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산업분석] 반도체분야_반도체 고급인력양성 추진전략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박민혁 조회수 68
용량 1.42MB 필요한 K-데이터 5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산업분석] 반도체분야_반도체 고급인력양성 추진전략.pdf 1.42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7-28 
출처 : KEIT 
페이지 수 : 17 

< 목 차 >

1. 반도체 고급인력양성 추진배경 및 필요성

 

2. 반도체 산업인력 동향

 

3. 반도체 고급인력양성사업의 개념 및 범위

 

4. 스마트 기술동향

 (전략 1) 투자기업 밀착형 R&D 운영

 (전략 2) 반도체 인력 질적수준 검증·평가 시스템 구축 및 체계화

 (전략 3) 글로벌 인재양성을 위한 학술교류

 (전략 4) 반도체 전용 HR 프로그램 운영

 


 

심화되는 반도체 자국 주의 - 미국과 일본은 자국의 반도체 장비, 소재·부품 분야의 우위를 新무기로 활용하여 미국은 중국, 일본은 한국을 대상으로 국가안보의 문제로 인식하고 국제 분쟁을 통해 세계반도체 시장의 지배력 확보 전략으로 활용 - 중국은 미국과 분쟁 이후 ‘제조 2025’에 반도체 장비, 소재, 재료육성을 ’19년 2월에 추가 발표하고, 장비분야 투입재원을 43%를 증액하는 등 차세대 공정관련 기술을 확보 노력 중 - 반도체 장비, 소재 산업은 미국, 일본, 유럽기업이 기술력과 대형화를 통해 과점 구도를 형성하며, 점유율이 20년간 변화하지 않는 독과점 형태에서 기술 무기화 되는 형태로 변화 ★ 한국 반도체산업의 성장 동력 저하 - 국내 반도체 산업은 삼성전자·SK하이닉스가 선전하고 있는 메모리 분야에서도 미국·중국기업의 거센 경쟁에 직면하고 있으며, 시스템반도체 및 장비 소재 분야는 20년 이상 경쟁력 확보의 진전이 미진한 상태 - (메모리반도체 산업)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세계 메모리 반도체 시장을 선도하며 공격적인 설비투자로 주요국과의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고 있으며, 장비 소재, 설계 등이 종합 반도체(IDM) 기업에 집중된 ‘집중형 생태계’를 가지고 있음 - (시스템반도체 산업) 메모리 반도체 산업구조와는 달리 설계-생산-패키지&테스트-판매 등이 개별 주체에 따라 분업화된 ‘분업형 생태계’를 가지고 있음 - (장비 소재 산업) 소자 미세화/적층화가 진행될수록 장비 소재의 기술 및 신뢰성이 더욱 중요하며, 국산화 비중 또한 장비 20% 미만, 소재 50% 수준으로 특히 최근 미세공정 관련 분야의 장비 소재 산업은 선진국(기업) 대비 기술 및 규모 경쟁력에서 매우 열악한 상황 ★ 반도체 산업의 고급전문연구인력 양성 시급 - 반도체는 우리나라 수출 1위 산업으로 최근 “산업의 쌀” 및 “전략무기”로서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어 기업을 넘어 국가 간 경쟁에 직면 - 반도체 산업의 초격차 유지,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해서는 전문 연구인력 확보가 가장 중요, 인력양성은 업계의 1순위 건의사항이나, 반도체가 민간 스스로 잘하는 분야로 간주하여 정부지원이 미약하였으며, 이로 인한 석·박사급 연구인력 공급부족 야기 - 반도체 기술개발 난이도가 높아지면서 고급 전문연구인력 수요가 대폭 증가하고 있으나 민간 기업만으로는 장기적 인력양성 투자에 한계를 가짐고급 반도체전문인력(연구개발인력) 양성 필요 - 국내 반도체 산업의 필요인력은 지속적으로 증가추세이나, 대학의 배출인력은 정체 중인 상태로, 우수한 연구 인력의 부족 현상 해소가 필요한 실정이며 최신 기술 연구 경험을 보유한 반도체 관련학과의 석박사 연구원 배출 확대가 요구됨 * 반도체 관련학과 석박사 배출인력 정체(’15년, 5,494명 → ’20년 5.884명) - 반도체 전문인력의 수요와 공급을 연결하는 차원에서 산학협력 연구·개발은 필수적으로 대학에서 산업계가 요구하는 최신기술의 지식과 경험을 보유한 인적자원을 배출하기 위해서는 산학 연구·개발 생태계 강화가 필요함 * 기업의 산학협력 주 목적으로 우수 인재를 조기에 확보하고 기업맞춤형 인재양성이 28%를 차지 - 학위 취득을 위한 교육형 인력양성 사업의 연구 능력 배양 측면의 한계를 타개하기 위하여 수요 맞춤형 연구·개발을 활용한 인력양성 사업으로의 접근 방식 