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시장분석] 기계분야_싱가포르 가정용 정수기 시장 동향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강정훈 조회수 34
용량 42.79M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싱가포르 가정용 정수기 시장 동향.pdf 42.79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8-24 
출처 : KOTRA 
페이지 수 :

-정수기 對 한국 수입 2021년 전년 대비 102.8% 상승

 

싱가포르는 물을 처리, 재활용, 공급함으로써 국가의 물 수요를 충족시키는 통합적인 수중관리시스템을 갖춘 수질관리의 모범국가로 인정받고 있다. 그럼에도 싱가포르 국민들은 깨끗하고 안전한 물에 대한 요구가 높아 최근 싱가포르 시장에 가정용 정수기 브랜드에 대한 수요가 계속 되고 있다.

 

상품명 및 HS Code

 

싱가포르 관세표 상 가정용 정수기는 HS Code 제842121호 ‘가정용 여과기 및 장치’에 포함된다.

 

시장 규모 및 동향

 

싱가포르 수도청(PUB)에 따르면 싱가포르의 수돗물 수질은 2019년 싱가포르 환경 공중 보건 규정(Singapore Environmental Public Health Regulations 2019)과 세계보건기구(WHO, World Health Organisation)의 식수 수질 가이드라인을 준수하고 있다. 즉 싱가포르의 모든 수돗물이 별도의 여과 없이 직접 마시기에 적합한 것으로 발표되었다. 싱가포르의 수돗물은 음용할 수 있지만, 가정용 정수기는 수돗물에 남아있는 불순물, 염소, 먼지 등을 더 제거하여 깨끗한 식수를 생산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점에서 소비자들의 수요가 계속되고 있다. 연구기반 경영컨설팅업체 TechSci Research에 따르면 생활수준 향상, 건강과 웰니스에 대한 인식 제고, 휴대용 정수기 수요 급증 등이 아세안 지역 가정용 정수기 시장을 이끌 것으로 전망된다.

 

싱가포르에서는 가정용과 사무용으로 정수기가 보편화되어 있다. 싱가포르 현지 뉴스 전문 방송사인 CNA(채널 뉴스 아시아)에서 2021년 발표한 바에 따르면 싱가포르는 깨끗한 수돗물이 공급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싱가포르 내 정수기와 필터 판매량은 수년 간 증가했다. 예를 들어 정수기 업체인 하이드로플럭스(Hydroflux)는 2012년 이후 매년 정수기 매출이 약 20~30% 증가하였다고 덧붙였다.

 

참고로 시중에 판매되는 정수기 필터는 크게 “이온 교환 필터”와 “알칼리 필터” 두 종류가 있다. 이 중 알칼리 필터는 전류를 통과시킴으로써 활성탄으로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역할을 하는데, 이 경우 시간이 지남에 따라 필터가 세균이 필터 안에서 자랄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Talking Point(언론사인 CAN의 프로그램)는 세계 조사 기관중 하나인 SGS Singapore(Société Générale de Surveillance)가 실시한 테스트에서 여과수에서 나오는 세균 수(9,000~25,400)가 수돗물(500 미만)보다 훨씬 높아 음용에 안전하지 않다는 것이 밝혀졌다고 보고하였다. 이에 싱가포르인들 사이에서는 가정용 정수기 사용에 대한 의견이 여전히 엇갈리고 있어 안정성을 확보하고 이에 초점을 둔 홍보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수입 규모 및 동향

 

GTA 통계에 따르면, 2021년 기준으로 싱가포르의 정수기 수입규모는 약 1억741만 달러로 전년 대비 21.1% 증가하였다. 2021년에 싱가포르가 정수기를 가장 많이 수입한 국가는 중국으로, 수입 규모는 2,305만 달러를 기록하였다. 독일, 한국과 미국이 그 뒤를 이었다. 정수기의 對 한국 수입은 2019~2021년 최근 3년간 꾸준히 상위 3위 유지해 왔으며 수입액이 2021년 기준 전년대비 102.8%로 크게 증가하였다.

 

<싱가포르 가정용 여과기 및 장치(HS code 842121) 수입 동향>
(단위: 백만 US$, %)

순의

수입국

수입규모

비중

증감률

2019

2020

2021

2021

2021/2020

1

중국

15.2

16.0

23.0

21.5

44.0

2

독일

8.1

10.2

13.5

12.6

32.3

3

한국

8.0

6.2

12.5

11.7

102.8

4

미국

8.9

8.8

12.5

11.6

41.3

5

말레이시아

12.1

8.1

6.4

5.9

-21.2

6

일본

1.8

3.0

6.1

5.7

105.3

7

이탈리아

0.7

1.6

5.3

4.9

232.7

8

네덜란드

3.0

0.5

4.7

4.4

924.9

9

덴마크

0.2

0.9

4.1

3.8

351.0

10

프랑스

1.1

4.0

2.8

2.6

-29.2

 

전체

77.0

88.7

107.4

100

21.1

주: HS Code 842121 (Water filtering machinery and apparatus for domestic use)기준

[자료: Global Trade Atlas]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4808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한국토지신탁_알고보면 호실적 1도토리 이지훈
4807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한국자산신탁_금리 상승의 수혜 1도토리 이지훈
4806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한국콜마_NDR 후기: 체력 확인 + 도약 준비 1도토리 이지훈
4805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씨에스윈드_글로벌 그린빅뱅 최대 수혜주 3도토리 이지훈
4804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서진시스템_박닌성에서 박장성까지 베트남 공장은 풀 가동 준비 완료 5도토리 이지훈
4803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상신이디피_꾸준한 실적 성장이 보인다 5도토리 이지훈
4802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LIG넥스원 _수출비중과 수주잔고 상승으로 고성장구간 진입 1도토리 이지훈
4801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KH바텍_하반기 성수기 효과 3도토리 이지훈
4800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포스코케미칼_원소재 확보 능력은 프리미엄 요인 3도토리 이지훈
4799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제이티_전방 산업 분위기가 아쉽다 1도토리 이지훈
4798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스카이라이프_콘텐츠 성공의 후광 효과 1도토리 이지훈
4797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항공분야_항공(Positive) 여행은 포기를 몰라 3도토리 이지훈
479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게임스컴 (Overweight) 2022: PC/콘솔 시장에 던진 출사표 1도토리 이지훈
4795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운송분야_건화물 시황 저점에 근접 3도토리 이지훈
4794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일본의 이커머스 산업과 글로벌 브랜드 보호책 1도토리 강정훈
»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기계분야_싱가포르 가정용 정수기 시장 동향 1도토리 강정훈
4792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기계분야_태국 의료기기 시장동향 1도토리 강정훈
4791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기계분야_일본 공작기계 시장 동향 1도토리 강정훈
4790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소재분야_일본 합판 시장 동향 1도토리 강정훈
478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5G분야_로컬 5G 도입에 본격 시동거는 일본 1도토리 강정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