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기업분석] BNK금융지주_3Q22 리뷰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국준아 조회수 94
용량 2.56M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기업분석] BNK금융지주_3Q22 리뷰.pdf 2.56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10-28 
출처 : 증권사 
페이지 수 :

3Q22 지배주주순이익 2,581억원 (-6.3% YoY, +12.8% QoQ)으로 컨센서스 부합  이자이익 +12.2% YoY: 그룹 NIM +6bp QoQ, 대출성장률 +1.2% QoQ  비이자이익 -71.5% YoY: PF수수료 감소, 유가증권 관련 평가손실 영향  RWA 관리를 통해 CET-1비율 전분기대비 28bp로 업종 내 가장 높은 증가세 기록  투자의견 BUY, 적정주가 8,200원 유지 Buy 3Q22 당기순이익 2,581억원: 컨센서스 부합 BNK금융지주 3Q 지배주주순이익은 2,581억원 (-6.3% YoY, +12.8% QoQ)으로 컨센서스를 부합하였다. 그룹 NIM 전분기대비 6bp 상승 및 대출성장률 전분기대비1.2% 기록함에 따라 이자이익은 전년동기대비 12.2% 증가하였다. 그럼에도 불구전년대비 이익이 감소한 원인은 비이자이익이 전년동기대비 71.5% 큰 폭으로 감소하였기 때문이다. 1) 수수료부문은 PF수수료 감소(-192억원 YoY)로 전년동기대비41.3% 감소했으며, 2) 기타부문이익은 유가증권 관련 평가 손실로 285억원 적자를기록하였다. 한편 대손비용률은 0.30%로 선제적 코로나 충당금 16억원 적립했으나, 전분기대비 15bp 개선되며 양호한 흐름세를 유지하고 있다. CET-1 비율 증가로 손실흡수능력 제고 3Q 중 CET-1 비율은 전분기대비 28bp 증가한 11.45%를 증가하였다. 대부분의 은행들이 하락세를 시현한 것과 반대의 모습이다. 이는 PF대출 축소 등 보수적인 태도를 취함으로써 그룹 위험가중자산(RWA)이 전분기대비 하락세를 기록하였기 때문이다. 더 나아가 동사는 높은 CET-1 비율을 기반으로 중간 배당과 자사주 매입에 대해서도 적극적으로 고려할 것임을 언급하는 등 주주환원 정책의 의지를 보여주었다. 높은 기업대출 비중 고려 필요 동사에 대해 투자의견 Buy와 적정주가 8,200원을 유지한다. 1) 이자이익 중심 실적개선세가 지속되고 있으며, 2) 대손준비금 포함 기준 NPL커버리지 비율은 319%로지방은행 중 가장 높으며, 3) 12개월 선행 PBR은 0.20배로 업종 내 가장 낮은 수준으로 Valuation 매력도가 높다. 다만 여전히 부동산PF 리스크에 노출된 가운데, 높은 기업대출 비중(3Q22 기업대출 비중 66.6% vs DGB금융 64.9%, JB금융 56.2%) 감안 시 이에 대한 관리 역량이 우선적으로 증명되어야 한다.

화면 캡처 2022-10-28 145849.jpg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4308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독일 산업연구협회연합회(AiF) R&D 프로그램 및 제도 현황 5도토리 국준아
4307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화학분야_NCC 회복의 서막이 시작되다 9도토리 이지훈
430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통신서비스분야_Weekly(11/07~11/11): 구현모 대표, 연임 의 사 공식화 3도토리 이지훈
4305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은행분야_2023 연간 전망: 뿌리깊은 나무는 아니 흔들려 7도토리 이지훈
430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전기전자분야_월간 디스플레이 패널 동향 3도토리 이지훈
4303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분석] 음식료/유통분야_2023년 전망 시리즈 9도토리 이지훈
4302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ESG분야_2023 년 신재생에너지 투자 확대 9도토리 이지훈
430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전지분야_전지에 전지를 무는 이야기 9도토리 이지훈
4300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자동차분야_닥쳐오는 매크로 위기, 한국 자동차의 돌파구는? 9도토리 이지훈
429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지주회사분야_ 삼성생명법, 국회 논의 시동 3도토리 이지훈
429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반도체분야_약화된 불확실성 3도토리 이지훈
4297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IT분야_10월 대만 IT 매출 분석 3도토리 이지훈
429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건설분야_2023년 전망: 태풍이 지나가면 9도토리 강정훈
4295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ESG분야_그린워싱 예방을 위한 환경평가 개선방안 7도토리 강정훈
429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반도체분야_2023년 전망시리즈 5도토리 강정훈
4293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철강금속분야_공급보다는 수요를 움직일 정책 변화 필요 7도토리 강정훈
4292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통신서비스분야_B2B에서 길을 찾는다 7도토리 강정훈
429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인터넷분야_3Q22 실적을 마무리하며 5도토리 강정훈
4290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자동차분야_ 지금까지 이런 자동차는 없었다 9도토리 강정훈
428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은행분야_9월 은행 금리: 조달 경쟁으로 신규 수신금리 급등 1도토리 강정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