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산업분석] 조선분야_VLCC 운임 반등 및 국내 조선 수혜 가능성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박민혁 조회수 115
용량 646.08K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산업분석] 조선분야_VLCC 운임 반등 및 국내 조선 수혜 가능성.pdf 646.08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9-22 
출처 : 증권사 
페이지 수 :

VLCC 스팟운임 96.9WS, 저점 대비 253.5% 상승 2022년 9월 16일 기준 초대형유조선(VLCC, Very Large Crude-Oil Carrier) 의 주간 운임이 2020년 9월 저점 대비 253.5% 상승함. 2000년 이후 평균 운 임인 69.3WS 대비 40% 상승했음. 석유화학제품선(PC, Product Carrier)의 주간 운임이 2021년 7월 저점 대비 1,438% 폭등한 데 이어 유조선 운임 반등 여부에 주목 노후선대 비중 11%, 그러나 폐선율 제로 수준 VLCC 중 선령 20년 이상의 노후선대 비중은 연초 선복량 대비 11.0% 수준이 나, 폐선율은 0.5%에 머무는 상황임. 2002~03년 노후선대 비중은 8.9 ~ 17.6%, 폐선율은 7.8 ~ 8.7% 수준이었음. 이는 2023년 EEXI 등 환경 규제로 인해 경제성이 낮아진 노후 선박의 폐선 가능성을 시사함 물동량: 양 보다는 거리에 따른 증가를 예상 경기 침체 우려 상황에서 원유 수요의 급증 가능성은 제한적이나, 러시아산 원 유 수출 규제가 촉발한 교역 노선의 변화로 물동량이 소폭 증가할 개연성이 있 음. 2022년 원유 물동량은 9.62조 톤마일(+3.9% YoY)로 추정하며 2023년 원유 물동량은 9.75조 톤마일(+1.3% YoY)로 추정함. 참고로 Clarksons의 2023년 추정치는 10.16조 톤마일임 2023년 VLCC 연 평균 운임이 70WS까지 상승할 가능성 1) VLCC 선대의 10% 육박하는 대규모 폐선이 나올 가능성, 2) 러시아산 원유 수출 규제로 교역 항로 왜곡이 심화될 가능성으로 운임이 반등할 개연성 있음. 2022년 VLCC 연 평균 운임이 58.6WS(+63.5% YoY), 2023년 69.3WS(+18.4% YoY)까지 상승이 가능함. 운임이 반등할 경우 2025~26년 인도 예정으로 VLCC가 80척까지 발주 가능하다고 판단 중국 조선소 잔여 CAPA의 50%를 유조선으로 채워도, 국내 조선소 수혜 중국의 상위 20개 조선소 중 유조선 건조 가능한 조선소는 6개임. 인도 기준 연 CAPA는 449만CGT(2024년 인도 물량 기준)로 판단. 중국 6개 조선소의 2025~26년 잔여 슬롯으로 추정한 향후 수주여력은 483만 CGT. 가용 슬롯의 50%를 유조선에 할당할 경우에도 중국이 수주할 유조선은 VLCC 기준53척. 즉, 탱커 건조 시장 반등에도 중국 독식 가능성은 제한적임

화면 캡처 2022-09-22 094633.jpg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4240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국제유가, 2023년 100~120달러/배럴 전망 7도토리 오민아
423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기계/로보틱스분야_일본 공작기계 통계: 해외 수주의 일시적 반등 3도토리 오민아
423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인터넷/게임분야_Tipping Point 9도토리 오민아
4237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POSCO홀딩스_새옹지마를 기대해보자 3도토리 한상윤
4236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SK바이오사이언스_ 3Q22 Preview, 4Q로 연기된 매출과 제한적인 업사이드 1도토리 한상윤
4235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카카오게임즈_고 per는 부담, 신작 모멘텀 3도토리 한상윤
4234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엔씨소프트_우려 대비 견조한 실적 1도토리 한상윤
4233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카카오_이익 반등이 주가 반전의 선결 조건 3도토리 이지훈
4232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자동챠분야_Tesla AI Day 2022 : 최고의 AI 회사로의 발돋움 3도토리 이지훈
423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에너지분야_APPEC 2022 싱가포르 참관기 9도토리 이지훈
4230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철강분야_22.4Q 전망, 고난 속 행군 7도토리 이지훈
422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반도체분야_메모리 산업 동향 업데이트 1도토리 이지훈
422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모빌리티분야_9월 현대차/기아 판매 실적 3도토리 이지훈
4227 생명공학/바이오 [기업분석] JW중외제약_ 3Q22 Preview, Seize the day 1도토리 정한솔
4226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스튜디오드래곤_모든 요소 순항 중 3도토리 정한솔
4225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크래프톤_TCP 히트 여부/규모에 대한 판단 및 의사결정 필요 3도토리 정한솔
4224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한화에어로스페이스_충분히 시너지 가능한 조합 5도토리 정한솔
4223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한샘_어려울수록 지배구조 개선이라는 기본으로 돌아가야 한다 1도토리 정한솔
4222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F&F_3Q22E Preview: 이 와중에 신기록 1도토리 정한솔
4221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LG에너지솔루션_업계 최초 Pouch에 CTP 적용 발표 7도토리 정한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