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산업분석] 무인이동체분야_국가대표 무인이동체 혁신성과, 한자리에 모인다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이지훈 조회수 105
용량 1.21MB 필요한 K-데이터 3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산업분석] 무인이동체분야_국가대표 무인이동체 혁신성과, 한자리에 모인다.pdf 1.21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8-18 
출처 : 산업통상자원부 
페이지 수 : 10 

□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이창양, 이하 ‘산업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이종호, 이하 ‘과기정통부’), 국방부(장관 이종섭, 이하 ‘국방부’), 국토교통부(장관 원희룡, 이하 ‘국토부’), 해양수산부(장관 조승환, 이하 ‘해수부’), 방위사업청(청장 엄동환, 이하 ‘방사청’)이 주최하고, ㅇ 한국무인이동체연구조합, 한국드론산업진흥협회, 코엑스가 주관하는 무인이동체* 전시회 및 컨퍼런스인 ‘2022 무인이동체산업엑스포 (UWC, Unmanned World Congress)’가 8월 17일(수)부터 19일(금) 까지 3일간 서울 코엑스에서 개최된다. * (무인이동체) 자율주행 및 원격조종이 가능한 이동체로, 운용환경에 따라 드론· PAV, 주행로봇, 무인선박 등으로 구분되며, AI, ICT, 로봇, 항공, 센서, 위성 GPS 등 첨단기술의 집약체로 모빌리티, 국방, 배송, 도시관리, 재난대응, 치안, 환경, 기상, 농업, 우주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 가능

□ 본 엑스포(UWC)는 지난 2018년 산업부·과기정통부 주최로 시작된 국내 최초 무인이동체 전문 행사로, ㅇ 국가 R&D 혁신성과 홍보, 활용‧서비스 시장 소개, 산학연 네트워킹 등을 통해기업경쟁력 강화 및 산업 활성화, 첨단기술을 적용한 미래 산업 및 스마트 국방의 비전 제시를 목적으로 한다. ㅇ 특히 금년 행사는 해양수산부가 처음으로 공동주최기관에 참여하여 6개부처·청이 함께 하는 범정부 행사로 격상된 바, 부처간 정책 공조를 강화하여 ‘무인이동체 산업 강국’으로 도약하는 발판을 마련하고자 한다. □ 이번 엑스포는 육·해·공 무인이동체(원천기술개발, 활용서비스)와 UAM* , 국방 무인체계(육·해·공군 무인이동체)를 주제로 선정하였고, * (UAM) Urban Air Mobility, 도심항공모빌리티 ㅇ 산업부(99부스), 과기정통부(122), 국방부(60), 국토부(35) 등 정부 R&D 혁신성과 전시 부스 및 기업 70개 부스 등 총 460부스(10,368㎡) 규모의 ‘전시회’와, ㅇ 무인이동체 관련 국가 R&D 정책, UAM, 미래국방, 법제도, 활용시장 등을 주제로 하는 ‘컨퍼런스’ 및 무인이동체 재직인력 보수교육, 드론 표준화 포럼, 드론융합얼라이언스 컨퍼런스 등의 다양한 ‘부대행사’로 구성된다.

