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日의 스마트제조혁신 정책 분석 |
---|
분류 | 성장동력산업 | 판매자 | 조현상 | 조회수 | 47 | |
---|---|---|---|---|---|---|
용량 | 4.79MB | 필요한 K-데이터 | 7도토리 |
파일 이름 | 용량 | 잔여일 | 잔여횟수 | 상태 | 다운로드 |
---|---|---|---|---|---|
日의 스마트제조혁신 정책 분석.pdf | 4.79MB | - | - | - | 다운로드 |
데이터날짜 : | 2021-10-29 |
---|---|
출처 : | 과학기술정책연구원 |
페이지 수 : | 78 |
[ 목 차 ]
Ⅰ. 개관
Ⅱ. 주요 정책 현황
Ⅲ.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대비하는 스마트제조 정책
Ⅳ. 결론 및 시사점
Ⅴ. 참고문헌
■ (제조업 현황) 일본의 총수출에서 제조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90.4%로(’19), 국가 경제에 있어서 제조업의 중요도는 높으나, 세계 제조업 경쟁력 순위는 2010년대 이후 중국, 한국 등과 경쟁하여 세계 4~5위로 하락 일본의 저출산·고령화 현상에 따른 노동 인구 감소 문제 해결과 노동생산성 향상을 위해 국가차원에서 전략을 마련하고 스마트제조를 적극 도입 - 세계 두 번째로 많은 신규 산업용 로봇 설치국이자, 세계에서 세 번째로 높은 제조 산업의 로봇 밀도를 지닌 국가로 평가 - 세계에서 세 번째로 높은 스마트제조 기술력(미국 대비 79.9%)을 지녔으며, WEF의 미래 생산능력 평가 보고서에 따르면 제조 선도국 중 하나로, 특히 생산구조 평가 에서 가장 우수한 국가로 평가 ■ (주요 정책 현황) 일본 내각부는 매해 국가성장전략을 수립·발표하고 있으며, 성장전략 관련 부처에서는 이를 실현하기 위한 주요 실행계획을 수립하여 발표·추진하는 구조 매년 발표되는 일본 국가성장전략의 부제(副題)를 통해 정책흐름을 살펴보면, 과거 생산성 중심에서 4차 산업혁명 기술을 통한 사회 변혁으로 확대 - 스마트제조 관련 성장전략 목표는 생산성 제고(’13년, ’14년), 생산성 혁명(’15년) 이었으나, 2016년도부터는 신산업 창출 및 생산성 혁신(’16년), 스마트 공급망 실현(’17년), 데이터 구동형 사회로의 변화(’18년) 등 새로운 가치 창출로 확대 스마트제조 관련 세부 정책은 4차 산업혁명 논의가 본격화되고 일본의 미래상인 Society 5.0 개념이 제시된 2016년 이후 본격화 요 약 ■ 본 보고서는 일본의 스마트제조 관련한 주요 국가성장전략과 산업정책 및 스마트제조 관련 산업기술정책 주요 내용을 시간의 흐름에 따라 분석 내각부가 매년 발표하는 최상위 정책인 국가성장전략 가운데 스마트제조가 중점분야 및 전략으로 수립된 연도 위주로 내용을 조사·정리 또한, 산업정책 주무부처인 경제산업성을 중심으로, 일본 전 산업에서의 4차 산업혁명 대응전략인 Connected Industries 및 신산업구조비전과 스마트제조의 핵심 요소 기술인 로봇, IoT, AI, 빅데이터와 관련된 분야별 정책의 주요 내용을 조사·정리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