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산업분석] 항공분야_2023연간 전망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강정훈 조회수 258
용량 3.44MB 필요한 K-데이터 7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산업분석] 항공분야_2023연간 전망.pdf 3.44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10-24 
출처 : 증권사 
페이지 수 : 43 

< 목 차 >

 

I. 핵심 요약.........................................................................................03


II. 매크로: 고환율 고유가 속 한줄기 빛을 찾자면 ...............................04
1. 고환율에 장사 없고.....................................................................04
2. 이러나 저러나 항공유는 비싸다..................................................07
3. 그래도 한줄기 빛을 찾자면, 소비 양극화....................................11


III. 여객: 이젠 정말이야 ........................................................................13
1. FSC, 미국으로 미리보기 ..............................................................13
2. LCC, 일본에 거는 기대................................................................18
3. 2023년, 여객이 좋아지기 시작하는 해 .......................................21


IV. 화물: 아직 거기 있었어?.................................................................24
1. 화물 수송량으로 체감하는 경기 침체..........................................24
2. 견조한 운임, 관건은 중국............................................................27
V. 항공사들이 Green(그릴) 탄소 그림.................................................28


VI. 2023년 항공 업종 투자전략............................................................30


VII.기업분석 ..........................................................................................31
1. 대한항공 (003490).....................................................................32
2. 진에어 (272450) ........................................................................37

 


 

I. 핵심 요약 지난한 날들의 연속 2020년부터 지금까지 3년에 가까운 시간은 “지난하다”라는 말 밖에 표현할 길이 없다. 고환율, 고유가, 경기 부진에 따른 수요 잠식 등 부정적 키워드가 업황을 지배하고 있 다. 말 그대로 고환율에 장사 없고, 해소되지 않는 지정학적 리스크에 구조적으로 증가 하는 항공유 수요 탓에 이러나 저러나 항공유는 비싼 가격에서 내려오질 못하고 있다. 여전히 “지난한(지극히 어려운) 업황”이 지속되고 있다. 2023년, 여객 회복세 우상향 대세에는 지장 없을 것 업황만 부진한게 아니라 경제 전반적으로 분위기가 좋지 않아서, 기대했던 가파른 여객 수요 증가도 요원해질 수 있지 않나 하는 의구심이 들 정도다. 다만, 10월 11일부터 일 본 노선 영업이 본격적으로 재개되면서 일일 수송객 수가 늘어나는 양태를 보이고 있는 점은 다행이다. 경기 침체가 수요 회복의 탄성은 좀 낮췄을 수 있겠으나 2023년까지 여 객 수송량의 우상향 그림은 유지될 것으로 보인다. 오히려 경기 침체에서 기대할 부분도 있겠다. 과거 경기 침체기마다 소득과 소비의 양 극화가 극심해졌던 경험을 떠올리면 항공 여객 사업에서도 그러한 소비를 타겟한 특수 를 누릴 수 있다. 이미 북미 지역 주요 항공사들의 프리미엄 티켓 매출액은 ‘19년 수준 을 넘어서면서 분기별로 우상향하는 그림을 보여주고 있다. 2023년, 화물 물량 감소는 불가피 그러나 운임은 다른 이야기 화물의 경우 경기 침체가 극명한 물량 감소로 드러나고 있다. 내년까지도 이 같은 물량 감소는 어쩔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가처분소득 규모 자체가 줄어들고 있으며, 팬데믹 동안 소비 자체가 서비스보다는 재화에 치중됐던 점을 생각하면 당연한 이야기다. 그런 데 운임의 경우 물량보다 훨씬 완만한 하락 곡선을 그릴 것으로 보인다. 팬데믹 동안 항 공 화물의 고운임은 수요 과잉보다는 공급 부족에서 초래됐던 점을 생각하면 이 또한 당연한 이야기다. 중국의 본격적인 리오프닝 시점에 따라 달라지겠지만 완만할 것으로 예상된다. 업종 의견 Neutral, Top Pick: 대한항공 종합하면 여전히 업황이 정상화 궤도에 올랐다고 보기 어렵다. 내년으로 넘어가면 여객 의 우상향 곡선과 함께 센티멘털의 개선도 기대해봄직 하겠으나, “올해를 잘 넘길 수 있 을까?”에 대한 의구심이 먼저 드는 게 사실이다. 앞서 언급한 업황에 불리한 매크로 환 경 탓에 국내 몇 개 항공사의 펀더멘털에 대한 논란이 지속되고 있기 때문이다. “여전히 지난하다”는 판단 아래 업종 의견을 Neutral로 유지한다. 모든 어려운 것들에서 그나마 가장 자유로울 수 있는 대한항공을 업종 최선호주로 제시한다.

화면 캡처 2022-10-28 141359.jpg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4308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독일 산업연구협회연합회(AiF) R&D 프로그램 및 제도 현황 5도토리 국준아
4307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화학분야_NCC 회복의 서막이 시작되다 9도토리 이지훈
430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통신서비스분야_Weekly(11/07~11/11): 구현모 대표, 연임 의 사 공식화 3도토리 이지훈
4305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은행분야_2023 연간 전망: 뿌리깊은 나무는 아니 흔들려 7도토리 이지훈
430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전기전자분야_월간 디스플레이 패널 동향 3도토리 이지훈
4303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분석] 음식료/유통분야_2023년 전망 시리즈 9도토리 이지훈
4302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ESG분야_2023 년 신재생에너지 투자 확대 9도토리 이지훈
430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전지분야_전지에 전지를 무는 이야기 9도토리 이지훈
4300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자동차분야_닥쳐오는 매크로 위기, 한국 자동차의 돌파구는? 9도토리 이지훈
429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지주회사분야_ 삼성생명법, 국회 논의 시동 3도토리 이지훈
429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반도체분야_약화된 불확실성 3도토리 이지훈
4297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IT분야_10월 대만 IT 매출 분석 3도토리 이지훈
429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건설분야_2023년 전망: 태풍이 지나가면 9도토리 강정훈
4295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ESG분야_그린워싱 예방을 위한 환경평가 개선방안 7도토리 강정훈
429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반도체분야_2023년 전망시리즈 5도토리 강정훈
4293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철강금속분야_공급보다는 수요를 움직일 정책 변화 필요 7도토리 강정훈
4292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통신서비스분야_B2B에서 길을 찾는다 7도토리 강정훈
429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인터넷분야_3Q22 실적을 마무리하며 5도토리 강정훈
4290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자동차분야_ 지금까지 이런 자동차는 없었다 9도토리 강정훈
428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은행분야_9월 은행 금리: 조달 경쟁으로 신규 수신금리 급등 1도토리 강정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