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2050 탄소중립 및 배출권거래제의 활성화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조현상 조회수 87
용량 720.21KB 필요한 K-데이터 3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2050 탄소중립 및 배출권거래제의 활성화.pdf 720.21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1-10-28 
출처 : 자본시장연구원 
페이지 수 : 23 

< 목 차 >

 

Ⅰ. 서론: 연구 배경과 목적
 
Ⅱ. 왜 배출권거래제인가?
  1. 탄소가격제와 배출권거래
  2. 글로벌 탄소가격제와 배출권거래
  3. 왜 배출권거래제인가?
  4. 배출권거래 구조와 이슈
    가. 국내 배출권거래제도 개요
    나. 할당(발행)시장 구조와 이슈
    다. 유통시장 구조와 이슈
 
Ⅲ. 배출권 할당시장의 발전 과제
  1. 2050 탄소중립과의 연계 강화
  2. 유상할당 확대 및 재정수입 활용
  3. 무상할당방식 개선
 
Ⅳ. 국내 배출권 유통시장의 발전 과제
  1. 시장참여자 확대 및 간접투자상품 개발
  2. 해외 거래소와 연계(linking) 통한 시장효율성 제고
  3. 최저경매가격제 도입 통한 시장안정

 


 

본 보고서에서는 탄소가격제의 하나인 배출권거래제가 2050 탄소중립 달성에 효과적인 이행수 단이 될 수 있다는 판단 아래 활성화 방안을 제안한다. 배출권거래제는 2050 탄소중립 목표와 직접 연계가 가능한 점, EU 탄소국경조정메카니즘에서 배출권거래제가 핵심조정수단이란 점, 탄소감축을 수익화하려는 ESG 경영 흐름과의 부합성 등으로 인해 향후 글로벌 기후위기 대응 의 핵심 이행수단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2015년 배출권거래제를 도입한 우리나라는 국가차원의 배출권거래제를 운영하는 몇 안 되는 나라 중의 하나다. 기본적으로 고탄소 경제구조가 거대한 거래 잠재력으로 자리잡고 있고 EU ETS보다 넓은 배출권거래제의 커버리지도 장점이다. 탄소중립 목표 달성에 부합하도록 제도 가 발전할 경우 우리나라는 배출권거래제의 중심국가로 도약할 수 있는 비전을 가질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배출권 할당시장과 유통시장의 혁신이 필요하다. 할당시장은 선형감축계수 등 탄소중립 국가감축목표(NDC)와의 직접 연계를 제도화하고, 유상할당 비중의 상향을 통해 마련 된 재정수입으로 에너지전환 마중물 투자와 피해계층 보상 등 전환비용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 다. 배출효율 기반 무상할당의 전면도입도 필요하다. 배출권 유통시장의 효율성은 속성상 할당시장 조건에 크게 좌우되는 바, 우선, 유상경매 활성화 로 유통시장과의 정보순환을 촉진함으로써 가격 효율을 제고할 필요가 있다. 둘째, 시장조성자 확대, 배출권 간접투자상품 개발 등 시장참여자 확대를 통해 해외처럼 탄소의 ‘투자자산화’를 유 도하고, 해외 거래소와 연계를 통해 유동성 확대와 탄소가격갭을 줄여 갈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 로, 탄소중립 로드맵 달성을 위해서는 탄소가격을 보다 현실화할 필요가 있는 바, 최저경매가격 제 등 시장 하방안정화장치의 도입을 권고한다.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540 성장동력산업 최근 디지털세 논의 동향과 시사점(업데이트) 1도토리 조정희
539 성장동력산업 탄소중립, 이차전지도 피해갈 수 없다 1도토리 조정희
538 성장동력산업 화재 감지 및 위치 추적기술 1도토리 조정희
537 성장동력산업 인공지능산업 현황 및 주요국 육성 정책 3도토리 조정희
536 성장동력산업 해외 ICT 표준화 동향 (2021년 10월-2) 1도토리 조정희
535 성장동력산업 실감콘텐츠 국내외 동향분석(제7호) 3도토리 조정희
534 성장동력산업 중앙은행 디지털화폐(CBDC)가 금융산업 환경에 끼치는 영향과 평가 3도토리 조정희
533 성장동력산업 지식산업센터 시장 동향 및 전망 1도토리 조정희
532 성장동력산업 중국 그린본드 시장 현황과 향후 전망 1도토리 조정희
531 성장동력산업 COVID-19 이후 국내 기업의 재무성과 및 기업도산 분석 3도토리 조정희
530 성장동력산업 해외 기술패권에 대응하는 日의 전략 및 시사점 7도토리 조정희
529 성장동력산업 美 산업 연구개발 혁신기관과 연구소 동향 7도토리 조정희
528 성장동력산업 공공기관 지방이전의 효과 및 정책방향 1도토리 조정희
527 성장동력산업 기업 재무상태 전환의 주요 특징 3도토리 조현상
526 성장동력산업 해외 ICT 표준화 동향 (2021년 10월-3) 1도토리 조현상
525 성장동력산업 우주 탐사 및 개발의 국제협력 동향과 시사점 1도토리 조현상
524 성장동력산업 주간 이슈(10.24) : 선진국 3Q GDP 발표. 미국은 둔화, 유로존은 견조 성장 예상 1도토리 조현상
523 성장동력산업 주택시장 안정화를 위한 정책 제안 7도토리 조현상
522 성장동력산업 주택정책, 아이러니를 인정하는 용기가 필요 1도토리 조현상
521 성장동력산업 디지털 자산관리, 개인화된 서비스로 진화 요구 1도토리 조현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