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당 프로토콜의 목적은 일련의 지표를 기반으로 정부 관계자, NGO 및 개발 프 로젝트에 관련된 기타 이해당사자들을 위해 실행된 토양관리 방법이 지속 가능 한 토양관리의 자발적 지침(Voluntary Guidelines for Sustainable Soil Management, VGSSM)에 나와 있는 지속 가능한 토양관리(Sustainable Soil Management, SSM)의 정의에 부합하는지 결정하는 프레임워크를 제공하는 것 이다(FAO, 2017). 이 프로토콜과 프로토콜 내 지표, 매개변수 및 방법은 지역 과 국가 및 지역적 상황을 반영하여 토양 과학의 발전과 현장에 적용하여 얻은 결과에 맞춰 정기적으로 수정 및 업데이트되어야 한다. 권장 지표의 측정은 우 선순위가 매겨진 생태계 서비스를 유지하는 토양의 능력을 평가하여 농가의 생 산성과 소득을 지속적으로 향상시킨다. 이 문서는 FAO의 지구 토양 파트너십 (GSP)의 기존 작업: 개정된 세계토양헌장(WSC, 2015), 세계토양자원현황 보 고서(FAO 및 ITPS, 2015) 및 앞서 언급한 지속 가능한 자발적 지침을 기반으 로 작성되었다. 토양관리 자발적 지침(VGSSM)은 지속가능한 토양관리(SSM)를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지속가능한 토양관리는 생태계의 지원, 공급, 조정, 문화적 서비스를 제공하는 토양 자체의 기능을 크게 손상시키지 않고 토양의 서비스와 생태다양성을 유지 하고, 강화하는 것이다. 토양이 제공하는 수질, 효용성, 대기 온실가스 구성에 대 한 조정 기능과 식물의 생장을 위한 지원 기능 사이의 균형은 특히 우려되는 사 항이다." 이 정의에 따라 SSM 평가를 위해 고려해야 할 요소는 다음과 같다. a. 식품, 가축, 섬유 및 임업용 식물 성장을 위한 지원 및 제공 기능 b. 지하 생물다양성을 위한 지원 기능 c. 수질 및 수량에 대한 이용 규제 d. 탄소 격리율을 높이고 온실가스 배출을 제한하기 위한 이용 규제. 다시 말해서, 지속가능하게 관리한 토양은 토양이나 수로와 생물다양성과 같이 더 넓은 환경에 악영향을 끼치지 않고 식량, 섬유질 또는 에너지 작물을 재배하 거나 토양에 영향을 미치는 또 다른 인간 활동을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이 있다. SSM은 다음과 같은 다양한 지속가능발전목표(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DG)를 지원한다. • 지속가능한 생산성(SDG 2: 지속 가능한 식량 생산 시스템을 보장하고 생산성 과 생산을 증가시키고 토지와 토양의 질을 점진적으로 향상시키는 탄력적인 농업 관행을 구현) • 토양 용수 가용성(SDG 6: 물과 위생의 이용가능성과 지속가능한 관리 보장) • 토양 오염(SDG 11: 포용적이고 안전하며 회복력 있고 지속가능한 도시와 주 거지 조성) • 농업 투입물의 지속 가능한 사용(SDG 12: 화학물질과 모든 폐기물을 관리하 여 공기, 물, 토양으로의 배출을 크게 감소시킴) • 토양 탄소 포획(SDG 13: 기후변화와 그 영향에 대응한 긴급 조치 실행) • 토양 황폐화(SDG 15: 육상생태계의 지속가능한 보호·복원·증진, 숲의 지속 가능한 관리, 사막화 방지, 토지황폐화 중지와 생물다양성 손실 방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