□ 전시회에서는 드론 및 운용 인프라, 서비스 플랫폼 등 미래 유망 산업의시장 및 인력 수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정부와 기업의 신기술 개발과 인력 양성 관련 주요 성과가 전시된다. □ 산업통상자원부 R&D 성과 홍보로, ①LIG넥스원(주)은 수소연료전지 기반 대형 카고(Cargo) 드론(Lift & Cruise 형태) 개발현황을, ②한국항공우주연구원(KARI)(이하 ‘항우연’)에서는 eVTOL* 비행체 기술 및 ③전남 테크노파크 등과 드론 활용 농업 기술 개발 현황을 소개한다. * (eVTOL) electric Vertical Take-Off & Landing, 전기식수직이착륙기 ㅇ 대형(탑재중량 200 kg급) 카고 드론 개발의 경우, 수소연료전지시스템을 자동차, 트램, 선박에 이어 항공 모빌리티에 적용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ㅇ 항우연은 UAM에 활용되는 eVTOL 비행체의 자율비행 핵심기술(센서, 충돌회피 S/W 등) 및 비행안정성과 운용성 시험평가기술 개발 성과를 전시한다. ㅇ 또한, 5G 기반 드론을 활용하는 스마트영농 실증 사업 성과로, 무인비행 운용시스템과 성능평가장비가 구축된 드론 상용화 실증 지원센터와 테스트베드 구축 내용과, 벼, 마늘, 양파, 유자의 재배·관리에 대한 실증 내용이 소개될 예정이다. * 전남TP, 항우연, 한국광기술원, 가천대학교, 순천대학교, 한국드론산업진흥협회 등이 협업 □ 아울러, 산업부가 추진 중인 도서· 산간지역과 31사단 및 격오지 부대 대상 배송드론 실증사업 성과도 전시된다. ㅇ 현재 드론 제조 중소기업과 대기업이 협업*하여 금년말까지 드론배송 총 1천회 실증을 목표로 상용화를 추진 중이고, *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가이온(주), 네온테크(주), 엑스드론(주), 두산모빌리티 이노베이션(DMI)(주), 블루젠드론(주), GS칼텍스(주) 등이 협업 ㅇ 軍과도 협력하여 고지·도서지역에서 군수품 드론 수송(10 kg급) 실증을 진행할 예정이다. - 향후 군은 산업부가 개발 예정인 탑재중량 200 kg급 수소연료전지 기반 카고 드론의 실증 테스트베드도 제공할 계획이다. □ 과기정통부 R&D 성과 홍보로,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에서는 상시 재난 감시

화면 캡처 2022-08-18 150656.jpg

를 위해 30일 이상 성층권 체공이 가능한 무인기 개발사업(‘22~’25)을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4120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한국자산신탁_금리 상승의 수혜 1도토리 이지훈
4119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한국콜마_NDR 후기: 체력 확인 + 도약 준비 1도토리 이지훈
4118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씨에스윈드_글로벌 그린빅뱅 최대 수혜주 3도토리 이지훈
4117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서진시스템_박닌성에서 박장성까지 베트남 공장은 풀 가동 준비 완료 5도토리 이지훈
4116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상신이디피_꾸준한 실적 성장이 보인다 5도토리 이지훈
4115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KH바텍_하반기 성수기 효과 3도토리 이지훈
4114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포스코케미칼_원소재 확보 능력은 프리미엄 요인 3도토리 이지훈
4113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제이티_전방 산업 분위기가 아쉽다 1도토리 이지훈
4112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스카이라이프_콘텐츠 성공의 후광 효과 1도토리 이지훈
411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항공분야_항공(Positive) 여행은 포기를 몰라 3도토리 이지훈
4110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게임스컴 (Overweight) 2022: PC/콘솔 시장에 던진 출사표 1도토리 이지훈
410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운송분야_건화물 시황 저점에 근접 3도토리 이지훈
410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인터넷/게임분야_게임스컴 이후 투자전략 재점검 5도토리 안소영
4107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조주현 차관, 지능형공장(스마트공장) 방문해 제조기업 디지털 전환 강조 1도토리 한상윤
4106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납품대금 연동제 시범운영 방안 및 특별약정서 최종논의 결과 발표 3도토리 안소영
4105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중기부·공정위, 납품대금 연동의 확산을 위한 기준 마련 1도토리 오민아
4104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벤처투자 규제 혁신을 위한 벤처투자법 시행령 개정안 국무회의 통과 1도토리 오민아
4103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고용보험 가입 소상공인 누구나 신청만 하면 고용보험료 지원 1도토리 오민아
4102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미·중·EU의 디지털통상 삼국지 및 우리나라 동향 7도토리 오민아
4101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수소 분야 덩어리 규제, 울산에서 해결 열쇠를 찾자 1도토리 오민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