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산업동향] 에너지분야_2022년 쿠웨이트 석유 산업 동향 및 전망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강정훈 조회수 39
용량 24.61M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2022년 쿠웨이트 석유 산업 동향 및 전망.pdf 24.61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8-24 
출처 : KOTRA 
페이지 수 :

-유가 진정을 위한 OPEC+의 원유 증산 확대

-쿠웨이트, 9월까지 원유 생산량 하루 281만 배럴 수준 회복 전망

 

쿠웨이트 석유 산업 현황

 

지난 2월 이후, 러시아-우크라이나 사태로 유가가 근년 최고치를 갱신하며 유럽·아프리카의 기준 원유인 브렌트유는 배럴당 128달러까지 치솟았다. 원유의 수요 대비 공급 위축으로 유가가 이미 상승세에 오른 상황 속에서 미국 등 서방의 러시아산 원유 및 천연 가스에 대한 강력한 제재가 더해지며 글로벌 에너지 위기가 심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중국의 원유 수요 하락과 세계 경제성장률 둔화에 대한 우려가 잦아드는 분위기에도 불구하고 브렌트유는 5월 말까지 배럴당 약 US$ 122(+57% YTD)에 거래되며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다. 이는 이미 위축된 시장 상황에 상당량의 러시아산 원유 공급 손실과 석유수출국기구(OPEC+)의 생산 지연이 더해진 것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쿠웨이트 현지 지표인 Kuwait Export Crude에 따르면 유가는 5월 말 배럴당 US$ 121(+54% YTD)를 기록했다. 미 바이든 정부의 유가 진정을 위한 산유국 증산 압력에도 불구하고 쿠웨이트 국영 석유회사 KPC(Kuwait Petroleum Corp.)와 OPEC+은 완만한 증산 속도를 유지해왔다. 그러나 지난 6월 2일 OPEC+은 9월 증산 할당량을 앞당겨 7~8월에 각각 하루 64만 8000배럴을 증산하여 공급을 가속화하기로 합의했다. 전달 증산량은 하루 43만 2000배럴로 이는 기존 방침보다 50% 가량 많은 양이다.

 

쿠웨이트 역시 5~6월 하루 2만 9000배럴에서 7~8월 하루 약 4만 3000배럴로 증산량이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이에 9월까지 총 생산량은 팬데믹 이전 수준인 하루 281만 배럴까지 회복될 전망이다. 현재 쿠웨이트의 원유 생산량은 2021년 말 하루 255만 배럴에서 4월 말 하루 264만 배럴까지 증가한 바 있다.

 

2021년 합의된 쿠웨이트의 기준량인 하루 296만 배럴 수준을 어느 시점에 어떻게 끌어올릴 수 있을지는 아직 불투명하나 사우디아라비아와 국경을 접하고 있는 중립 유전지대의 개발이 그 열쇠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쿠웨이트 원유 생산 현황>

[자료: OPEC, Joint Organisations Data Initiative(JODI)]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에너지분야_2022년 쿠웨이트 석유 산업 동향 및 전망 1도토리 강정훈
4787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자동차분야_파나마 자동차 부품 시장 동향 1도토리 강정훈
478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친환경분야_미국 친환경 포장재, 이제는 선택이 아닌 필수 1도토리 강정훈
4785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인터넷/게임분야_게임스컴 이후 투자전략 재점검 5도토리 안소영
4784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조주현 차관, 지능형공장(스마트공장) 방문해 제조기업 디지털 전환 강조 1도토리 한상윤
4783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납품대금 연동제 시범운영 방안 및 특별약정서 최종논의 결과 발표 3도토리 안소영
4782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중기부·공정위, 납품대금 연동의 확산을 위한 기준 마련 1도토리 오민아
4781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벤처투자 규제 혁신을 위한 벤처투자법 시행령 개정안 국무회의 통과 1도토리 오민아
4780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고용보험 가입 소상공인 누구나 신청만 하면 고용보험료 지원 1도토리 오민아
477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미·중·EU의 디지털통상 삼국지 및 우리나라 동향 7도토리 오민아
4778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수소 분야 덩어리 규제, 울산에서 해결 열쇠를 찾자 1도토리 오민아
4777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중기부·중기중앙회, 민생경제 회복을 위한 중소기업계 현안 논의 1도토리 오민아
4776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역대 최대규모 상생소비 운동(캠페인) 7일간의 동행축제 추진계획 발표 3도토리 오민아
4775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중기부, 공공기관 혁신방안 마련으로 조직 쇄신 도모 1도토리 오민아
4774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분야] 바이오분야_K-생명공학 랩허브 구축사업 예비타당성조사 통과 3도토리 오민아
4773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디스플레이분야_차세대‘무기발광 디스플레이’국제표준화 시동 1도토리 오민아
4772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대원미디어_변화의 시발점 1도토리 박민혁
4771 생명공학/바이오 [기업분석] 대원제약_2분기 호실적, 하반기도 지속 전망 1도토리 박민혁
4770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제로투세븐_2Q22 분석 1도토리 박민혁
4769 생명공학/바이오 [기업분석] 대원제약_2Q22 분석 1도토리 박민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