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국가별 동향] 러시아 승용차 시장 동향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노민우 조회수 47
용량 160.13MB 필요한 K-데이터 3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국가별 동향] 러시아 승용차 시장 동향.pdf 160.13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9-01 
출처 : KOTRA 
페이지 수 : 14 

시장 규모

HS 코드 8703 23에 해당하는 신차의 2021년 기준 러시아 시장 총 판매량은 분석 기관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약 148만 3,400대에서 151만 2,000대 사이로 추정된다.

 

<기관별 2021 러시아  승용차 판매량 추정>

(단위천대)

자료원

총 판매량

2021/2020, %

ASM Holding (러시아)

1,483.4

3.5

NAPI Automotive Market Research Agency(러시아)

1,512.0

3.8

유럽 비즈니스 협회(승용차 및 경상용차)

1,666.8

4.3

 [자료: ASM Holding, NAPI, 유럽 비즈니스 협회]

  

 <2013-2021년 및 2022년 러시아 승용차 판매량 개요>

(단위: 천대)

[자료:  NAPI]

 

시장 동향

러시아 승용차 판매량 추이를 보면, 크림 사태로 서방의 첫 제재가 시작된 2014년 이후부터 급감하다가 2016년 이후 전반적인 증가 추세를 보인다. 그리고 2020년 팬데믹 영향으로 다시 주춤하다가  2022년 우크라이나 사태와 전례 없는 대러 제재로 인해 급감하는 모습이다. 이는 러시아 전체 경제 사이클이 보이는 모습과 매우 유사한데 러시아 경제 상황이 승용차 판매량과 매우 밀접한 관계를 갖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최근 몇 년 판매량 추이를 보면, 2020년은 코로나19 팬데믹 여파로 전년 대비 8.2%나 감소 하는 등 러시아 자동차 비즈니스에 어려운 시기였지만 유럽 내 판매량 4위를 기록하는 등 비교적 양호한 성과를 보였다. 2021년 러시아 승용차 판매량은 전년대비 회복되어 3.8% 증가했다. 이 같은 긍정적인 수치는 2021년 상반기의 성장 역동성에 따른 결과이다. 다만 2021년 하반기에는 전자 부품 적자, 물류 문제, 공급망 중단, 자재 비용 증가 등과 같은 글로벌 요인으로 12월 기준 19.9%나 감소하고 신차에 대한 전체적인 생산 라인 부족으로 이른 바 ‘판매자 우위’ 시장이 열렸다. ASM Holding에 따르면, 2021년 러시아 전체 신차 판매에서 SUV 판매량이 52.6%로 가장 비중이 크고,  다음으로 소형차 판매량 비중이 33.9%이다.

 

<차량부문에 따른 2021년 러시아 신차 판매 추정 세분화>

(단위: %)

A: City car/미니컴팩트 (0.2%)

B,B+: Supermini/소형차(33.9%)

C: Small family/소형 승용차(2.8%)

D: Large family/중형차(5.5%)

E: Executive/대형차(1.4%)

F+S: Luxury saloon + Sports Coupe (0.6), Minivan (3.0%)

SUV: 스포츠 레저용 차량(52.6%)

[자료원: ASM Holding]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5088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독일 중소기업 혁신 지원정책 5도토리 국준아
5087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이스라엘 국방력과 기술 동향 5도토리 국준아
5086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주요국 농업인 연금제도 사례와 시사점 9도토리 국준아
5085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독일 산업연구협회연합회(AiF) R&D 프로그램 및 제도 현황 5도토리 국준아
508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화학분야_NCC 회복의 서막이 시작되다 9도토리 이지훈
5083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통신서비스분야_Weekly(11/07~11/11): 구현모 대표, 연임 의 사 공식화 3도토리 이지훈
5082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은행분야_2023 연간 전망: 뿌리깊은 나무는 아니 흔들려 7도토리 이지훈
508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전기전자분야_월간 디스플레이 패널 동향 3도토리 이지훈
5080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분석] 음식료/유통분야_2023년 전망 시리즈 9도토리 이지훈
507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ESG분야_2023 년 신재생에너지 투자 확대 9도토리 이지훈
507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전지분야_전지에 전지를 무는 이야기 9도토리 이지훈
5077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자동차분야_닥쳐오는 매크로 위기, 한국 자동차의 돌파구는? 9도토리 이지훈
507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지주회사분야_ 삼성생명법, 국회 논의 시동 3도토리 이지훈
5075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반도체분야_약화된 불확실성 3도토리 이지훈
507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IT분야_10월 대만 IT 매출 분석 3도토리 이지훈
5073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건설분야_2023년 전망: 태풍이 지나가면 9도토리 강정훈
5072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ESG분야_그린워싱 예방을 위한 환경평가 개선방안 7도토리 강정훈
507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반도체분야_2023년 전망시리즈 5도토리 강정훈
5070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철강금속분야_공급보다는 수요를 움직일 정책 변화 필요 7도토리 강정훈
506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통신서비스분야_B2B에서 길을 찾는다 7도토리 강정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