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산업분석] 화학/정유분야_ 폴리실리콘, 병목 현상 지속 중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강정훈 조회수 40
용량 464.39K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산업분석] 화학, 정유분야_ 폴리실리콘, 병목 현상 지속 중.pdf 464.39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8-16 
출처 : 증권사 
페이지 수 :

폴리실리콘 가격 강세 지속. 중국 업체들의 대규모 신증설에도 불구하고, 업계의 병목 현상 이 발생하고 있기 때문 ▪ 다만 올해 4분기부터 내년에는 중국의 실질 폴리실리콘 공급량 증가로 가격 안정화로 전환 전망 병목 현상 발생으로 폴리실리콘 수급 타이트 현상 발생 Top-tier 폴리실리콘 업체인 Daqo New Energy의 올해 2분기 EBITDA 마진율은 76.8% 이다. 폴리실리콘 가격 강세가 지속되고 있기 때문이다. 경쟁사들의 신증설 물량 출회 등으로 Paper 상으로는 전방 수요량을 상회하는 공급 과잉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업계의 병목 현상 발생으로 폴리실리콘 수급 타이트 상황이 지속 되고 있다. 이에 현재(8/10일) 폴리실리콘 가격은 Kg당 $38.32로 작년 연초 대비 262.5% 증가한 상황이다. 폴리실리콘 수급이 타이트한 이유는 신규 플랜트의 경우 실제적으로 상업화되기까지 램 프업 시간이 필요하고, 분기별 생산 증가율이 전방인 웨이퍼보다 낮은 추세를 보이고 있 으며, 올해 폴리실리콘 공급은 4분기까지 크게 증가하지 않기 때문에 웨이퍼/수직계열화 업체들이 폴리실리콘을 움켜쥐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팬더믹으로 출하 리드 타임이 길어진 점, 순도/안전성을 위한 정기보수 진행, 최근 일부 업체의 사고 여파도 수급 타이트를 더욱 부채질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올해 4분기 이후 실질 폴리실리콘 공급량 증가 전망 올해 4분기 중국의 실질 폴리실리콘 공급량은 전 분기 대비 약 22% 증가하며, 100GW에 육박할 전망이다. 4분기가 전통적인 성수기이기는 하나, 공급 확대로 현재의 수급 타이트 현상이 다소 완화될 전망이다. 또한 내년부터는 대부분의 증설 프로젝트가 가동에 들어 가며, 폴리실리콘 가격 안정화에 영향을 줄 것으로 판단된다. 최근 폴리실리콘 가격 급등에 따른 원가 상승을 해결하고자, 웨이퍼 업체들은 웨이퍼의 두께를 줄이며, 단위 당 폴리실리콘 소비를 점진적으로 줄이고 있다. 참고로 업계에 따르 면 작년 170㎛의 모노 웨이퍼 두께는 올해 160㎛로 줄 것으로 전망되며, 내년에도 추가 적으로 5㎛ 얇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국내 폴리실리콘 업체들은 중국 업체 대비 CO2 배출을 큰 폭으로 감축시킬 수 있 는 Low Carbon 제조 설비(수력 발전 활용)를 보유하고 있어, 중기적으로 사업 경쟁력을 유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화면 캡처 2022-08-18 142439.jpg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4731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클리오_2Q22분석 3도토리 장민환
4730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LS_계열사의 실적 경쟁력 확인 1도토리 장민환
4729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한섬_2Q22 분석, 투자 매력 저하 1도토리 장민환
4728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한세실업_2Q22 분석, 또 서프라이즈 1도토리 장민환
4727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화승엔터프라이즈_2Q22분석, 성장 궤도 진입 1도토리 장민환
4726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휠라홀딩스_2Q22 분석 1도토리 장민환
4725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한양증권_낮아진 기대 수준도 하회 3도토리 강정훈
4724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솔브레인_TG에서 시작되는 우려 3도토리 강정훈
4723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자이에스엔디_영업환경 및 펀더멘탈 점검 1도토리 강정훈
4722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한국콜마_2Q22 분석 1도토리 강정훈
472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보험분야_2Q22 분석 5도토리 강정훈
4720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화학/정유 분야_라인강 수위, 40CM 미만으로 하락 1도토리 강정훈
471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화학/정유분야_스판덱스, 원재료 가격 급락 고려 1도토리 강정훈
471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화학/정유 분야_타이어코드, 올해 내년 업황 호조세 지속 전망 1도토리 강정훈
»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화학/정유분야_ 폴리실리콘, 병목 현상 지속 중 1도토리 강정훈
471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기계분야_주요 로봇 기업 실적 1도토리 정한솔
4715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그린산업분야_바이든 그린부양안 입법화 확정 5도토리 정한솔
471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정유/화학분야_8~9월 전망 및 미국의 인플레이션 법안 5도토리 정한솔
4713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ESG분야_자사주 매입 후 소각만이 주주환원 정책 3도토리 정한솔
4712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ESG분야_미국 EU 등 에너지 안보 및 자립도 강화로 에너지 전환 9도토리 정한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