변화 필요 * 산업계의 기술수요를 반영한 민관공동지원 모델 사업인 ‘미래반도체소자 원천기술개발사업’의 성과와 파급력을 고려하여 사업 확대 적용 필요 ★ 반도체 산업원천기술 확보 필요 - 반도체는 국가 근간산업 및 전략산업으로써 글로벌 무역전쟁, 경쟁국의 막대한 투자 환경에서 국내 산업 육성을 위한 대책 마련이 요구되며 글로벌 기술장벽 강화로 소수기업에 의한 독과점 체계로 변해가는 등 차세대 반도체 기술을 보유하지 않는다면 글로벌 시장 경쟁력을 상실할 수 있는 위험 존재 - 산업원천기술 확보는 글로벌 시장경쟁력 확보를 위한 선결 요건이며, 단기간에 진행될 수 없음을 인식하여 국가 차원의 안정적인 연구환경 조성이 필요함 * ’82년 일본의 반도체 시장 경쟁력 추월에 따라, 미국은 산업원친기술 확보를 위한 민관 공동의 프로그램(SRC)을 기획하였고, 다시 시장 주도권을 확보하기까지 10년 이상의 기간이 소요됨 - 특히 기술 난제 극복을 위한 다양한 파생 기술을 개발·검증할 수 있는 상용화 기술 前 단계기술 확보가 가능하도록 반도체 인력의 집단지성이 필요 ★ 정부와 민간의 공동 대응 필요 - 반도체 기술의 융복합화에 따라 칩 설계 단계부터의 공정변수 고려, 제조공정을 위한 장비 및 소재의 안정적 확보가 요구됨 - 반도체 산업계의 모든 공급체인의 실력 배양을 위하여 기존의 정보 주도의 구조에서 벗어나 민간이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민간 공동 대응 형태가 중요해짐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3821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4월 은행 금리: 2분기 NIM도 높은 한 자릿수 확대 가능 1도토리 황세영
3820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경제분야_4월 가중평균금리 동향 1도토리 황세영
3819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증권분야_지표와 업황 모두 바닥권, 긍정적 신호에 탄력적으로 반응할 주가 1도토리 황세영
3818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전기차분야_전기차관련 산업동향 1도토리 황세영
3817 생명공학/바이오 [기업분석] 유통분야_2022상반기 기업분석 1도토리 황세영
3816 성장동력산업 [경제동향] 은행/증권/보험분야_Rebalancing 1도토리 황세영
3815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자동차분야_Safe Haven 1도토리 황세영
3814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화학/정유분야_화확 관련주 동향 1도토리 황세영
3813 성장동력산업 [경제동향] 5월 여신_수신 동향 1도토리 황세영
3812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보험분야_자본 확충 리스크 해소 1도토리 조정희
3811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항공분야_대한항공의 진에어 지분 취득 1도토리 조정희
3810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우주분야_누리호 2차 발사, 우주산업 성장 신호탄 1도토리 조정희
3809 성장동력산업 [경제동향] 대출증가 둔화에도 이자이익 증가세 유지 전망 1도토리 조정희
380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항공분야_주가동향 1도토리 조정희
3807 성장동력산업 [경제동향] 은행분야_가계대 가산금리, 정상화 중으로 판단 1도토리 김민성
3806 성장동력산업 [정책동향] 전기차분야_EU 내연기관차 판매금지 입법화 (Overweight) K-배터리 수혜 1도토리 김민성
3805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IT분야_5 월 대만 IT 매출 분석 1도토리 김민성
380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에너지분야_에너지 인프라 투자 전망 3도토리 김민성
3803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통신분야_MVNO ARPU 하락 추세 완화 전망 1도토리 김민성
3802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항공분야_여객도 화물도, 결국 운임 3도토리 김민성