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산업분석] 디스플레이분야_차세대‘무기발광 디스플레이’국제표준화 시동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오민아 조회수 120
용량 32K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산업분석] 디스플레이분야_차세대‘무기발광 디스플레이’국제표준화 시동.hwp 32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8-19 
출처 : 산업통상자원부 
페이지 수 :


마이크로 LED(Micro LED), 양자점(Quantum Dot) 디스플레이 등 최근 초격차 기술로 각광받는 무기발광 디스플레이* 분야 국제표준 선점을 위한 첫 출발을 시작하였다.
   * 무기발광 디스플레이 : 유기발광다이오드(OLED)의 특성을 뛰어넘는 무기 소재 기반의 자발광 디스플레이로 옥외 환경에서도 실내처럼 화질이 밝고 선명하며, 기존 제품보다 수명이 2배 이상 길어 차세대 디스플레이 기술로 꼽힌다.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원장 이상훈)은 19일 디스플레이 분야 국내·외 산·학·연 전문가와 국제표준 전문가가 참여하는「2022 디스플레이 표준화 국제포럼」을 개최했다.

국표원은 우리나라의 주요 먹거리인 디스플레이 산업의 기술개발과 표준화 동향을 공유하고 국내·외 전문가들의 협력을 강화하기 위해 `20년부터 ‘디스플레이 표준화 국제포럼’을 매년 개최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최신 기술에 대한 산업계 표준화 수요를 발굴하고 국제표준 선점을 위한 전략을 마련하고 있다.

이날 포럼에서 참가자들은 무기발광 디스플레이를 비롯한 최신 기술의 연구개발 현황과 과제를 공유하고 국제표준화 방향을 논의하였다. 독일 응용과학 연구소 프라운호퍼 아민 웨델(Armin Wedel) 박사는 차세대 디스플레이의 효율성과 안전성 개선을 위한 연구개발 현황과 향후 과제를 제시하였으며,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변춘원 실장은 현실과 비슷한 가상 세계를 실현하기 위한 초현실적 메타버스 시각화 기술개발 현황과 문제점, 시장 상황을 진단하였다. 글로벌 리서치 기업인 옴디아 강민수 수석은 디스플레이 기술 동향 및 시장 전망 발표를 통해, 새로운 디스플레이 기술인 마이크로 LED에 대한 기업의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고 강조하였으며, 국제표준화기구인 국제전기기술위원회(IEC) 디스플레이 기술위원회(TC 110) 요시 시바하라(Yoshi shibahara) 간사는 제조사·시장·고객을 위한 표준화의 의미와 최근 주요 기술적 이슈를 소개하고 국제표준화 방안에 대하여 설명했다.

이상훈 국가기술표준원장은 “우리나라가 글로벌 디스플레이 경쟁력을 강화하려면 차세대 디스플레이 분야에서의 발 빠른 기술 개발과 차별화된 표준화 전략이 필수적“이라고 강조하고, “무기발광 디스플레이를 비롯한 최신 디스플레이 기술의 표준화 과제 발굴과 국제표준화에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화면 캡처 2022-08-23 135754.jpg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4140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美 반도체와 과학법의 주요 내용 및 영향 1도토리 정한솔
413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최근 무역수지 적자 원인 및 향후 전망 1도토리 민준석
413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국내 탈석탄 과정의 주요 갈등 이슈 및 이해관계 분석 5도토리 민준석
4137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디지털 기업가정신의 부상 7도토리 민준석
413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PAR성능 재검증 실험은 원안위의 점검을 거쳐 진행중 1도토리 민준석
4135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사우디 연구용 원자로 규제 기술 수출 1도토리 민준석
413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원안위, 한빛3호기 정기검사 중 임계 허용 후 출력상승시험 등 잔여검사 추진 1도토리 민준석
4133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포스코인터내셔널_천연가스 Upstream 성장성 가시화 3도토리 민준석
4132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LS ELECTRIC_실적개선 및 전력인프라 투자 확대 수혜 3도토리 민준석
4131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SK네트웍스_모빌리티 확장의 교두보 마련 1도토리 민준석
4130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삼성물산_지배구조 변화보다는 사업 경쟁력 자체 주목 5도토리 민준석
412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엔터분야_새로운 트렌드가 될 플랫폼 음반 1도토리 민준석
412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반도체분야_파월과 데이터, 그리고 시장 3도토리 민준석
4127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분석] 제약/바이오분야_ 노바티스, 산도즈 100% 분사 발표 1도토리 민준석
4126 생명공학/바이오 [정책분석] 축산물에 사용하는 동물용의약품의 위해평가 안전정보 공개 1도토리 장민환
4125 생명공학/바이오 [정책분석] 마약류 ADHD치료제·진해제 안전사용 기준 제시 7도토리 장민환
4124 생명공학/바이오 [정책분석] ’22년 의약품 설계기반 품질고도화(QbD) 컨설팅 개시 1도토리 장민환
4123 생명공학/바이오 [정책분석] 식약처, 코로나19 치료제 신속한 임상 진입 지원 1도토리 장민환
4122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인터플렉스_폴더블폰의 생태계는 확장 3분기 실적 개선 3도토리 이지훈
4121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한국토지신탁_알고보면 호실적 1도토리 이지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