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우주 탐사 및 개발의 국제협력 동향과 시사점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조현상 조회수 38
용량 2.06M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세경포 21-52 우주 탐사 및 개발의 국제협력 동향과 시사점.pdf 2.06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1-10-22 
출처 : 정부산하기관 
페이지 수 :  

▶ 우주는 국제 공유지로서 다수의 국가들이 인공위성, 우주왕복선 등을 발사하고 실험하는 공간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우주 공간의 평화적 이용을 위한 다양한 국제협력이 존재함.
- UN의 우주 관련 국제조약으로는 1967년 ‘우주조약(외기권조약)’, 1968년 ‘우주구조반환조약’, 1972년 ‘우주손해배상조약’, 1976년 ‘우주물체등록조약’, 1984년 ‘달조약’ 등이 있으며, 1959년 창설된 외기권위원회(COPUOS)는 우주에 대한 국제적 논의의 장으로 작용하고 있음.

▶ 정부 주도로 이루어진 우주 개발이 최근 민간 주도로 변하면서 기업들이 우주산업에 진입하는 ‘뉴스페이스(New Space)’의 양상을 보이고 있음.
- 뉴스페이스란 주로 정부가 주도했던 중앙집권적 우주산업을 민간 투자 파트너와 기업이 주도하면서 분권화되는 새로운 흐름을 말함.
- 최근에는 테슬라(Tesla Motors)의 일론 머스크, 아마존(Amazon)의 제프 베이조스, 버진그룹(Virgin Group)의 리처드 브랜슨 등 억만장자들이 각각 스페이스X(SpaceX), 블루오리진(Blue Origin), 버진 갤럭틱(Virgin Galactic) 등의 자회사를 통해 우주산업에 진출하면서 뉴스페이스를 개척해나가는 양상을 보임.

▶ 국제 우주협력과 민간 우주산업 경쟁에 우리나라 역시 핵심 주체로 참여하기 위해서는 정부가 공공·민간의 우주 관련 기술 개발 및 연구를 장려할 필요가 있음.
- 우리 정부의 우주산업 예산규모는 2020년 기준 국내총생산(GDP)의 0.04%를 차지하는데 이는 미국, 영국 등 주요국에 비해 매우 낮은 수준임.

▶ 정부뿐만 아니라 민간기업도 우주산업에 참여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함으로써 시장경쟁을 통한 기술력 축적과 비용 절감이 필요함.
- 민간기업이 우주산업 기술을 개발하고 이를 발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지속가능한 프로그램이 필요하며, 프로젝트가 실패하더라도 다시 시도할 수 있도록 재정적·제도적 안전장치가 뒷받침되어야 함.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571 성장동력산업 실감콘텐츠 국내외 동향분석(제7호) 3도토리 조정희
570 생명공학/바이오 포스트 코로나 시대 바이오 의료기기 및 진단장비 기술개발 동향 보고서 7도토리 조정희
569 성장동력산업 중앙은행 디지털화폐(CBDC)가 금융산업 환경에 끼치는 영향과 평가 3도토리 조정희
568 성장동력산업 지식산업센터 시장 동향 및 전망 1도토리 조정희
567 성장동력산업 중국 그린본드 시장 현황과 향후 전망 1도토리 조정희
566 성장동력산업 COVID-19 이후 국내 기업의 재무성과 및 기업도산 분석 3도토리 조정희
565 성장동력산업 해외 기술패권에 대응하는 日의 전략 및 시사점 7도토리 조정희
564 성장동력산업 美 산업 연구개발 혁신기관과 연구소 동향 7도토리 조정희
563 성장동력산업 공공기관 지방이전의 효과 및 정책방향 1도토리 조정희
562 성장동력산업 기업 재무상태 전환의 주요 특징 3도토리 조현상
561 성장동력산업 해외 ICT 표준화 동향 (2021년 10월-3) 1도토리 조현상
» 성장동력산업 우주 탐사 및 개발의 국제협력 동향과 시사점 1도토리 조현상
559 성장동력산업 주간 이슈(10.24) : 선진국 3Q GDP 발표. 미국은 둔화, 유로존은 견조 성장 예상 1도토리 조현상
558 성장동력산업 주택시장 안정화를 위한 정책 제안 7도토리 조현상
557 성장동력산업 주택정책, 아이러니를 인정하는 용기가 필요 1도토리 조현상
556 성장동력산업 디지털 자산관리, 개인화된 서비스로 진화 요구 1도토리 조현상
555 성장동력산업 DeFi의 재부상과 금융권 영향 1도토리 조현상
554 성장동력산업 은행의 역할을 바꾸는 서비스형 뱅킹(BaaS)의 부상 1도토리 조현상
553 성장동력산업 금리: 대외요인과 투자심리 약화로 상승압력 지속 1도토리 조현상
552 성장동력산업 외환: 인플레發 환율 불확실성은 아직 잔존 1도토리 조현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