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화재 감지 및 위치 추적기술 |
---|
분류 | 성장동력산업 | 판매자 | 조정희 | 조회수 | 50 | |
---|---|---|---|---|---|---|
용량 | 4.93MB | 필요한 K-데이터 | 1도토리 |
파일 이름 | 용량 | 잔여일 | 잔여횟수 | 상태 | 다운로드 |
---|---|---|---|---|---|
004기술이전설명회 발표자료_화재 감지 및 위치 추정 기술_0908.pdf | 4.93MB | - | - | - | 다운로드 |
데이터날짜 : | 2021-10-14 |
---|---|
출처 : | 정부산하기관 |
페이지 수 : |
본 기술은 딥러닝 기반 영상 분석을 통해 실시간으로 화재를 감지하고, 디지털 트윈과 연계하여 화재가 발생한 위치를 추정하는 기술임. 딥러닝 기반 화재 감지 시스템과 디지털 트윈 기반의 위치 추정 시스템으로 나뉘며, 가상 카메라 연동 기술로 두 시스템 간의 실시간 연계가 가능함. 화재/산불 발생 시 24시간 감시 중인 딥러닝 영상 분석 서버에서 이벤트를 발생 시키고, 해당 카메라의 위치 및 영상 정보를 가상 카메라 연동 모듈과 디지털 트윈 기반 위치 추정 시스템으로 전송. 가상 카메라 연동 모듈에서는 영상 분석을 통해 CCTV가 보고 있는 장면과 동일한 장면이 보이도록 디지털 트윈의 가상 카메라 보정 정보를 추정. 가상 카메라 보정 정보와 영상 정보를 이용하여 디지털 트윈 상에서 화재/산불 발생 위치에 대응하는 GPS 정보를 추정하여 관계 기관으로 송출
- 열, 연기를 감지하는 센서 기반의 화재 감지 시스템은 감지 반경이 작아 주로 실내 환경에서 사용하며, 화재 감지가 되어도 실제 화재인지 오 작동인지에 대해 CCTV로 보거나 직접 가서 확인이 필요함
- 일반적인 CCTV 관제 요원을 활용한 모니터링 시스템은 채널 수가 증가에 따라 소요되는 자원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 감시 정확도가 낮아짐
- 특히 산불의 경우 감시탑과 감시 요원들을 활용한 직접 감시와 높은 곳에 설치된 조망형 CCTV를 이용한 방식으로 운용되고 있으나 투입 자원 대비 효율이 낮아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딥러닝 기반 영상 분석 기술이 필요함
- 산불로 판단되면 산불 진화를 위해서는 신속한 진화대의 투입이 필요 하지만, CCTV 영상만을 보고 겹겹이 쌓인 산악지대에서 정확한 발생 위치를 추정하여 산불 진화 헬기와 지상진화대를 투입하기에는 한계가 있음
- CCTV 영상만으로도 정확한 산불 발생 위치를 추정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함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