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시장분석] 2023년 글로벌 부동산 전망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강정훈 조회수 184
용량 1.48MB 필요한 K-데이터 9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시장분석] 2023년 글로벌 부동산 전망.pdf 1.48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10-26 
출처 : 증권사 
페이지 수 : 51 

< 목 차 >

 

요약/결론 2023년 부동산 시장, 버블이 해소되며 약세장 펼쳐질 것 4
Chapter 1 고금리와 긴축, 부동산 시장의 Key Words 5
Chapter 2 글로벌 주택시장 추이와 전망 11
Chapter 3 글로벌 상업용 부동산 전망 29
Chapter 4 1980년대 초 부동산 조정 사례 42
Chapter 5 약세장에도 시장 붕괴는 없을 것으로 보는 이유 47

 


 

버블이 해소되는 약세장을 대비하자 2023년글로벌 부동산 시장은 하락세 전망. 팬데믹 이후에 형성된 버블이 해소될 것으로 예상 글로벌 주택시장은 미국을 중심으로 과도하게 높아진 밸류에이션이 하락하는 약세장 펼쳐질 것 상업용 부동산의 투자 매력도는 금융위기 직전인 2007년수준까지 하락. 산업 부동산도 부진할 전망 그 동안 펼쳐진 인플레이션 감안 시, 부동산 하락 폭은 완만할 것으로 예상   2023년글로벌부동산시장은하락세전망 - 2023년글로벌 부동산 가격은 하락세로 예상. 고금리와 긴축으로 인해 지난 팬데믹 후 부동산 시장에 형성된 버블이 해소될 것 - 1970년대 후반 인플레이션 이후 긴축으로 부동산 조정기에 들어간 1980년대 초반과 비슷한 흐름이 2023년에 펼쳐질 전망  주택시장은글로벌전체적인약세장이펼쳐질가능성이높음 - 호주, 독일, 한국 등 일부 국가들은 이미 주택시장이 하락세에 진입 - 최근 하락세로 돌아선 미국 주택시장은 거래절벽, 재고증가, 금리상승으로 인해 사상 최고치인 Valuation을 유지하기 힘듬  상업용부동산의투자매력도는금융위기직전인2007년수준까지하락 - 미국의 Cap Rate 6.1%는 사상 최저치인 반면, 금리 상승으로 상대적인 기대수익률도 낮아진 상황 - 장기간 부동산 시장을 주도했던 산업 부동산 (주로 물류시설)의 수급불균형이 해소되고 있어, 당분간 부진한 흐름이 예상됨  그동안펼쳐진인플레이션감안시부동산하락폭은완만할것으로예상 - 심각한 인플레이션으로 인해 세상 물건 가격이 다 올랐는데, 부동산 가격만 급락해야 한다고 보는 시각은 다소 과격해 보임 - 팬데믹 이후에 부동산 가격에 형성된 버블만 걷어내면 된다고 판단2023년 글로벌 부동산 가격은 하락세로 예상된다. 글로벌 부동산 시장의 Key Words인 ‘고금리’와 ‘긴축’으로 인해, 지난 팬데믹 후 부동산 가격에 형성된 버블이 해소될 것이기 때문이다. 역사적으로 글로벌 중앙은행들의 긴축 이후에는 부동산 조정에 이어 물가 상승률 둔화가 이어진 적이 많다. 1970년대 후반 ‘인플레이션 & 부동산급등’ 이후 긴축으로 부동산 조정기에 들어간 1980년대 초반 과 비슷한 흐름이 2023년에 펼쳐질 전망이다. 호주, 독일, 한국 등 일부 국가들은 이미 주택시장이 하락세에 진입해 있다. 이제는 전세계 부동산 시장의 대장인 미국 주택시장도 하락세에 접어드는 모습이다. 미국 주택시장의 PIR (소득대비 집값 배율)은 7.8배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 중이다. 거래절벽, 재고증 가 등 약세장을 예견하는 징후들이 나타나고 있는데다, 금리가 너무 올라 투자용 수요가 급감하고 있다. 미국 주택시장의 변화는 영 국, 유럽 등으로 확산되면서, 글로벌 전체적인 약세장이 펼쳐질 가능성이 높다. 경험적으로 주택에 비해 늦게 움직이는 상업용 부동산도 2023년에는 약세를 피하기 어려워 보인다. 글로벌 경제 상황이 어려운데 다, 금리 상승으로 Valuation이 하락할 수 있기 때문이다. 최근 미국의 Cap Rate (자산가격대비 순임대수익 비율)는 6.1%로 사상 최 저치인 반면, 금리 상승으로 상업용 부동산의 투자 매력도는 금융위기 직전인 2007년 수준까지 내려간 상태다. 특히 장기간 부동산 시장을 주도했던 산업 부동산 (주로 물류시설)의 수급불균형이 해소되고 있어, 당분간 부진한 흐름이 예상된다. 주택과 상업용 부동산, 모두 약세장이 예상되지만, 그 하락 폭은 완만할 것으로 예상된다. 글로벌 부동산 시장에 형성된 버블이 우 려만큼 크지는 않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심각한 인플레이션으로 인해 세상 물건 가격이 다 올랐는데, 부동산 가격만 급락해야 한다 고 보는 시각은 다소 과격해 보인다. 약간의 거품만 걷어내면 된다고 본다.

화면 캡처 2022-10-28 141042.jpg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425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항공분야_2023연간 전망 7도토리 강정훈
4255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그린에너지분야_애플, 2030년까지 공급망 탈탄소 요구 3도토리 강정훈
»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2023년 글로벌 부동산 전망 9도토리 강정훈
4253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이탈리아 머시닝센터 시장동향 1도토리 나혜선
4252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은행_한국의 은행들은 건전한가 7도토리 안소영
4251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NAVER_미국 리셀 시장에 대한 생각 3도토리 안소영
4250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조선분야_효시, 진격을 알리는 첫 화살 5도토리 안소영
424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IT분야_9월 대만 IT 매출 분석 3도토리 안소영
424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통신분야_화웨이 커넥트 2022 리뷰 3도토리 안소영
4247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통신분야_과매도 구간 5도토리 안소영
424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화학분야_3Q22E Preview: Overshooting 의 정상화 1도토리 오민아
4245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항공분야_9월 전국공항 수송실적: 화물 MoM 감소 지속, 여객 회복은 Slow 3도토리 오민아
424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은행_호재, 악재, 혼재 5도토리 오민아
4243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전기전자분야_2차전지 전기차시대 9도토리 오민아
4242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전기전자분야_월간 디스플레이 패널 동향 5도토리 오민아
424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에너지분야_풍력, 부유식 해상풍력 파이프라인 두 배 확대 3도토리 오민아
4240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국제유가, 2023년 100~120달러/배럴 전망 7도토리 오민아
423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기계/로보틱스분야_일본 공작기계 통계: 해외 수주의 일시적 반등 3도토리 오민아
423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인터넷/게임분야_Tipping Point 9도토리 오민아
4237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POSCO홀딩스_새옹지마를 기대해보자 3도토리 한상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