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시장분석] 역대 최대규모 상생소비 운동(캠페인) 7일간의 동행축제 추진계획 발표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오민아 조회수 97
용량 885.88KB 필요한 K-데이터 3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시장분석] 역대 최대규모 상생소비 운동(캠페인) 7일간의 동행축제 추진계획 발표.pdf 885.88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8-18 
출처 : 중소벤처기업부 
페이지 수 : 12 

중소벤처기업부(장관 이영, 이하 중기부)는 8월 18일(목) 국무총리 주재 국정현안점검회의에서 ‘7일간의 동행축제 추진계획’을 발표했다고 밝혔다.
 
올해로 3년차를 맞는 「7일간의 동행축제」는 국내외 유통사 및 전통시장·상점가 등이 참여하는 국내 최대규모의 중소기업·소상공인 제품 소비촉진 행사이다.
 
작년까지의 행사가 온라인 판매전 중심이었다면, 올해는 다양한 특별행사 및 국민참여형 행사(이벤트)를 대규모로 개최하는 등 온국민 축제로 개최할 예정이다.
올해 행사의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
 
➊ 중소‧소상공인 유망제품 알리기 상생협력 기획(프로젝트) 전개
 
대기업‧벤처기업 등 민간이 중심이 되어 다양한 상생협력 기획(프로젝트)을 추진한다. 호텔·휴양지(리조트)와 지역특산품을 묶은 묶음(패키지) 상품 출시, 중소기업 의류 패션쇼 개최, 동행축제 피비(PB)상품 출시 등은 민간 주도하에 새롭게 추진되는 기획(프로젝트)이다.
 
➋ 문화·공연·예술 등이 어우러진 전국 축제의 장 마련
 
할인 중심의 판매전에서 벗어나, 국민들이 참여하고 즐기는 가운데 상생소비에 동참할 수 있도록 전국적인 행사를 개최한다. 지역특산물·지역명소·지역축제 등과 특별판매전 연계, 지역별 찾아가는 실시간소통판매(라이브커머스)가 개최된다.
 
또한 상생소비복권*(총 12억원, 3,500명), 백년가게 등 지역명소 방문 인증과 같은 전국민이 손쉽게 참여할 수 있는 행사(이벤트)도 다수 개최되며, 온누리상품권 및 선물세트 등 다양한 경품이 추첨을 통해 지급된다.
 
* (신청방법) 동행축제 기간 내 결제한 소상공인 판매점 영수증을 온라인 응모(당첨규모) <1등> 100만원×500명, <2등> 50만원×1,000명, <3등> 10만원×2,000명
 
➌ 전통시장·지역상권 등 다채로운 현실공간(오프라인) 판매전 재개
 
온누리상품권 한도 확대(70→100만원), 카드형 온누리상품권 출시(잠정 8.29), 온라인 장보기 무료배노래(송), 제로페이 경품 추첨 등 전통시장 특별 행사가 열린다. 카드형 온누리상품권은 월 100만원 한도까지 구입 가능하고, 10% 할인을 제공한다.
 
또한, 백화점(8개사), 대형마트(12개사), 면세점(10개사), 주요 공공판매망(KTX 서울역, 부산역, 소담상회 등)도 동행축제에 동참한다.
➍ 국내외 주요 상점가(쇼핑몰)를 통한 온라인 판촉전 전개
 
국내 온라인쇼핑몰에 역대 최대규모로 특별판매전이 개최된다. 약 60개 민간 쇼핑몰, 60개 정부·지자체 공공 온라인몰을 통해 약 5,000개 중소기업·소상공인 제품 특별판매전이 열린다.(최대 80% 할인)
 
동시에, 세계적인(글로벌) 온라인 쇼핑몰 7개를 통해 세계에서 통할 수 있는 중기제품(1,000개) 특판전을 개최하여 온라인 수출도 적극 지원한다.
 
또한, 유명 인플루언서가 참여하는 ‘실시간소통판매(라이브커머스)’와 티브이(TV)안방구매(홈쇼핑)‧티상거래(T커머스) 특별방노래(송)을 편성‧운영될 계획이다.
 
* 티브이(TV) 안방구매(홈쇼핑)사(7개사) 및 티상거래(T커머스)(5개사) 방노래(송)편성 및 판매 수수료 인하(최대 30% 수준)
 
➎ 홍보모델로 장윤정·도경완 부부 참여, 전국민 사회관계망서비스(SNS)도전잇기(챌린지) 전개

화면 캡처 2022-08-23 140843.jpg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4140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美 반도체와 과학법의 주요 내용 및 영향 1도토리 정한솔
413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최근 무역수지 적자 원인 및 향후 전망 1도토리 민준석
413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국내 탈석탄 과정의 주요 갈등 이슈 및 이해관계 분석 5도토리 민준석
4137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디지털 기업가정신의 부상 7도토리 민준석
413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PAR성능 재검증 실험은 원안위의 점검을 거쳐 진행중 1도토리 민준석
4135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사우디 연구용 원자로 규제 기술 수출 1도토리 민준석
413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원안위, 한빛3호기 정기검사 중 임계 허용 후 출력상승시험 등 잔여검사 추진 1도토리 민준석
4133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포스코인터내셔널_천연가스 Upstream 성장성 가시화 3도토리 민준석
4132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LS ELECTRIC_실적개선 및 전력인프라 투자 확대 수혜 3도토리 민준석
4131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SK네트웍스_모빌리티 확장의 교두보 마련 1도토리 민준석
4130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삼성물산_지배구조 변화보다는 사업 경쟁력 자체 주목 5도토리 민준석
412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엔터분야_새로운 트렌드가 될 플랫폼 음반 1도토리 민준석
412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반도체분야_파월과 데이터, 그리고 시장 3도토리 민준석
4127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분석] 제약/바이오분야_ 노바티스, 산도즈 100% 분사 발표 1도토리 민준석
4126 생명공학/바이오 [정책분석] 축산물에 사용하는 동물용의약품의 위해평가 안전정보 공개 1도토리 장민환
4125 생명공학/바이오 [정책분석] 마약류 ADHD치료제·진해제 안전사용 기준 제시 7도토리 장민환
4124 생명공학/바이오 [정책분석] ’22년 의약품 설계기반 품질고도화(QbD) 컨설팅 개시 1도토리 장민환
4123 생명공학/바이오 [정책분석] 식약처, 코로나19 치료제 신속한 임상 진입 지원 1도토리 장민환
4122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인터플렉스_폴더블폰의 생태계는 확장 3분기 실적 개선 3도토리 이지훈
4121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한국토지신탁_알고보면 호실적 1도토리 이지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