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국가별 동향] 미국 종이 및 판지 시장동향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나혜선 조회수 71
용량 29.11M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국가별 동향] 미국 종이 및 판지 시장동향.pdf 29.11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10-17 
출처 : KOTRA 
페이지 수 :

시장동향

 

시장조사 전문기관 Statista에 따르면, 미국은 중국에 이어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제지(종이와 판지 포함) 생산 및 소비 국가이다. 2020년 기준, 미국 제지 생산량은 약 7000만 톤이며, 소비량은 약 6400만 톤에 달한다.

 

시장조사 전문기관 GRDS(Global Research & Data Services)에 따르면, 2021년 미국의 펄프·종이·판지 시장규모는 전년 대비 0.1% 소폭 성장해 약 745억 달러를 기록했다. 그러나 2022년부터 2026년까지 향후 5년간 시장은 연평균 1.3%의 하락세를 보여 2026년 약 698억 달러 규모를 보일 전망이다.

 

<2018~2026년 미국 펄프·종이·판지 시장규모 변화 추이>

(단위: US$ 백만, %)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38180d8a.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758pixel, 세로 463pixel

 [자료: GRDS]

 

시장 감소 요인으로는 종이 생산의 주원료인 펄프 가격 상승, 위생용지 등을 더 부드럽게 만드는데 사용되는 러시아 자작나무의 수출금지, IT 및 통신 도입의 압박에 따른 제지 사용량 감소, 에너지 비용 상승으로 인한 제조설비 운영 부담 등이 있다.

 

2022년 8월 기준 국제 펄프 가격은 금년도 1월 대비 52.6% 급등했으며 산업 전문가들은 2023년 상반기까지 상승세가 이어질 것이라는 의견이다. 또한, 뉴스매체인 블룸버그(Bloomberg)에 따르면, 2022년 3월 러시아 자작나무 수출이 금지되면서 약 80만~120만 톤의 펄프가 시장에서 사라질 것이라는 전망이다. 아울러, 조사기관 IBIS World에 따르면, 미국은 주요 제지 수출국으로, 신흥 국가의 디지털화 증가에 따른 글로벌 수요 감소는 시장 성장 둔화를 가속할 전망이다.

 

한편, 종이·판지는 식품, 음료, 제약, 건강, 자동차, 전자 등 산업 전 분야에 걸쳐 활용되는 공급망의 중요한 연결 고리로 포장산업에서의 소비량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다. 특히 팬데믹 이후 전자상거래의 급성장으로 패키징 산업에서의 판지 수요가 증가했다. 이로인해 연간 택배 물량은 2019년 418억 개에서 2020년 202억 개로 증가했으며, 미국 제지 생산업체들은 증가한 택배 수요를 소화하기 위해 판지 생산량 확대에 집중하고 있다. 시장조사 전문기관 Statista에 따르면, 2020년 미국 제지 생산량의 50% 이상이 판지(골판지, 컨테이너 보드 등)였다는 의견이다. 또한, 최근 친환경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플라스틱이나 비닐 대신 종이를 활용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어 패키징 산업에서의 수요는 지속 증가할 전망이다. 대표적인 예로 종이 빨대, 종이 배터리, 절연지, 섬유에 이미지를 입히는 전사지 등이 있다.

 

수입동향

 

HS Code 481092 기준, 미국의 종이·판지 수입액은 2021년 약 6억 6857만 달러로 2019년부터 꾸준히 성장해 전년 대비 5.4% 증가했다. 스웨덴(1위)과 캐나다(2위)가 전체 수입시장의 75.0%를 장악하고 있으며, 각각 전년 대비 8.9%, 3.4% 증가율을 보였다.

 

한국은 점유율 6위로서 수입액은 약 747만 달러로 전년 대비 28.2% 감소했다. 이 밖에도 인도네시아(점유율 0.6%), 중국(0.6%)으로부터의 수입액이 최근 3년간 꾸준히 감소한 반면, 핀란드(9.9%), 프랑스(0.2%)는 각각 전년 대비 52.7%, 105.8% 큰 폭으로 증가했다.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525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벤처기업 2022년 실태조사 9도토리 노민우
5258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2023년 지역별 수출 전망 및 시장 여건 7도토리 노민우
5257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AI 학습용 데이터의 파급효과 연구 9도토리 노민우
5256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국내 증권사의 외국환업무 현황과 그에 따른 시사점 5도토리 노민우
5255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유통: 면세점업의 투자 전략 1도토리 노민우
525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중남미의 신재생 에너지 진출전략 9도토리 국준아
5253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주식시장 투자전략 1도토리 국준아
5252 성장동력산업 [동향분석] 세림 B&G의 친환경 분야 성장세 지속 1도토리 국준아
525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손해보험: DB손보, 현대해상, 한화손보 3도토리 국준아
5250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멀티-에셋 전략 3도토리 국준아
5249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글로벌 산업 정책 동향_ 12월 워싱턴 주간 브리핑 3도토리 국준아
524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스테이블 코인의 위험과 정책 과제 3도토리 국준아
5247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중소기업을 위한 ESG 정책 및 규제 대응 핸드북 7도토리 국준아
5246 생명공학/바이오 [시장분석] 중동 아프리카 8개국을 중심으로 한 2022 국가별 보건산업현황 9도토리 국준아
5245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분석] 2022년 유럽 10개국을 중심으로 한 국가별 보건산업 현황 보고서 9도토리 국준아
5244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헬스케어 데이터의 유통 현황과 활성화 방법 7도토리 국준아
5243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블록체인 데이터 유통 모델 활성화 방법 9도토리 국준아
5242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장기 거시경제 추세의 영향 5도토리 국준아
524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부동산 가격 상승에 따른 가계의 자산, 부채에 미치는 영향 분석 5도토리 국준아
5240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2020-21년 상하이 저작권산업보고서 분석 3도토리 국준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