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산업분석] 모빌리티분야_9월 현대차/기아 판매 실적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이지훈 조회수 94
용량 980.33KB 필요한 K-데이터 3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산업분석] 모빌리티분야_9월 현대차, 기아 판매 실적.pdf 980.33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10-06 
출처 : 증권사 
페이지 수 :

 현대차(도매): 글로벌 35.5만대(+24.4%yoy), 내수 5.6만대(+29.8%yoy), 수출 8.7만대(+10.2%yoy), 해외 현지 판매 21.0 만대(+2.7%yoy). 차량용 반도체 부족 현상 완화됨에 따라 생산/판매 큰 폭 증가  기아(도매): 글로벌 24.9 만대(+11.0%yoy), 내수 4.0 만대(+11.8%yoy), 미국 6.2 만대(+25.4%yoy), 유럽 4.7 만 대(-8.2%yoy), 중국 7,201 대(-16.8%yoy), 인도 2.6 만대(+79.1%yoy). 생산 차질 완화로 인한 호조세  9 월 현대/기아의 생산/판매 모두 양호한 모습. 차량용 반도체로 인한 생산 차질 영향 완화되고 있으며 4 분기에는 정상 가동률 회복을 기대할 수 있을 것 현대차 9 월 도매/생산/친환경차 9월 도매 판매는 35.5만대(+24.4%yoy)를 기록함. 차량용 반도체 수급 차질 완화됨에 따라 글로벌 전 지역에서 판매 호조세 나타남. 지역별 판매 증가율(전년비) : 내수(+29.8%), 북미(+35.7%), 중남미(+10.3%), 유럽(+0.6%), 러시아 권역(-62.5%), 인도(+46.6%), 중국(+69.6%), 상용 및 기타(-32.9%) 9월 생산 대수는 35.5만대(+24.4%yoy)를 기록함. 국내 14.4만대(+17.2%yoy), 해외 공장(CKD 제외)21.0만대(+29.9%yoy). 반도 체 차질 영향 완화로 글로벌 공장 생산 증가세. 코로나 봉쇄 해제 효과로 중국 공장 가동률도 상승 9 월 친환경차 생산 대수는 4.6 만대(+39.7%yoy)를 기록함. HEV 2.2 만대(+39.1%yoy), PHEV 3,689 대(-15.4%yoy), EV 1.9 만대 (+62.0%yoy), FCEV 1,142대(+21.2%yoy)를 기록. 9 월 아이오닉 수출 올해 두 번째로 많은 6,682 대 기록 기아 9 월 도매/소매/생산 9 월 도매 판매는 24.9 만대(+11.0%yoy)를 기록함. 차량용 반도체 수급 차질 완화됨에 따라 글로벌 판매 전반적으로 호조세를 나타 냄. 지역별 판매 증가율(전년비): 내수(+11.8%), 미국(+25.4%), 유럽(-8.2%), 중국(-13.9%), 인도(+79.1%), 기타(+3.0%) 9 월 소매 판매는 24.7 만대(+0.8%yoy)를 기록함. 지역별 판매 증가율(전년비) : 내수(+11.8%), 미국(+6.4%), 유럽(-5.1%), 중국(- 40.5%), 인도(+78.9%), 기타(-11.6%) 9 월 생산 대수는 24.1 만대(+24.6%yoy)를 기록함. 지역별 생산 증가율(전년비) : 내수(+11.8%), 수출(+11.7%), 미국(+99.0%), 중 국(+18.2%), 슬로바키아(+13.2%), 멕시코(+23.4%), 인도(+81.2%) 9 월 친환경차 판매 대수는 4.3 만대(+35%yoy)를 기록함. HEV 2.15만대(+64%yoy), PHEV 7,302 대(+18%), EV 1.4 만대(+13%)를 기록. 9 월 EV6 글로벌 판매 대수는 6,967대. 누적 전기차 판매 12.7 만대를 기록해 연간 판매 목표치인 16 만대 초과 달성 예상됨

화면 캡처 2022-10-11 101617.jpg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4268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SK하이닉스_단기 실적 악화 불가피하나 공급 조절 계획은 긍정적 3도토리 국준아
4267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제일기획_이유있는 주가 상승 1도토리 국준아
4266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BNK금융지주_3Q22 리뷰 1도토리 국준아
4265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현대미포조선_3Q22리뷰, PC선 수주 문의 증가 1도토리 국준아
4264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삼성SDS_주가 상승 트리거는 IT서비스 이익 반등 1도토리 국준아
4263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대우건설_3Q22 리뷰, 재빠른 실적 안정화 1도토리 국준아
4262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DL이앤씨_3Q22 리뷰 1도토리 강정훈
4261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더존비즈온_아직 동면 중 1도토리 강정훈
4260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현대건설_3Q22 꿈과 체력으로 위기 극복 1도토리 강정훈
425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패션분야_3Q22 프리뷰 5도토리 강정훈
425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자동차분야_러시아 공장 매각 가능성 및 영향 점검 3도토리 강정훈
4257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미디어분야_2023년 수요증가로 실적 확대 7도토리 강정훈
425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항공분야_2023연간 전망 7도토리 강정훈
4255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그린에너지분야_애플, 2030년까지 공급망 탈탄소 요구 3도토리 강정훈
4254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2023년 글로벌 부동산 전망 9도토리 강정훈
4253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이탈리아 머시닝센터 시장동향 1도토리 나혜선
4252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은행_한국의 은행들은 건전한가 7도토리 안소영
4251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NAVER_미국 리셀 시장에 대한 생각 3도토리 안소영
4250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조선분야_효시, 진격을 알리는 첫 화살 5도토리 안소영
424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IT분야_9월 대만 IT 매출 분석 3도토리 안소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