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산업분석] 반도체 지정학 변화와 한국의 진로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정한솔 조회수 157
용량 1.37MB 필요한 K-데이터 3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산업분석] 반도체 지정학 변화와 한국의 진로.pdf 1.37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7-25 
출처 : KIET 
페이지 수 : 15 

미국 바이든 행정부가 중국 견제를 기치로 5월 23일 도쿄에서 인도태평양경제프레임워크 (IPEF)를 발족한 데 이어, 6월 29일 북대서양조 약기구(NATO)는 마드리드 정상회담에서 중국을 30여 회원국의 안보와 가치에 대한 위협으로 규 정하는 12년 만의 전략 독트린 갱신안을 채택1)하 였다. 또한 바이든 행정부는 인플레이션 해소를 위해 트럼프 시기에 도입된 대(對)중국 보복 관세 일부 완화를 고려하면서도, 최근 네덜란드 정부에 ASML의 EUV 외 중국 장비 판매 금지 범위 확대 를 요구2)하고 있다. 즉 서방 세계는 이제 중국을 전략적 위협으로 규정하고, 전략산업인 반도체 분 야에서 중국의 발흥을 억제하여 기술 패권 경쟁 1) NATO(2022), Strategic Concept, NATO, 6. 29. 2) “US Wants Dutch Supplier to Stop Selling Chipmaking Gear to China”, Bloomberg, 2022. 7. 6. 에서 승리하고자 하는 의지를 국제정치 무대에서 공식화한 것이다. 경제 및 산업 안보의 핵심 분야인 반도체산업에 서 미국과 유럽 수뇌부가 중국 견제 및 대(對)아시 아 의존도 축소를 위한 대규모 재정 동원과 포괄 적 지원 정책을 공언하고, 주요 글로벌 반도체 기 업들의 10여 년에 걸친 대규모 투자가 시작된 지 금 신(新)행정부를 맞이한 우리 정부의 전략 방향 에 대내외적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본고는 이와 관련해 현 시점에서 한국 반도체산업이 직면한 정 세 판단을 위하여 첫째, 1950년대 이후 반도체산 업의 글로벌 분업 구조 변화 과정과 그 주요 동인 (Drivers)을 간략히 검토한다. 둘째, 미국을 중심 으로 서방 지도부 및 주요 기업의 반도체산업 관 련 인식 및 동향을 제시한다. 마지막으로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한다.(William Shockley)의 트랜지스터 효과 특허4) 이후 현재까지 약 70년 동안 글로벌 반도체산업 의 분업 구조는 크게 총 3번의 변곡점(Inflection 3) Computer History Museum, Silicon Valley Historical Association, Semiconductor History Museum of Japan, and Sony Group History 등 참고. 4) Circuit Element Utilizing Semiconductive Material, Serial No. 35, 423, USPTO. Points)을 경험하였다. 이는 반도체 제조업 주도 국가의 변화 과정과 맞물려 있으며(미국→일본→ 한국·대만, 참고), 매번 그 변화의 기저에 는 크게 세 가지 동인(Drivers)의 복합 작용이 공 통적으로 관측된다. 첫 번째는 국제정치(지정학)로 이는 산업 패권 및 미래 기술 경쟁력 쟁취를 위해 활용된 통상, 금 융, 제재 등 수단, 특히 미국의 대외 정책이 동북

화면 캡처 2022-08-29 114455.jpg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418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에너지분야_전력망 인프라 투자 확대 사이클 진입 9도토리 이지훈
4187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기계분야_일본 공작기계, 둔화되는 소요 1도토리 이지훈
4186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분석] 제약/바이오분야_세포배양 기술과 기기 알아보기 9도토리 이지훈
4185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철강분야_저평가 아래 숨겨둔 체력과 신사업 9도토리 이지훈
418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엔터분야_K-POP RE BLUEOCEAN 9도토리 이지훈
4183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엇갈리는 석탄 가격 방향성 1도토리 이지훈
4182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재생에너지분야_삼성전자 RE100 가입, 국내 재생에너지 산업 활성화 3도토리 이지훈
4181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로봇분야_협동로봇의 기술 동향 / 맞춤형 재활 치료를 위한< 의료서비스로봇 연구 동향 9도토리 정한솔
4180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드론분야_무인 이동체(드론) 정밀항법을 위한 기술 / 고도 자율주행을 위한 센서기술 동향 9도토리 정한솔
417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반도체분야_차세대 전력반도체 소자 기술 / 프로세싱 인 메모리 기반 뉴로모픽 기술 동향 9도토리 정한솔
4178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제일기획_디지털 중심 하반기 실적 성장 지속 1도토리 정한솔
4177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야] 연금개혁 논의 검토 및 방향성 1도토리 김민성
4176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비에이치_하반기 더 달린다 3도토리 김민성
4175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바텍_보급형 제품 기대감 1도토리 김민성
4174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아이에스동서_호실적과 리스크의 사이 1도토리 김민성
4173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엔터분야_K-POP, 글로벌 POP으로 성장 중 9도토리 김민성
4172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화학분야_국내 가성칼륨/탄산칼륨 가격 급등세 1도토리 김민성
417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반도체분야_예상보다 깊은 수요 절벽 9도토리 김민성
4170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전기전자분야_애플 상위 모델/하위 모델 본격적인 차별화 3도토리 김민성
416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통신분야_5G의 성장 여력 5도토리 김민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