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3GPP Rel.15 5G NR SA 스몰셀 기지국 소프트웨어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조현상 조회수 96
용량 1.75M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002211019-5GNR 스몰셀 SA-발표자료.pdf 1.75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1-10-29 
출처 : 정부산하기관 
페이지 수 :  

- 본 이전 기술은 5G 스몰셀 기지국 (가정용, 실내 오피스용, 교외용, 도심용등)의 핵심 기술인 5G 스몰셀 기지국의 통신 프로토콜 SW (L2/L3) 및 이를 시험할 수 있는 환경에 대한 기술을 포함함.

- 본 기술은 3GPP Rel.15 기반의 5G NR 규격 (MAC(Medium Access Control), RLC(Radio Link Control),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SDAP(Service Data Application Protocol), GTP(GPRS Tunnel Protocol), RRC(Radio Resrouce Control), NGAP(NG Aplication Protocol), X2AP(X2 Application Protocol), XNAP(XN Appliction Protocol)을 지원하며 특허 5G 단말이 5G Core Network과 연결될 수 있도록 SA(Standalone) 기능을 포함함. 

- 본 기술은 5G SA기능을 지원하는 무선자원제어(L3 Call Control), 무선자원관리 (Radio Resource Management)를 포함하며, 기지국운영관리를 위함 OAM 기능은 자체 에뮬레이터를 구축하여 실행함.

- 본 기술은, 우리나라 이동통신 사업자 밴드인 3.5GHz  대역 (n78 밴드)에 대하여 5G SA상용단말과의 무선인터페이스 검증을 완료하였으며 5G  스몰셀의 퀄컴칩셋을 활용하여 퀄컴 모뎀을 사용하는 경우 별도의 변환없이 바로 5G스몰셀 상용시스템 개발이 가능. 

- 주요 개발내용은 3GPP Rel.15 5G NR기반의 L2/L3 프로토콜 SW, 3.5GHz 대역 (FR1) 지원이 가능한 MAC 스캐쥴러/무선자원 관리기술, 다중타스크관리, Zero-Copy를 통한 성능향상이 보장되는 프레임워크 기술을 포함. 

- 또한, 5G SA 기술 지원을 위한 시험환경으로 5G SA 상용단말 (갤럭시 S20 활용 및 VIAVI의 Multi-UE Emulator 활용) 및 5G Core Emulator SW를 통하여 여러대의 상용단말 접속, 최대전송속도등을 확인. 

 

 

- (모바일 대용량 트래픽 처리를 위한 소형셀 필요성 증대) 5G 커버리지가 넓어짐에 따라 커버리지 홀영역, 모바일 데이터가 급증하는 영역에서 5G 소형셀 기지국의 필요성 증가하고 있으나 국내외적으로 5G 소형셀은 아직 상용화가 안되어 있음

- (5G 스몰셀의 국산화 필요) 5G 스몰셀 기술은 모뎀/RF 기술과 통신 SW 기술로 구성되어 있으며 5G 스몰셀용 모뎀 칩셋과 RF 칩셋은 퀄컴에서 선도적으로 개발하고 있으나 스몰셀 SW가 상용화 수준으로 제공된 사례는 없어서 국산화 필요

- (중소기업이 개발하기 어려운 5G스몰셀 SW 제공) 5G 스몰셀 칩셋업계 세계1위인 퀄컴의 솔루션을 기반으로 스몰셀 기지국 통신 SW 개발시 상용화 가능성이 높아서 중소기업이 칩셋솔루션 확보시 ETRI의 통신 SW기술과의 결합으로 5G 스몰셀 상용화에 앞장 설 수 있음

- (중소기업의 기술자립화 기여) 태동기단계에 있는 소형셀 시장에서 소형셀 기지국 L2/L3 SW 는 L1 Chip 출시 후 최소 1년 후 제공되어야 하는 국내외 이동통신 시장 환경에서 국내 소형셀 기지국 제조업체들은 기지국 SW를 해외업체에 의존함으로써 외산 SW 테스트베드 역할로 전락  국내 중소업체의 경쟁력 강화와 수익률 증대를 위한 기술 독립 방안 필요

- (글로벌 시장 경쟁력 확보) 3GPP 이동통신 표준을 최초로 상용화하는 국내 이동통신 시장에서 확보한 소형셀 기지국 SW 상용화 기술로 글로벌 시장 개척의 발판 마련

- (5G 소형셀 기술 개발로 확대) 5G SA를 지원하는 스몰셀 SW는 기존 NSA와는 달리 5G 단독망 접속이 가능하도록 형태로 제공됨에 따라 5G 특화망등에서 활용되는 5G   스몰셀로 확대 가능

- 5G 스몰셀의 조기 개발 및 상용화를 위하여 5G 스몰셀 L1 업계 1인자인 퀄컴과의 공동연구를 통하여 빠른 상용 퀄컴 칩과 연동이 가능한 5G 스몰셀 SW 조기 제공 

- 본 기술은 소형셀 기지국 SW가 공통으로 사용할 수 있는 HW 종속성을 최소화 한 SW Framework을 포함하고 있으며 L1 모뎀의 변경시에도 쉽게 변경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어, 소형셀 기지국 제조업체에게 기술이전 되었다.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540 성장동력산업 최근 디지털세 논의 동향과 시사점(업데이트) 1도토리 조정희
539 성장동력산업 탄소중립, 이차전지도 피해갈 수 없다 1도토리 조정희
538 성장동력산업 화재 감지 및 위치 추적기술 1도토리 조정희
537 성장동력산업 인공지능산업 현황 및 주요국 육성 정책 3도토리 조정희
536 성장동력산업 해외 ICT 표준화 동향 (2021년 10월-2) 1도토리 조정희
535 성장동력산업 실감콘텐츠 국내외 동향분석(제7호) 3도토리 조정희
534 성장동력산업 중앙은행 디지털화폐(CBDC)가 금융산업 환경에 끼치는 영향과 평가 3도토리 조정희
533 성장동력산업 지식산업센터 시장 동향 및 전망 1도토리 조정희
532 성장동력산업 중국 그린본드 시장 현황과 향후 전망 1도토리 조정희
531 성장동력산업 COVID-19 이후 국내 기업의 재무성과 및 기업도산 분석 3도토리 조정희
530 성장동력산업 해외 기술패권에 대응하는 日의 전략 및 시사점 7도토리 조정희
529 성장동력산업 美 산업 연구개발 혁신기관과 연구소 동향 7도토리 조정희
528 성장동력산업 공공기관 지방이전의 효과 및 정책방향 1도토리 조정희
527 성장동력산업 기업 재무상태 전환의 주요 특징 3도토리 조현상
526 성장동력산업 해외 ICT 표준화 동향 (2021년 10월-3) 1도토리 조현상
525 성장동력산업 우주 탐사 및 개발의 국제협력 동향과 시사점 1도토리 조현상
524 성장동력산업 주간 이슈(10.24) : 선진국 3Q GDP 발표. 미국은 둔화, 유로존은 견조 성장 예상 1도토리 조현상
523 성장동력산업 주택시장 안정화를 위한 정책 제안 7도토리 조현상
522 성장동력산업 주택정책, 아이러니를 인정하는 용기가 필요 1도토리 조현상
521 성장동력산업 디지털 자산관리, 개인화된 서비스로 진화 요구 1도토리 조현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