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정책분석] 마약류 ADHD치료제·진해제 안전사용 기준 제시
분류 생명공학/바이오 판매자 장민환 조회수 109
용량 671.76KB 필요한 K-데이터 7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8.24+마약관리과.pdf 671.76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8-24 
출처 : 식품의약품안전처 
페이지 수 : 22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오유경)의료용 마약류 ADHD치료제(1)진해제(3)적정 처방·투약을 위한 안전사용 기준 마련일선 의료현장배포했습니다.

 

의료용 마약류 ADHD치료제: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의 치료 목적으로 사용하는 향정신성의약품(성분명: 메틸페니데이트)

의료용 마약류 진해제: 기침 진정의 목적으로 사용하는 의료용 마약(성분명:코데인)향정신성의약품(성분명: 덱스트로메토르판, 지페프롤)

이번 ADHD치료제·진해제 안전사용 기준은 식약처의 연구사업 (주관: 대한의사협회, 기간: 19~21) 결과를 바탕으로 전문가 협의체* 논의를 거쳐 검토보완하고, 지난 89일 열린 2022년도 제1마약류안전관리심의위원회**에서 최종 심의의결해 마련했습니다.

* (ADHD치료제) 대한의사협회·대한약사회·대한신경정신의학회·대한정신건강의학과의사회 (진해제) 대한의사협회·대한약사회·대한가정의학과의사회·대한내과학회 등 구성

** 식약처장이 위촉한 전문가 등 20명 내외로 구성되어 마약류 안전사용 기준 등 심의(근거: 마약류 관리에 관한 법률5조의3)

그간 식약처는 전체 의료용 마약류에 대한 안전사용 기준 마련목표사회적 이슈, 사용량, 전문가 의견 등 종합적으로 고려 식욕억제제(20.8), 졸피뎀·프로포폴(20.9), 진통제·불안제(21.5)안전사용 기준순차적으로 마련배포했습니다.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4180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드론분야_무인 이동체(드론) 정밀항법을 위한 기술 / 고도 자율주행을 위한 센서기술 동향 9도토리 정한솔
417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반도체분야_차세대 전력반도체 소자 기술 / 프로세싱 인 메모리 기반 뉴로모픽 기술 동향 9도토리 정한솔
4178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제일기획_디지털 중심 하반기 실적 성장 지속 1도토리 정한솔
4177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야] 연금개혁 논의 검토 및 방향성 1도토리 김민성
4176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비에이치_하반기 더 달린다 3도토리 김민성
4175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바텍_보급형 제품 기대감 1도토리 김민성
4174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아이에스동서_호실적과 리스크의 사이 1도토리 김민성
4173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엔터분야_K-POP, 글로벌 POP으로 성장 중 9도토리 김민성
4172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화학분야_국내 가성칼륨/탄산칼륨 가격 급등세 1도토리 김민성
417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반도체분야_예상보다 깊은 수요 절벽 9도토리 김민성
4170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전기전자분야_애플 상위 모델/하위 모델 본격적인 차별화 3도토리 김민성
416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통신분야_5G의 성장 여력 5도토리 김민성
4168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LG에너지솔루션_ex-china 1등 DNA 3도토리 국준아
4167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통신분야_5G Multi-access Edge Computing 표준기술 동향 3도토리 국준아
4166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ICT기반 폐플라스틱 관리 전주기 기술 동향 3도토리 국준아
4165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미국의 통신요금 감면 제도 개편 분석 3도토리 국준아
416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자동차분야_자동차 데이터 공유의 장애/성공 요인 및 기술개발 과제 3도토리 국준아
4163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그린 ICT 산업의 VC투자 동향 및 시사점 3도토리 국준아
4162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에스티팜_생산 capa 기준 글로벌 1위 3도토리 국준아
4161 생명공학/바이오 [기업분석] 제이시스메디칼_신제품 출시 효과는 3분기부터 1도토리 국준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