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산업분석] 국내 탈석탄 과정의 주요 갈등 이슈 및 이해관계 분석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민준석 조회수 118
용량 1.59MB 필요한 K-데이터 5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산업분석] 국내 탈석탄 과정의 주요 갈등 이슈 및 이해관계 분석.pdf 1.59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8-22 
출처 : 국가미래연구원 
페이지 수 : 28 

< 목 차 >

 

Ⅰ.서론

Ⅱ.국내외 탈석탄 정책 현황

Ⅲ. 국내 탈석탄 과정에서의 주요 갈등 이슈 도출

Ⅳ. 주요 갈등 이슈의 쟁점과 이해관계자 규명

Ⅴ. 탈석탄 과정의 갈등 이슈 및 이해관계자 유형화

Ⅵ. 결론 및 시사점

 


 

⃞ 석탄발전은 세계 최대의 발전원이자 전 세계 탄소 배출량의 30.6%를 차지하는 주요 배출원으로, 탈석탄은 탄소중립 달성에 있어 가장 근본적이고 중요한 전제조건으로 부각되고 있음 ◦ 석탄발전소는 전 세계 약 2,400여개가 운영 중이며, 총 용량은 2,100GW로 전체 전력의 35.2%를 생산하고 있고(IEA, 2021) 단일 배출원 중 가장 많은 온실가스를 배출하고 있어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서는 탈석탄이 필수적인 상황 ◦ IPCC 6차 평가보고서(IPCC, 2022)에서는 현재의 노력으로 1.5o C 달성이 불가능하며, 석탄발전의 조기 퇴출이 없으면 신규 화석연료 설비 증설 없이도 1.5o C를 초과할 것으로 전망 ⃞ 이에 국제 기구들은 탄소중립을 위해 세계 각국의 탈석탄을 권고하고 있으며, 파리협정 이후 세계적인 탈석탄 움직임이 강화됨 ◦ 2018년 IPCC는 1.5o C 특별보고서를 통해 탄소중립을 위해 2050년까지 전 세계의 석탄발전 중단을 권고하였으며, IEA, IRENA 등 에너지 관련 기구에서는 탈석탄과 재생에너지 확대를 탄소중립의 주요 핵심 수단으로 제시하고 있음 ◦ 2017년 COP23에서는 25개 국가가 참여한 탈석탄 동맹(Powering Past Coal Alliance)이 영국과 캐나다 주도로 출범하였으며, 2021년 COP26에서는 Glasgow Climate Pact를 통해 석탄발전의 단계적 감축에 합의하며 세계적인 탈석탄 기조가 확산되고 있음 ⃞ 그러나 석탄발전은 산업혁명 이후 전 세계 국가의 근대화와 산업·경제 발전을 이끌어 온 주요 에너지원으로, 탈석탄 과정에서 다양한 갈등과 비용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이에 대한 대비가 필요 ◦ 탄소중립 사회로의 전환은 그간 인류사회 발전을 견인해왔던 화석연료 기반의 경제사회 시스템의 근본적인 전환을 요구하며, 시스템 전환은 기술, 문화, 사회, 제도, 조직 전반의 변화를 수반하기 때문에 수많은 이해관계자들에게 큰 영향을 미침에 따라 다양한 사회적 갈등을 내포하고 있음(성지은, 2012) ◦ 이에, 탄소중립 전환 과정에서 사회경제 시스템 전환에 따른 갈등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사회적 숙의 모델을 기초로 한 정책 비전 제시가 필요함(현대경제 연구원, 2021) ◦ 탈석탄 과정에서는 관련 산업의 쇠퇴과 노동자의 일자리 상실, 지역 경제에의 영향 등으로 다양한 갈등이 나타날 것으로 예상되고 있으며, 이에 대응하기 위해 정의로운 전환 필요성이 확대되고 있음 ⃞ 국내에서도 본격적인 탈석탄 정책 추진에 앞서 국내에서 발생 가능한 갈등 이슈를 분석하고 사회적 갈등을 최소화하기 위한 정의로운 전환 정책 방안을 마련할 필요◦ 탈석탄 과정에서 관련 산업, 노동자, 지역사회 등 영향을 받는 이해관계자 범주는 공통적으로 나타나겠으나, 국가별 산업 구조와 경제 상황, 전력 믹스 등이 상이하여 세부적인 갈등 양상은 다르게 나타날 것임 ◦ 특히 국내에서는 실질적인 탈석탄 로드맵과 단계적 감축 방안이 부재한 상황에서, 현재 건설 중인 신규 석탄발전소가 있어 갈등 양상이 더 복잡할 것으로 예상됨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탈석탄 정책 현황을 살펴보고, 국내적 상황을 고려하여 탈석탄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갈등 이슈와 주요 쟁점, 이해관계자 분석을 통해 갈등을 최소화하고 안정적인 탈석탄 정책 추진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함 Ⅱ. 국내외 탈석탄 정책 현황 1) EU의 탈석탄 입법 및 정책 추진 현황 ⃞ EU는 23개 회원국이 탈석탄에 동참 중으로, 대부분의 국가가 파리협정 이행을 위해 2030년까지 완전한 석탄 퇴출을 목표로 제시하였으며 벨기에, 오스트리아 등 4개국은 이미 탈석탄을 완료함 ◦ 영국과, 프랑스, 네덜란드, 독일 등 주요 국가들은 탈석탄 정책 이행을 위해 탈석탄 관련 법률을 통과시킴 ◦ 최근 러시아-우크라이나 사태로 인해 프랑스는 석탄발전소 재가동 옵션을 유지하고, 그리스는 탈석탄 시점을 2025년에서 2028년으로 연기하는 등 유럽 내에서도 탈석탄 정책에 일부 변동성이 발생하였으나 에너지 위기로 인한 일시적인 조치로 장기적인 탈석탄 기조에는 변함이 없을 것으로 예상됨

