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기업분석] 인터플렉스_폴더블폰의 생태계는 확장 3분기 실적 개선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이지훈 조회수 99
용량 557.5KB 필요한 K-데이터 3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기업분석] 인터플렉스_폴더블폰의 생태계는 확장 3분기 실적 개선.pdf 557.5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8-24 
출처 : 증권사 
페이지 수 :

투자의견 ‘매수(BUY)’ 유지, 목표주가 21,000원 하향 - 삼성전자의 중저가 스마트폰 판매 부진은 부담이나 S펜 기능을 채택한 프리미엄 모델의 판매 호조로 인터플렉스의 2022년 실적은 전년동기대비 증가를 예상. 2022년 상반기 매출은 2,246억원으로 44.1%(yoy), 영업이익은 143억원으로 흑자전환(yoy)을 기록. 2022년 갤럭시 S22 중 울트라 모델의 판매(1,400만대 예상)는 95%(yoy) 증가로 추정 - 2022년 3분기 매출과 영업이익은 각각 1,486억원, 110억원으로 전분기대비 44.4%(3.0% yoy), 60.8%(11.5% yoy) 증가 예상. 2022년 하반기 매출과 영업이익도 전년대비 4.7%, 0.5%씩 증가 추정. 2022년 8월 출시된 갤럭시Z폴드4 판매(7백만대 추정)가 전년대비(갤럭시 폴드3) 60.9% 증가 속에 울트라(S22) 판매 호조가 양호하여 디지타이저(연성PCB) 매출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 - 삼성전자의 스마트폰 중 S펜 기능을 적용한 모델은 프리미엄, 1년 2개 모델이 반복적으로 출시 / 판매 증가로 2022년과 2023년 실적이 전년대비 증가 구간에 있다고 판단 - 투자의견 매수(BUY) 유지, 2022년 2분기 매출 둔화를 반영하여 목표주가 21,000원(2022년 주당순이익 x 목표 P/E 13.6배 적용) 하향. 2분기 실적을 저점으로 3분기와 4분기에 개선, 증가 전망. 투자포인트는 영업이익은 2022년 1,053%(yoy), 2023년 28.7%(yoy) 증가 추정 - 1) 삼성전자는 2022년 하반기에 중저가보다 폴더블폰 판매 확대. 특히 최고 프리미엄인 갤럭시Z폴드4 비중이 폴더블폰내 증가하여 전체 평균판매단가 상승(믹스 효과)으로 수익성 개선 전망. 하드웨어(폼팩터 변화) 차별화인 폴더블폰, 프리미엄인 갤럭시Z폴드4 증가는 S펜 생태계 확대, 매출과 영업이익의 증가에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 2022년 상반기에 갤럭시S22 울트라 판매가 갤럭시S22 중 약 50% 수준으로 추정, 소비자가 고가 프리미엄 및 S펜 기능을 선택. 삼성전자의 폴더블폰 및 S펜 생태계 확대의 수혜는 인터플렉스로 판단 - 2) 연간 영업이익은 2021년 32억원에서 2022년 369억원(1,053% yoy), 2023년 474억원 (28.7% yoy)으로 증가 / 매출도 2021년 4,470억원에서 2022년 5,321억원, 2023년 6,370 억원으로 증가 추정. 삼성전자의 전체 스마트폰 판매량이 2022년 -0.7%(yoy), 2023년 1.5%(yoy) 증가에 그친 점을 반영하면 S펜 적용한 프리미엄 모델(갤럭시S22 울트라 / 갤럭 시Z폴드4)의 판매 증가, 소비자의 교체 수요가 프리미엄 모델에 집중된 결과로 분석

증권.png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4180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드론분야_무인 이동체(드론) 정밀항법을 위한 기술 / 고도 자율주행을 위한 센서기술 동향 9도토리 정한솔
417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반도체분야_차세대 전력반도체 소자 기술 / 프로세싱 인 메모리 기반 뉴로모픽 기술 동향 9도토리 정한솔
4178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제일기획_디지털 중심 하반기 실적 성장 지속 1도토리 정한솔
4177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야] 연금개혁 논의 검토 및 방향성 1도토리 김민성
4176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비에이치_하반기 더 달린다 3도토리 김민성
4175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바텍_보급형 제품 기대감 1도토리 김민성
4174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아이에스동서_호실적과 리스크의 사이 1도토리 김민성
4173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엔터분야_K-POP, 글로벌 POP으로 성장 중 9도토리 김민성
4172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화학분야_국내 가성칼륨/탄산칼륨 가격 급등세 1도토리 김민성
417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반도체분야_예상보다 깊은 수요 절벽 9도토리 김민성
4170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전기전자분야_애플 상위 모델/하위 모델 본격적인 차별화 3도토리 김민성
416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통신분야_5G의 성장 여력 5도토리 김민성
4168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LG에너지솔루션_ex-china 1등 DNA 3도토리 국준아
4167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통신분야_5G Multi-access Edge Computing 표준기술 동향 3도토리 국준아
4166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ICT기반 폐플라스틱 관리 전주기 기술 동향 3도토리 국준아
4165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미국의 통신요금 감면 제도 개편 분석 3도토리 국준아
416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자동차분야_자동차 데이터 공유의 장애/성공 요인 및 기술개발 과제 3도토리 국준아
4163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그린 ICT 산업의 VC투자 동향 및 시사점 3도토리 국준아
4162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에스티팜_생산 capa 기준 글로벌 1위 3도토리 국준아
4161 생명공학/바이오 [기업분석] 제이시스메디칼_신제품 출시 효과는 3분기부터 1도토리 국준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