 내 가장 큰 물류 창고를 가지고 있는 회사 중 하나인 아마존은 2022년 10월 물류 창고 관련 채용을 동결한다고 발표했다.

 

팬데믹으로 인한 호황 이후 경기 침체가 급격히 다가오면서, 물류 창고 운영비 중 큰 부분을 차지하지만 유연하게 관리하기 어려운 인건비가 물류 회사에 큰 고민을 안겨주고 있다. 아마존과 같은 대기업은 근로자의 처우 개선, 반독점 등 다양한 저항에 부딪혀서 노동력을 유연하게 조정하기는 쉽지 않은 사정이다. 또한, 한 번 오른 임금은 쉽게 내려가지 않아 물류비에 지속적인 부담을 준다.

 

물류의 디지털 전환이제 그 핵심은 머신러닝과 로봇

 

아마존을 필두로 한 대형 이커머스 업체와 DHL과 같은 대형 물류 업체는 물류 창고 서비스의 품질 향상과 운영비 절감을 위해 물류의 디지털 전환에 힘을 써왔다. 이들 업체들은 이미 클라우드 기반 자산 관리, 자산 추적 시스템, 창고 관리 시스템, 재고 데이터 관리 및 분석 시스템 등 물류의 모든 단계에서 디지털 전환이 성과를 이루고 있다.

 

최근 미국에서는 디지털 전환에서 한 발 더 나아가 물류를 혁신적으로 변화시키기 위해 다양한 기술을 적용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특히 자율주행 기술과 로봇을 이용한 창고 자동화는 인건비 부담을 낮출 뿐 아니라 물류 창고의 상품 처리량을 늘리고 배송 시간을 단축시키는데 큰 역할을 하고 있다. 이들 업체의 물류 창고는 인공지능으로 동작하는 로봇팔, 운송 로봇 등을 이용하여 무거운 물건을 운송하는 노동력을 절감하고 있고 노동력이 꼭 필요한 작업에서는 인공지능의 도움으로 노동력 활용을 극대화하는 기술을 개발 중이다.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507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반도체분야_2023년 전망시리즈 5도토리 강정훈
5070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철강금속분야_공급보다는 수요를 움직일 정책 변화 필요 7도토리 강정훈
506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통신서비스분야_B2B에서 길을 찾는다 7도토리 강정훈
506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인터넷분야_3Q22 실적을 마무리하며 5도토리 강정훈
5067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자동차분야_ 지금까지 이런 자동차는 없었다 9도토리 강정훈
506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은행분야_9월 은행 금리: 조달 경쟁으로 신규 수신금리 급등 1도토리 강정훈
5065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에너지분야_2023 년 신냉전으로 투자확대 지속 9도토리 국준아
506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통신분야_KT, 백석 미디어 센터 및 그룹 미디어 밸류체인 설명회 개최 3도토리 국준아
5063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분석] 지주/제약바이오분야_SK가 가고자 하는 길 9도토리 국준아
5062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지주회사분야_삼성그룹 지배구조 개편 시나리오 점검 5도토리 국준아
506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은행분야_2023년 전망 시리즈 5도토리 국준아
5060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인터넷분야_2023년 전망 시리즈 5도토리 국준아
505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전기전자분야_2023년 전망 시리즈 7도토리 국준아
505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통신분야_2023년 전망 시리즈 9도토리 국준아
5057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조선분야_선가 지표 힘겨루기 중이나 약세로 전환할 것 7도토리 국준아
5056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나이지리아 태양광 산업 동향 1도토리 박민혁
5055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반도체분야_베트남 감광성 반도체 디바이스와 발광다이오드(LED) 시장 동향 3도토리 박민혁
5054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자동차분야_체코 자동차부품 시장동향 1도토리 박민혁
5053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2030~2040 새로운 소비시장, 일본 웰니스 시장 1도토리 박민혁
5052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중국 동력엔진차량 배기가스 처리 산업동향 5도토리 박민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