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기업분석] 비에이치_관심의 이동, 스마트폰 > IT 제품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국준아 조회수 100
용량 621.24K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기업분석] 비에이치_관심의 이동, 스마트폰에서 IT 제품.pdf 621.24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10-26 
출처 :  
페이지 수 :

공고한 점유율 + 관심의 이동 투자의견 Buy, 목표주가 39,000 원을 유지한다. 12MF EPS 4,402 원에 목표 P/E 배수 9.0 배를 적용했다. 고객사 내 점유율이 공고히 유지되는 가운데, IT 제품에 대한 OLED 탑재로 ‘24 년 이후 장기 성장의 가시성이 확보되었다는 점을 주목한다. ① 공고한 점유율: SDC(LTPO 패널), LGIT(카메라모듈), BH(FPCB)까지, 상위 벤더에 대한 쏠림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 생산 난이도가 올라가며 단기간에 양산성을 확보하기 어려워지고 있다. FPCB 경쟁사는 여전히 수율 정상화에 시간이 더 필요하다. 따라서 동사의 SDC 내 점유율은 최소 ‘23 년까지 80%대를 유지할 전망이다. 대안이 없다. ② 관심의 이동: 시간이 갈수록 동사에 대한 관전 포인트가 기존 iPhone 에서 iPad, Mac 등 IT 제품으로 이동할 것이기에, iPhone 수요 부진으로 인한 주가 조정을 오히려 기회로 활용해야 한다. ‘22 년 연간 iPhone 용 FPCB 매출은 1.2 조원, 전사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70%로 전망된다. 단기 실적에 iPhone 판매가 중요할 수 밖에 없는 이유다. 그러나 ‘24 년 Apple 이 IT 제품에 OLED 제품을 탑재한다면, 여기서 발생할 FPCB 매출은 ‘24 년 2,200 억원, ‘25 년 3,900 억원으로 전망된다. SDC 점유율 35%, 동사 점유율 80%를 가정한 값이다[표 2] IT 제품향 FPCB 매출이 처음 발생할 ‘24 년 실적은, 매출 2.1 조원(+16.2%YoY), 영업이익 2,010 억원(+16.3%YoY, 영업이익률 9.5%)으로 전망된다. ‘24 년 실적에 목표 P/E 9 배 적용하여 궁극적으로는 1.5 조원 이상의 시가총액을 목표로 한다. 현재 시가총액은 8,850 억원이다. iPhone 수요 부진과 관련된 우려로 주가가 조정 받았지만, 투자 기간을 길게 본다면 여전히 저평가인 것으로 판단하는 이유다. 가동률 100% 유지 중 연결기준 3 분기 실적은 매출 4,732 억원(+41.8%YoY, +39.6%QoQ), 영업이익 590 억원(+35%YoY, 영업이익률 12.4%)으로 컨센서스(매출 4,644 억원, 영업이익 593 억원)에 부합했다. 우호적 환율, SDC 의 높은 점유율(vs. LGD), 그리고 동사의 높은 점유율(vs. 영풍전자)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다. 이 같은 기조는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사실상 가동률 100%다. 4 분기 실적은 매출 4,774 억원(+18.7%YoY, +0.9%QoQ), 영업이익 511 억원(+17.6%YoY, 영업이익률 10.7%)으로 전망된다. 기존 당사 추정치 대비 매출은 +6.9%, 영업이익은 -2.5% 조정한 것이다. iPhone 은 Pro 모델 위주로 잘 팔리고 있어 SDC 의 점유율은 견고하게 유지되고 있으며, 동사의 FPCB 점유율 또한 경쟁사의 수율 난조로 높게 유지되고 있다. 다만 ‘23 년을 대응한 선제 투자, 성과급을 포함한 일부 일회성 비용으로 영업이익 추정치는 소폭 하향했다. 펀더멘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아니다. 긍정적인 시각을 견지한다

화면 캡처 2022-10-28 170001.jpg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4320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캐나다 수소경제 현황및우리 기업 진출전략 3도토리 국준아
431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데이터 플랫폼 표준 이슈 리포트 9도토리 국준아
431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무상증자 테마주 현상과 정보거래자 역할 5도토리 국준아
4317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OCIO 시장 성장 가능성과 완전위임 확대 필요성 5도토리 국준아
4316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영국의 ‘The Growth Plan 2022’와 금융시장 불안 3도토리 국준아
4315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탄소중립시대, 글로벌 스마트그리드 시장 현황과 우리기업의 진출전략 7도토리 국준아
4314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로봇 시장동향 보고서 2022 5도토리 국준아
4313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이스라엘 ICT 시장동향 2022 5도토리 국준아
4312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벤처기업확인 유형에 따른 벤처기업 특성 5도토리 국준아
4311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독일 중소기업 혁신 지원정책 5도토리 국준아
4310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이스라엘 국방력과 기술 동향 5도토리 국준아
4309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주요국 농업인 연금제도 사례와 시사점 9도토리 국준아
4308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독일 산업연구협회연합회(AiF) R&D 프로그램 및 제도 현황 5도토리 국준아
4307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화학분야_NCC 회복의 서막이 시작되다 9도토리 이지훈
430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통신서비스분야_Weekly(11/07~11/11): 구현모 대표, 연임 의 사 공식화 3도토리 이지훈
4305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은행분야_2023 연간 전망: 뿌리깊은 나무는 아니 흔들려 7도토리 이지훈
430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전기전자분야_월간 디스플레이 패널 동향 3도토리 이지훈
4303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분석] 음식료/유통분야_2023년 전망 시리즈 9도토리 이지훈
4302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ESG분야_2023 년 신재생에너지 투자 확대 9도토리 이지훈
430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전지분야_전지에 전지를 무는 이야기 9도토리 이지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