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국가별 동향] 이탈리아 머시닝센터 시장동향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나혜선 조회수 132
용량 35.15M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국가별 동향] 이탈리아 머시닝센터 시장동향.pdf 35.15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10-17 
출처 : 증권사 
페이지 수 :

시장동향

 

이탈리아 기계 산업은 제조업 내에서 부가가치 창출이 가장 높은 산업 중 하나로 꼽히고 있으며, 기계 중에서도 부가가치가 높은 정밀 공작기계 및 부품산업 분야에 특화된 특징을 가지고 있다. 전문성과 오랜 경험을 바탕으로 높은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는 공작기계 산업은 세계 수출 4위국으로 이탈리아 주요 수출산업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공작기계 산업은 산업생산 및 경제성장과 밀접한 연관이 있어 2020년 코로나19 팬더믹 장기화로 세계경제가 마이너스 성장세를 보이며 제품의 생산, 수출, 내수, 수입 모두 급격한 감소세를 보였으나, 2021년도 산업생산이 정상화됨에 따라 급격한 성장세로 전환됐다.

 

<2017년~2021년 이탈리아 공작·자동화 기계 산업 추이>

(단위: 백만 유로, %)

 

2017

2018

2019

2020

2021

생산

6,085(9.6)

6,775(11.3)

6,510(-3.9)

5,182(-20.4)

6,330(22.2)

수출

3,385(4.1)

3,663(8.2)

3,599(-1.7)

2,861(-20.5)

3,195(22.7)

내수

2,700(17.4)

3,112(15.2)

2,911(-6.5)

2,321(-20.3)

3,135(35.1)

수입

1,764(13.2)

2.052(16.3)

1,944(-5.3)

1,240(-36.2)

1,874(51.1)

[자료: UCIMU(이탈리아 공작자동화기계협회)]

 

 

이탈리아 공작기계 산업은 수출 중심의 산업으로 생산의 50% 이상을 수출해 왔다. 최근 수출과 함께 내수가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데 이는 이탈리아 정부의 지원책 덕분으로, 정부는 중소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산업 4.0(Industria 4.0)을 시행해 설비 현대화를 추진했다. 기업들은 정부의 금융지원책*으로 적극적인 설비투자를 시행했으며 이는 기계 산업의 성장으로 이어져 내수시장 성장에 큰 역할을 했으나 2020년 팬데믹의 장기화로 시장이 급격히 감소했다. 2021년 팬데믹에서 벗어나 이탈리아 경제 및 산업생산이 정상화되며 공작기계 산업 또한 시장이 회복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 이탈리아 정부가 지원하는 금융지원책은 ‘하이퍼감가상각’과 ‘슈퍼감가상각’으로 노후화된 기계설비 교체 및 디지털화에 대해 140%~250%의 감가상각을 하는 새액보조정책이다.

 

<2021년 이탈리아 공작·자동화 기계 산업 분야별 동향> 

(단위: 백만 유로, %)

구 분

생산

수출

수입

내수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공작기계

5,690

21.7

2,945

12.2

1,261

55.8

2,745

33.8

-금속성형기계

2,816

18.0

1,303

14.4

219

33.0

1,513

21.3

-금속절삭기계

2,400

25.3

1,320

8.5

831

71.2

1,080

54.6

-기타

474

26.1

322

19.2

212

32.4

152

43.5

로봇.자동화기계

640

26.7

250

5.9

613

42.2

390

45.0

[자료: UCIMU(이탈리아 공작자동화기계협회)]

 

이탈리아 정부는 산업 4.0의 후속 정책으로 전환(Transition) 4.0을 발표했다. 이 정책은 2021년부터 2026년까지 산업 4.0과 동일한 금융지원책을 통해 기업의 설비투자를 더욱 활성화시키고 이로 산업생산력과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도모하고 있다. 이에 기업의 관련 설비에 대한 투자 증대로 기계 산업의 저변 확대를 도모하고 있으나, 2022년 러-우 전쟁과 함께 에너지 위기 등으로 글로벌 경기침체가 가시화되며 기업의 투자 및 기계산업 또한 위축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탈리아 머시닝센터 수입동향

 

머시닝센터(Machining Center)는 제조현장에서 널리 사용되는 기계로 금형 제조를 비롯해 금속 부품 가공 시 없어서는 안될 기계 중 하나다. 2021년 기준, 이탈리아의 머시닝센터 수입액은 3억 3771만 달러를 기록하며 전년대비 82.43% 수입액이 증가했다. 수입 상위국에 독일, 한국, 벨기에가 위치해 있으며 이 세 국가의 수입액은 전체 수입시장의 약 60%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이탈리아 머시닝센터 시장은 상위 3개국 외 다양한 국가에서 수입이 이뤄지고 있는 특징이 있다. 특히 한국, 대만, 일본 등 아시아국가가 수입 상위 5위국 안에 위치해 있으며, 이 외에는 인근 유럽국들로 구성돼 있다. 2021년 수입액 기준 상위 10개국으로부터의 수입은 스페인(-6.29%)를 제외하고는 모두 큰 폭으로 증가했다.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425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항공분야_2023연간 전망 7도토리 강정훈
4255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그린에너지분야_애플, 2030년까지 공급망 탈탄소 요구 3도토리 강정훈
4254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2023년 글로벌 부동산 전망 9도토리 강정훈
»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이탈리아 머시닝센터 시장동향 1도토리 나혜선
4252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은행_한국의 은행들은 건전한가 7도토리 안소영
4251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NAVER_미국 리셀 시장에 대한 생각 3도토리 안소영
4250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조선분야_효시, 진격을 알리는 첫 화살 5도토리 안소영
424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IT분야_9월 대만 IT 매출 분석 3도토리 안소영
424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통신분야_화웨이 커넥트 2022 리뷰 3도토리 안소영
4247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통신분야_과매도 구간 5도토리 안소영
424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화학분야_3Q22E Preview: Overshooting 의 정상화 1도토리 오민아
4245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항공분야_9월 전국공항 수송실적: 화물 MoM 감소 지속, 여객 회복은 Slow 3도토리 오민아
424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은행_호재, 악재, 혼재 5도토리 오민아
4243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전기전자분야_2차전지 전기차시대 9도토리 오민아
4242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전기전자분야_월간 디스플레이 패널 동향 5도토리 오민아
424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에너지분야_풍력, 부유식 해상풍력 파이프라인 두 배 확대 3도토리 오민아
4240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국제유가, 2023년 100~120달러/배럴 전망 7도토리 오민아
423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기계/로보틱스분야_일본 공작기계 통계: 해외 수주의 일시적 반등 3도토리 오민아
423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인터넷/게임분야_Tipping Point 9도토리 오민아
4237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POSCO홀딩스_새옹지마를 기대해보자 3도토리 한상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