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日의 스마트제조혁신 정책 분석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조현상 조회수 101
용량 4.79MB 필요한 K-데이터 7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日의 스마트제조혁신 정책 분석.pdf 4.79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1-10-29 
출처 : 과학기술정책연구원 
페이지 수 : 78 

[ 목 차 ] 

 

Ⅰ. 개관

 

Ⅱ. 주요 정책 현황

 

Ⅲ.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대비하는 스마트제조 정책

 

Ⅳ. 결론 및 시사점

 

Ⅴ. 참고문헌

 


 

■ (제조업 현황) 일본의 총수출에서 제조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90.4%로(’19), 국가 경제에 있어서 제조업의 중요도는 높으나, 세계 제조업 경쟁력 순위는 2010년대 이후 중국, 한국 등과 경쟁하여 세계 4~5위로 하락  일본의 저출산·고령화 현상에 따른 노동 인구 감소 문제 해결과 노동생산성 향상을 위해 국가차원에서 전략을 마련하고 스마트제조를 적극 도입 - 세계 두 번째로 많은 신규 산업용 로봇 설치국이자, 세계에서 세 번째로 높은 제조 산업의 로봇 밀도를 지닌 국가로 평가 - 세계에서 세 번째로 높은 스마트제조 기술력(미국 대비 79.9%)을 지녔으며, WEF의 미래 생산능력 평가 보고서에 따르면 제조 선도국 중 하나로, 특히 생산구조 평가 에서 가장 우수한 국가로 평가 ■ (주요 정책 현황) 일본 내각부는 매해 국가성장전략을 수립·발표하고 있으며, 성장전략 관련 부처에서는 이를 실현하기 위한 주요 실행계획을 수립하여 발표·추진하는 구조  매년 발표되는 일본 국가성장전략의 부제(副題)를 통해 정책흐름을 살펴보면, 과거 생산성 중심에서 4차 산업혁명 기술을 통한 사회 변혁으로 확대 - 스마트제조 관련 성장전략 목표는 생산성 제고(’13년, ’14년), 생산성 혁명(’15년) 이었으나, 2016년도부터는 신산업 창출 및 생산성 혁신(’16년), 스마트 공급망 실현(’17년), 데이터 구동형 사회로의 변화(’18년) 등 새로운 가치 창출로 확대  스마트제조 관련 세부 정책은 4차 산업혁명 논의가 본격화되고 일본의 미래상인 Society 5.0 개념이 제시된 2016년 이후 본격화 요 약 ■ 본 보고서는 일본의 스마트제조 관련한 주요 국가성장전략과 산업정책 및 스마트제조 관련 산업기술정책 주요 내용을 시간의 흐름에 따라 분석  내각부가 매년 발표하는 최상위 정책인 국가성장전략 가운데 스마트제조가 중점분야 및 전략으로 수립된 연도 위주로 내용을 조사·정리  또한, 산업정책 주무부처인 경제산업성을 중심으로, 일본 전 산업에서의 4차 산업혁명 대응전략인 Connected Industries 및 신산업구조비전과 스마트제조의 핵심 요소 기술인 로봇, IoT, AI, 빅데이터와 관련된 분야별 정책의 주요 내용을 조사·정리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540 성장동력산업 최근 디지털세 논의 동향과 시사점(업데이트) 1도토리 조정희
539 성장동력산업 탄소중립, 이차전지도 피해갈 수 없다 1도토리 조정희
538 성장동력산업 화재 감지 및 위치 추적기술 1도토리 조정희
537 성장동력산업 인공지능산업 현황 및 주요국 육성 정책 3도토리 조정희
536 성장동력산업 해외 ICT 표준화 동향 (2021년 10월-2) 1도토리 조정희
535 성장동력산업 실감콘텐츠 국내외 동향분석(제7호) 3도토리 조정희
534 성장동력산업 중앙은행 디지털화폐(CBDC)가 금융산업 환경에 끼치는 영향과 평가 3도토리 조정희
533 성장동력산업 지식산업센터 시장 동향 및 전망 1도토리 조정희
532 성장동력산업 중국 그린본드 시장 현황과 향후 전망 1도토리 조정희
531 성장동력산업 COVID-19 이후 국내 기업의 재무성과 및 기업도산 분석 3도토리 조정희
530 성장동력산업 해외 기술패권에 대응하는 日의 전략 및 시사점 7도토리 조정희
529 성장동력산업 美 산업 연구개발 혁신기관과 연구소 동향 7도토리 조정희
528 성장동력산업 공공기관 지방이전의 효과 및 정책방향 1도토리 조정희
527 성장동력산업 기업 재무상태 전환의 주요 특징 3도토리 조현상
526 성장동력산업 해외 ICT 표준화 동향 (2021년 10월-3) 1도토리 조현상
525 성장동력산업 우주 탐사 및 개발의 국제협력 동향과 시사점 1도토리 조현상
524 성장동력산업 주간 이슈(10.24) : 선진국 3Q GDP 발표. 미국은 둔화, 유로존은 견조 성장 예상 1도토리 조현상
523 성장동력산업 주택시장 안정화를 위한 정책 제안 7도토리 조현상
522 성장동력산업 주택정책, 아이러니를 인정하는 용기가 필요 1도토리 조현상
521 성장동력산업 디지털 자산관리, 개인화된 서비스로 진화 요구 1도토리 조현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