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산업분석] 자동차분야_러시아 공장 매각 가능성 및 영향 점검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강정훈 조회수 110
용량 832.62KB 필요한 K-데이터 3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산업분석] 자동차분야_러시아 공장 매각 가능성 및 영향 점검.pdf 832.62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10-24 
출처 : 증권사 
페이지 수 :

 현대차 러시아 공장 매각 및 철수 가능성 높아지고 있는 상황  글로벌 기업에 대한 러시아 정부의 압력 높아지고 있으며, 자동차 업종에서도 이미 Renault  Nissan은 철수를 결정했고 Toyota  Volkswagen이 철수를 검토 중  기회비용 커 보이는 현지 시장 철수가 왜 이루어지고 있는지에 대한 점검과 철수에 따른 정량적 실적 영향을 확인할 필요성 대두  철수 현실화 시, 현대·기아 및 주요 부품업체들의 손실 반영 불가피 Neutral 러시아, 글로벌 기업 현지 자산 강제 몰수 지속 중 러시아 정부의 글로벌 기업 현지 자산 강제 몰수가 지속 중이다. 전쟁과 경제제재 라는 특수성을 감안해도 상식적으로 이해하기 어렵다. 압류한 공장들을 임의 가동 한다 해도 붕괴된 내수 구매력과 봉쇄된 해외 수출 길을 고려하면, 현금 확보 창 구로서의 쓰임새는 전무하다. 또한 전쟁 종료를 가정한 장기적 시각에서도 산업 자본의 신뢰 회복 및 경제 재건 관점에서 기회비용이 큰 행동이다. 결국 이 같은 상황은 글로벌 기업들에게 현지 자산을 모두 잃거나 출신 국가 정부의 정치적 입 장 변화를 호소하라는, 외통수에 몰린 러시아 정부의 다급함으로 해석된다. 현대차 현지 공장 매각 시, 국내 자동차 업종 영향 점검 국내외 언론을 통해 현대차 러시아 공장 강제 매각 가능성이 언급되고 있다. 현대 차 러시아 공장은 2021년 23.4만대를 생산했으며, 2H22 기말 기준 자산 규모는 2.62조원이다. 지난 3월부터 조업 축소가 시작됐으며, 현재는 가동이 완전히 멈춘 상황이다. 현대차 철수 시, 판매법인을 운영 중인 기아와 제조거점이 진출해있는 현대모비스, 현대위아 등 부품 업체들의 동반 철수가 예상된다. 이미 강제 매각이 진행된 Renault (3.1조원, 현지 생산능력 15만대)  Nissan (1.0조원, 현지 생산능력 10만대)의 전철을 밟는다면, 대규모 손실 반영이 불가피하다. 보유 현금과 처분 가능 자산은 제한적인 반면, 상환해야 할 비용과 손망실될 자산이 크 기 때문이다. 각 업체들의 러시아 재무제표가 공개되지 않고 있기에 정확한 비용 규모를 계산하기는 어렵다. 모든 가정을 단순화하여 현재 자기자본과 유사한 금액 이 비용 처리될 경우, 잠재적 비용 규모가 가장 큰 업체는 현대차이며 실현 가능 이익 대비 러시아 관련 비용의 규모가 가장 큰 업체는 현대위아로 보여진다. 상대 적으로 비용 영향이 적을 업체로는 현대모비스와 한국타이어를 꼽을 수 있다. 빠르면 4Q22, 늦어도 1H23 중에는 러시아와 관련된 결정이 마무리될 것으로 전망 한다. 잠재적 러시아 비용 발생 가능성은 기업들 실적 전망에 있어 불확실성을 야 기하며, 밸류에이션 디스카운트 근거이다. 장기 성장 논리에 동행하는 기업가치 반 영을 위해서는 해당 이슈의 종결이 필요하다.

화면 캡처 2022-10-28 141650.jpg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428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에너지분야_2023 년 신냉전으로 투자확대 지속 9도토리 국준아
4287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통신분야_KT, 백석 미디어 센터 및 그룹 미디어 밸류체인 설명회 개최 3도토리 국준아
4286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분석] 지주/제약바이오분야_SK가 가고자 하는 길 9도토리 국준아
4285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지주회사분야_삼성그룹 지배구조 개편 시나리오 점검 5도토리 국준아
428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은행분야_2023년 전망 시리즈 5도토리 국준아
4283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인터넷분야_2023년 전망 시리즈 5도토리 국준아
4282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전기전자분야_2023년 전망 시리즈 7도토리 국준아
428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통신분야_2023년 전망 시리즈 9도토리 국준아
4280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조선분야_선가 지표 힘겨루기 중이나 약세로 전환할 것 7도토리 국준아
4279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디지털 기술 주도권 확보 전략 및 대응 방안 - 미국·중국·EU 정책 분석을 중심으로 - 9도토리 노민우
427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클라우드-네이티브 에지 컴퓨팅을 활용한 DNA 기반 X+AI 서비스 실증 5도토리 노민우
4277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네트워크 자동화 오픈 플랫폼 동향 5도토리 노민우
4276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비에이치_관심의 이동, 스마트폰 > IT 제품 1도토리 국준아
4275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기업은행_3Q22 리뷰, 돋보이는 NIM 개선세 1도토리 국준아
4274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LG에너지솔루션_ 중장기 시장 점유율 확대 가시성 1도토리 국준아
4273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삼성SDI_수요 우려에도 럭셔러 전기차는 팔린다. 1도토리 국준아
4272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우리금융지주_3Q22 리뷰 1도토리 국준아
4271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신한지주_3Q22 리뷰 1도토리 국준아
4270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삼성바이오로직스_힘든 시기에 놀라움을 선사한 3분기 호실적 3도토리 국준아
4269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기업은행_1H23까지 차별화는 지속될 전망 3도토리 국준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