화면 캡처 2022-08-29 105634.jpg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4180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드론분야_무인 이동체(드론) 정밀항법을 위한 기술 / 고도 자율주행을 위한 센서기술 동향 9도토리 정한솔
417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반도체분야_차세대 전력반도체 소자 기술 / 프로세싱 인 메모리 기반 뉴로모픽 기술 동향 9도토리 정한솔
4178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제일기획_디지털 중심 하반기 실적 성장 지속 1도토리 정한솔
4177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야] 연금개혁 논의 검토 및 방향성 1도토리 김민성
4176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비에이치_하반기 더 달린다 3도토리 김민성
4175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바텍_보급형 제품 기대감 1도토리 김민성
4174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아이에스동서_호실적과 리스크의 사이 1도토리 김민성
4173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엔터분야_K-POP, 글로벌 POP으로 성장 중 9도토리 김민성
4172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화학분야_국내 가성칼륨/탄산칼륨 가격 급등세 1도토리 김민성
417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반도체분야_예상보다 깊은 수요 절벽 9도토리 김민성
4170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전기전자분야_애플 상위 모델/하위 모델 본격적인 차별화 3도토리 김민성
416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통신분야_5G의 성장 여력 5도토리 김민성
4168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LG에너지솔루션_ex-china 1등 DNA 3도토리 국준아
4167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통신분야_5G Multi-access Edge Computing 표준기술 동향 3도토리 국준아
4166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ICT기반 폐플라스틱 관리 전주기 기술 동향 3도토리 국준아
4165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미국의 통신요금 감면 제도 개편 분석 3도토리 국준아
416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자동차분야_자동차 데이터 공유의 장애/성공 요인 및 기술개발 과제 3도토리 국준아
4163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그린 ICT 산업의 VC투자 동향 및 시사점 3도토리 국준아
4162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에스티팜_생산 capa 기준 글로벌 1위 3도토리 국준아
4161 생명공학/바이오 [기업분석] 제이시스메디칼_신제품 출시 효과는 3분기부터 1도토리 국준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